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사소송 民事訴訟하고, 법이론상 추호도 빈 틈이 없어야 한다. 그 이유에 흠이 있으면 그것이 상소심에서 취소나 파기될 염려가 있다. 이처럼 법원이 내리는 판결은 그 자의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까다로운 이유로써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법관은 판결문 작성에 있어서 항상 긴장하고 조심하게 된다. 그러므로 법관의 실력...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제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고발 告發이러한 격고제도는 고발의 절차를 간편하고 공신력 있게 한 것으로서, 실질적인 민권보장을 위한 애민사상의 발로라고 평가할 수 있다. 오늘날 「형사소송법」상 고발은 고소의 경우와 같이 서면 또는 구술로써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에게 하여야 하며, 구술에 의한 고발을 받은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은 고발조서를 작성...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재판 裁判기울여 1909년 3심제도의 확립을 보았다. 그러나 재판제도는 일제치하에서 그 골격을 갖추었다. 광복 후 <헌법> 및 <법원조직법>의 제정, <형법>·<형사소송법>·<민법>·<민사소송법> 및 그 밖의 입법에 의하여 현대적 의미의 재판제도를 확립하게 되었다. 경제발전과 사회적 변화는 재판제도에도 많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어느 정도의 손해배상이 적정한가?, 징벌적 손해배상 懲罰的 損害賠償, punitive dam..② 형사 명예훼손죄의 유죄 판결문 게재, ③ 명예훼손 기사의 취소 광고 등의 방법이 있어 가해자의 양심을 강제하거나 굴욕을 요구하는 사죄 광고를 내게 하는 것은 기본권의 불필요한 제한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제 피해자의 실질적인 구제 방법은 위자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미국에서 명예훼손에 대한...
-
-
신구형사법규대전 新舊刑事法規大全형률의 변천, 재판제도의 조직, 감옥의 규제, 기타 현행법령 등 형사에 관한 신구법령을 유집(類集)한 것이다. 권 상에는 이미 효력을 상실하였으나 실무에 참고...32)부터 1900년(광무 4)까지에 시행되었던 재판소관계법령(18건), 소송 및 감옥관계법령(13건), 형벌관계법령(16건)이 수록되어 있다. 권 하에는 현행법령...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장도(張燾)
- 창작/발표시기 :
- 1907년 11월 20일
- 성격 :
- 법제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구속영장 拘束令狀, Arrest Warrant발부하여 사법경찰관리와 같은 집행기관을 통해 피고인 구속을 집행하도록 한다. 내용 피고인에 대한 구속은 법원이 직접 발부한 구속영장에 의하여(「형사소송법」 제70조 이하), 그리고 피의자에 대한 구속은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법관이 발부한 사전영장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제201조). 수사절차에서의 피의자...
- 시대 :
- 현대
- 성격 :
- 재판서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54년 9월 23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국가보안법 國家保安法특별히 복잡한 것도 아니고 사건의 성질상 증거수집이 더욱 어려운 것도 아니다. 그러나 국가보안법 제19조가 제7조 및 제10조의 범죄에 대해서까지 형사소송법상의 수사기관에 의한 피의자 구속기간 30일보다 20일이나 많은 50일을 인정한 것은 국가 형벌권과 국민의 기본권과의 상층관계 형량을 잘못하여 불필요한...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률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48년 12월 1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법제 법, 法制하여 한국적·유교적 가족도덕을 순풍미속이라고 찬양하면서 그것을 강화하고 더욱 체계화시켜 획일적으로 강제함으로써 식민지통치체제 확보에 이용하는 한편, 일본식 가제도(家制度)의 원리를 서서히 침투시키면서 1939년의 일본식 씨제도(氏制度) 이식에 의한 성명 말살에까지 이르렀다. 관습의 존중을 내세우건...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반국가행위자처벌특별조치법 反國家行爲者處罰特別措置法중한 자이다. 이 법은 국가의 안전을 지키기 위하여 중죄를 범하고 도피하려는 자 또는 도피자를 처벌하기 위하여 특별절차를 규정한 것이다. 이 법은 일반 <형사소송법>의 원칙을 배제하고 중죄인에게 궐석재판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그 밖에도 절차상 <형사소송법상>의 많은 규정이 배제된다. 이 법에...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제, 법률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77년 12월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