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담란 사망 정토종 창시자
    온 불교 승려 보제류지를 만난 뒤 마음을 불교로 돌렸다고 한다. 중생이 ‘나무아미타불’을 외치며 오직 아미타불의 보살핌을 믿고 염원하기만 하면 정토에 이를 수 있다고 가르쳐 일반 대중의 마음을 단숨에 사로잡았다. 정토종과 선종은 공통적으로 불교의 교리를 크게 단순화함으로써 대중적 유행의 발판을 마련했다...
    시대 :
    542년
    국가/대륙 :
    아시아
  • 정토진종 Jōdo Shinshū, 浄土真宗
    정토진종이 호넨의 가르침을 계승하여 창종한 종파이다. 신란의 사후에 그 문하생들이 교단으로서 발전시켰다. 호넨은 일본 불교의 정토종(淨土宗)의 개조이며 신란은 정토진종(淨土眞宗)의 개조이다.언어I·한국문학·논술 > 아시아 문학 > 일본 문학 > 중세 전기(가마쿠라 시대) > 법어,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 위키백과
  • 정토교 Pure Land Buddhism, 浄土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담란은 보리유지에게 계승되어 《안락집(安樂集)》이라는 정토교의 근본성전(根本聖典)을 낳았다. 그는 불교를 성도(聖道).cw정토(淨土)의 둘로 나누어 말법5탁(末法五濁)의 세상에는 오로지 아미타불에 귀의하여 정토왕생을 기원하는 정토교가 유일한 길이라 했다. 나아가 정토교는 당나라...
    도서 위키백과
  • 극락 Sukhavati, 極楽
    부처나 보살이 있다. 이러한 부처를 구제불(救濟佛)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구제불이 극락정토에 있는 아미타불이다. 극락도 극락정토라고 하듯이 정토의 한 종류이다. 정토(淨土)는 깨끗한 땅이라는 뜻으로, 극락도 더러운 욕망이 즐거운 세계가 아니라 깨끗한 즐거움이 가득한 세계라는 의미가 된다. 그래서 아미타부처...
    도서 위키백과
  • 기축명아미타불비상 보물 제367호, 己丑銘阿彌陀佛碑像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통일신라
  • 실천불교전국승가회
    실천불교전국승가회는 “수행을 통한 깨달음과 정의로운 세계인 정토사회를 만들어가는 실천적인 노력이 본래 둘이 아니라는 부처님의 근본정신을 받들어 불교 내 제반 모순과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이땅에 정토사회를 구현시키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하여 창립하였다. 1980년대 후반 불교계의 대사회...
    도서 위키백과
  • 정토종 淨土宗, Pure Land Buddhism
    지지를 받고 있는 종파 가운데 하나이다. 이 종파에서는 누구든지 깊은 신앙심을 갖고 아미타불의 이름을 부르기만 하면 아미타불의 서방정토에 태어나게 된다고 믿는다. 이러한 정토신앙의 토대가 되는 세 경전이 곧 〈무량수경 無量壽經〉·〈관무량수경 觀無量壽經〉·〈아미타경 阿彌陀經〉이다(일반적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호넨 法然, Honen
    본명은 세이시마루[勢至丸]. 겐쿠[源空], 호넨쇼닌[法然上人], 엔코 대사[圓光大師], 간소 대사[元祖大師]라고도 한다. 정토 신앙이 일본 불교의 중심적 신앙의 하나로 확립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호넨은 일본 천태종의 승려들에 의해 중국에서 들어온 정토 교리들을 배움으로써 자신의 정토 신앙을 형성했으며...
    출생 :
    1133. 5. 13, 일본 미마사카[美作] 이나오카[稻岡]
    사망 :
    1212. 2. 29, 교토[京都]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개계 開啓
    啓頌)이다.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죽은 자를 위해 행하는 가장 작은 재)를 올릴 때에는 ‘상부 수함청정지공 향유보훈지덕 고장법수 특훈묘향 쇄사법연 성우정토(詳夫 水含淸淨之功 香有普熏之德 故將法水 特熏妙香 灑斯法筵 成于淨土)’의 사설을 홋소리로 부르기 때문에 「상부개계(詳夫開啓)」라 한다. 시왕각배재...
    성격 :
    범패(梵唄)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통일신라시대 불교사, 정토교의 수용과 전개
    없고 지극한 즐거움만 있는 청정한 국토라는 뜻이다. 정토교의 요점은 지극한 마음으로 ‘나무아미타불’을 부르면 극락에 태어날 수 있다는 것으로, 여러 정토 경전들이 공통으로 설하는 수행은 염불이다. 정토교가 중국에 전래된 것은 정토 경전이 번역되기 시작한 2세기경이다. 5세기경에는 정토 경전이 대부분 번역...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하동 청계사 정토보서 河東 淸溪寺 淨土寶書
    개요 『정토보서』는 염불 법문에 의지하여 정토(淨土)의 업을 닦고 일과 염불로 정토에 왕생할 수 있다는 확신을 주는 경전이다. 백암(栢庵) 성총(性聰, 1631~1700)이 간행한 197권의 불서 중에서 『정토보서』는 1권의 분량에 불과하다. 성총이 직접 편찬 내지 회편(會編)한 책으로 『정토보서』, 『치문경훈...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정토보서 淨土寶書
    과목 등 대략 12종 197권의 불서를 간행하였다. 『정토보서』는 성총이 간행한 불서 중에서 가장 먼저 판각된 것이다. 『정토보서』는 『정토자량전집(淨土資糧全集)』, 『정토신종(淨土晨鐘)』, 『귀원직지(歸元直指)』 등에 인용된 정토 관련 글들이 편집되어 있다. 성총은 서문에서 “근래에 중국 정토 관련 서적을...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국조정토록
정토의범
정토의범
정토의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