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Pareto principle 파레토 법칙, パレートの法則
    The Pareto principle (also known as the 80–20 rule, the law of the vital few, and the principle of factor sparsity) states that, for many events, roughly 80% of the effects come from 20% of the causes. Management consultant Joseph M. Juran suggested the principle and named it after Italian...
  • Pareto chart 파레토도, パレート図
    A Pareto chart, named after Vilfredo Pareto, is a type of chart that contains both bars and a line graph, where individual values are represented in descending order by bars, and the cumulative total is represented by the line.The left vertical axis i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but it can...
  • 로잔 학파 Lausanne school
    달리, 표면에 나타난 행위를 통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한계효용을 파악한다. 이러한 시도는 특히 발라가 충분히 다루지 못한 소비자선택의 이론을 전개한 파레토의 무차별곡선에 의해 가능하게 되었다. 무차별곡선에서는 곡선상의 어떤 결합도 선택에 있어서 차이가 없기 때문에 효용의 가측성을 논할 필요가 없고, 경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덤핑 dumping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덤핑이란 수출에 있어서는 한계비용과 같은 가격으로, 한편 국내에서는 그것보다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는 것이므로 파레토 최적상태에 도달할 수 없다. 파레토 최적은 국내·국외의 판매가격 모두가 한계비용과 같은 경우에 실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덤핑은 경제후생을 극대화할 수 없다는 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업/경영
  • 과두제 寡頭制, oligarchy
    라는 명제를 만들어냈다. 이와 유사하게 이탈리아의 정치학자 게타노 모스카도 지배계급은 언제나 과두제적 통제장치를 만든다고 주장했다. 빌 프레도 파레토는 엘리트 이론에서 이러한 생각을 정교하게 다듬었다. '엘리트'의 관점에서 사회유형을 분석하는 현대의 경향은 파레토 이론에 크게 영향을 입었으며, 그 연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선거
  • 계급 階級, class
    관계에 대한 이견에서 비롯된다. 또 계급을 엘리트·신분집단 등과 정확히 구별하는 데도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이를테면 이탈리아의 사회학자 빌프레도 파레토, 가에타노 모스카는 마르크스주의적 지배계급 개념에 대한 대안으로서 엘리트라는 개념을 정교화했다. 최근의 논자들 가운데는 미국의 C. 라이트 밀스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 롱테일 Long tail
    잘 팔리는 책'의 매상을 추월한다는 온라인 판매의 특성을 이르는 개념. 20%의 핵심고객으로부터 80%의 매출이 나온다는 유명한 파레토 법칙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역(逆) 파레토 법칙'이라고도 한다. 무한대의 진열이 가능한 인터넷 서점 '아마존닷컴'에서 일 년에 몇 권 안팔리는 80%의 소외 받던 책들의 매출 합계가...
  • 객관가치설과 주관가치설 objective-subjective theory of value
    만족도, 즉 효용에서 가치의 요인을 찾는다. 이 학설은 멩거·제번스·발라등의 한계효용학파와 뵘 바베르크·비저등에 의해 이론적 체계가 구축되었다. 특히 파레토는 무차별곡선이론으로 효용의 가측성(可測性)이라는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선택이론에 의한 가격구성 원리의 설명으로까지 발전시켰다.→ 가치학설, 경제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일반균형이론 一般均衡理論, general equilibrium theory
    로잔 학파의 시조 L. 발라가 창시했으며 V. 파레토, J. R. 힉스, P. A. 새뮤얼슨, K. J. 애로, G. 드브뢰 등에 의해 계승·확장되었다. 자유기업제도하의 가격기구의 기능을 총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용한 분석의 틀이 되며, 가격기구가 가장 이상적으로 기능하는 완전경쟁시장의 경우를 전제로 한다. 일반균형이론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선호와 무차별곡선
    했던 이유는 경제적 행위가 사람에 의해 종합평가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효용은 더욱 추상화·형식화되어도 좋다고 말할 수 있다. 에지워스와 파레토는 여러 재화·용역의 사용 및 보유량을 하나의 조합으로 다루기 위해 효용함수를 다변수함수로 생각하기 시작했다(→ 에지워스). 즉 효용개념을 더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파슨스 Talcott Parsons
    지금도 이러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최초의 주요저서인 〈사회적 행위의 구조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1937)에서 파슨스는 A.마셜, V.파레토, E.뒤르켐, M.베버 등 유럽 학자들의 주요원리를 받아들여 자발적 원칙에 근거한 체계적 사회행동이론을 발전시켰다. 이때 자발적인 원칙이란 여러 가지 가치나...
    출생 :
    1902. 12. 13, 미국 콜로라도 콜로라도스프링스
    사망 :
    1979. 5. 8, 뮌헨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대체재와 보완재 substitute goods and complementary goods
    관계에 있는 재화이다. 즉 어느 한쪽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면 다른 한쪽 재화의 수요도 같이 증가한다. 대체재와 보완재는 E. Y. 에즈워스와 V. F. D. 파레토에 의해 처음으로 정의되었다. 그들은 X재와 Y재가 있을 때 Y재가 불변한 상태에서 X재의 소비량이 증가한 경우, Y재의 한계효용(限界效用)이 감소하면 대체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4건

파레토(Vilfredo Pareto)
파레토(Pareto)
파레토 분석(Pareto analysis)
빌프레도 파레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