항목

  • 집녕 輯寧
    집녕>은 『시용무보』에 전한다. 구성 및 형식 <집녕>은 종묘제례의 초헌 절차에 연주하는 《보태평》의 다섯 번째 곡이며, 악장은 《용비어천가》 제24장의 환조(桓祖, 1315~1361)가 쌍성을 회복한 내용과 관련이 있다. <집녕>이라는 악곡 명은 악장 중 ‘성환집녕(聖桓輯寧)’에서 따온 것이다. 『세조실록』의 <집녕...
    유형 :
    작품/전통음악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가장 위대한 근대 조각가, 오귀스트 로댕 프랑수아 오귀스트 르네 로댕(François Aug..
    모티프로 사랑, 고통, 죽음 등으로 몸부림치는 다양한 인간 군상을 창조했다. 사후의 지옥이 아니라 인간 내면의 지옥을 표현한 것이다. 약 200여 점의 환조 혹은 환조와 유사한 형태의 조각들로 이루어진 〈지옥문〉은 전체는 물론, 하나하나의 조각들이 독립적인 걸작으로 인정받는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생각...
    출생 :
    1840년 11월 12일
    사망 :
    1917년 11월 17일
    국적 :
    프랑스
    대표작 :
    〈지옥의 문〉, 〈청동 시대〉, 〈생각하는 사람〉, 〈발자크 기념비〉, 〈키스〉 등
  • 아프리카의 조각
    15세기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1890년대 이전에는 유럽인에게 알려져 있지 않았다. 전설에 의하면 13세기에 이페의 영향을 받아 시작한 베냉 조각은 환조와 부조로 대별되나, 주로 인상 또는 머리 부분의 환조, 동물·인간·식물을 곁들인 부조판, 방울, 가면, 그리고 표범 등의 동물과 제례용품 등이 있다. 이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석고형제작원
    수행직무 도면 및 작업표준서에 따라 환조석고형 또는 부조석고형의 종류와 규격 및 형태를 확인한다. 작업에 필요한 석고가루, 거즈, 주걱, 그릇 등 도구 및 공구를 준비한다. 도면을 파악하여 석고 형태와 사용될 석고 양을 파악한다. 적당량의 석고와 물을 계량하여 혼합하고 진공교반기로 교반한다. 환조석고형은...
    교육수준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숙련기간 :
    1개월 초과 ~ 3개월 이하
    작업강도 :
    보통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육체활동 :
    손사용
    직무기능(자료) :
    비교
    직무기능(사람) :
    관련없음
    직무기능(사물) :
    수동조작
    고용직업분류 :
    [8841]공예원
    표준직업분류 :
    [7911]공예원
    표준산업분류 :
    [C232]내화, 비내화 요업제품 제조업
    조사연도 :
    2017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조선태조실기 朝鮮太祖實記
    는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시조부터 태조까지 21대를 차례로 기재하고, 이성계가 왕이 되자 추봉한 4대, 즉 목조(穆祖) · 익조(翼祖) · 도조(度祖) · 환조(桓祖) 등의 행략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다. <사조고사>는 4대의 행적을 기록한 것이다. 환조가 전주에 있을 때 산성별감(山城別監)이 친애하는 기생을 범한...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
    40㎝ 정도의 틈이 벌어져 두 면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오른쪽에 삼존불상이 새겨져 있고 왼쪽에 상체만 보이는 나한상(羅漢像)이 부조(浮彫)되어 있다. 그 앞에 환조(丸彫)의 보살형 불상이 서 있고 그 옆의 바위에 또 하나의 나한상이 부조되어 있다. 삼존불은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협시보살이 본존 쪽으로 몸을...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영흥본궁의식 永興本宮儀式
    정조는 이문원에서 두 본궁의 ‘제품정례급제의(祭品定例及祭儀)’를 봉심하고 의대와 제물을 공경히 전송하였다. 1795년(정조 19) 4월에 환조(桓祖)의 8주갑을 맞이해서는 환조의 영흥본궁 추제(追躋)가 단행되었는데, 이를 반영한 수정본이 『영흥본궁의식』이다. 내용 이 책은 1795년(정조 19) 4월에 쓴 어제 서문과...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예조
    창작/발표시기 :
    1795년(정조 19)
    성격 :
    예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1책
    간행/발행 :
    함경감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종묘악장 宗廟樂章
    어진 이를 따라 큰 터를 열었음’을, 〈형가〉는 ‘익조와 도조가 임금에게 공경히 복종하니 크게 형통하여 아름답고 큰 천명이 따라붙음’을, 〈집녕〉은 ‘환조가 쌍성에서 은총의 명을 받아 큰 복록을 이루게 되었음’을, 〈융화〉는 ‘태조의 신기한 덕화로 도이(島夷)와 산융(山戎)이 모두 좇아와 충성을 바침’을...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열성지장통기 列聖誌狀通紀
    공식적으로 간행한 것 외에도 한글판·필사본 등 여러 종류가 같은 제목으로 전해지고 있다. 내용은 태조의 선계인 목조(穆祖)·익조(翼祖)·도조(度祖)·환조(桓祖)로부터 시작해 태조 이하 철종까지의 역대 임금들과 그 비(妃)들에 대한 행장(行狀)·지문(誌文)·신도비명(神道碑銘)·능지문(陵誌文)·천릉지문(遷陵...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1681년, 1688년, 1719년, 1758년, 1779년, 1865년
    성격 :
    인명록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교서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권근 權近
    맞았다. 조선개국 후의 활동 1393년(태조 2) 왕의 부름을 받고 계룡산 행재소로 가서 새 왕조의 창업을 칭송하는 노래를 짓고, 왕명으로 태조의 아버지인 환조(桓祖)의 비문을 지었다. 이후 새 왕조에 출사하여 예문관춘추학사 겸 대사성·중추원사 등을 지냈다. 1391년에는 표전(表箋)문제로 자청하여 명에 갔다. 이때...
    출생 :
    1352(공민왕 1)
    사망 :
    1409(태종 9)
    국적 :
    고려·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靑磁 象嵌牡丹文 壺
    문양이 없는 다른 면에는 양끝에 사자의 머리가 있는 손잡이를 몸체의 가장 팽창된 부위에 붙여서 더욱 가로로 확장된 느낌을 준다. 사자의 얼굴은 거의 환조로 정교하며 눈은 검게 나타냈는데, 이와 같은 손잡이 양식은 금속기에 그 연원이 있다. 굽은 수직으로 깎은 다리굽인데 굽 밑에는 받침 자국들이 남아 있다...
    문화재 지정 :
    국보(1962.12.20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공주 갑사 승탑 보물 제257호, 公州甲寺僧塔
    높은 지대석 위에 3층으로 된 하대석과 탑신, 옥개가 있는 8각원당형 구조이다. 하대석의 모서리에는 피어나는 연꽃을, 각 면에는 1구씩의 사자를 조각했는데 환조에 가까운 입체감을 준다. 그 위에는 구름 속에 있는 용이 생동감있게 표현되었고, 운룡문과 사자상 사이에 홈이 파져 물이 아래쪽으로 빠져나가도록 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7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