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광고에 이용하는 유행어
    경우에는 저작권법상의 실연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연을 제3자가 따라하는 것은 실연자의 실연을 복제하는 것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저작인접권 침해로도 볼 수 없다. 그러나 특정인의 독특한 동작이나 행동을 모방하거나 성대모사를 하여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상의 권리를 침해하지는...
    분류 :
    퍼블리시티권
  • 방송저작권 copyright originating from broadcast
    저작인접권의 하나로 방송사업자에게 인정된 세 가지 권리. 방송사업자는 그 방송을 수신하여 녹음·녹화하거나 사진을 복제하는 행위에 대한 허가권, 그 방송을 수신하여 재방송 또는 유선방송하는 행위에 대한 허가권, 그 방송을 수신하여 영상확대장치를 통해 대중에게 전달하는 행위에 대한 허가권을 갖는다.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지적소유권 知的所有權
    대한 권리와 상호, 상표 등 영업상 유용한 표지에 대한 권리로 나뉘어진다. 그래서 지적재산권은 저작물 보호를 위한 저작권, 실연가 등의 보호를 위한 저작인접권, 과학적 소유권, 특허군, 실용신안권, 의장권, 상표권, 노우하우에 대한 영업비밀에 관한 권리, 부정경쟁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권리 등을 포함하는 매우...
    시대 :
    현대
    성격 :
    권리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판면권 版面權
    디자인, 교정 등 출판인의 노력과 투자를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국은 1956년 최초로 판면권을 도입했고 스페인, 호주, 아일랜드 등에서도 판면권을 저작인접권의 일종으로 인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저작자의 권리에 비해 판면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누군가 허락 없이 종이책을 베껴 전자책...
  • 실연자와 음반제작자의 판매용 음반에 대한 공연보상청구권
    수 있다. 서울고등법원 2013. 11. 28. 선고 2013나2007545 판결. 이 사건은 백화점에서 판매용 음반을 재생함으로써 실연자와 음반제작자에게 인정되는 저작인접권 중 공연권의 침해 여부가 다투어진 사안으로, 저작권법 제76조의2와 제83조의2에서 실연자와 음반제작자에게 ‘판매용 음반’의 공연에 대한 보상청구권을...
    분류 :
    저작인접권
  • 권리 침해 복제물 infringing copies
    그 제작이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침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제작과정이나 방법을 불문하고 제작된 저작물의 복제물을 말한다. 시청각 고정물, 음반 또는 그 복제물의 경우 침해복제물의 제작은 관련 저작인접권도 침해하게 된다. 그 복제물은 원칙적으로 압류의 대상이다.
    분류 :
    저작권 법률용어
  • 디지털음원기획자
    체결한다. 음원배포, 뮤직비디오, 이벤트, 홍보, 공연, 방송출연 등 각종 프로모션 방법과 일정을 고안하고 실현한다. 계약에 의해 유통사가 가지는 저작인접권(저작권에 인접한, 저작권과 유사한 권리로서 저작물을 일반인이 향유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자에게 부여한 권리)을 보호하기 위한 모니터링업무를 수행한다...
    교육수준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숙련기간 :
    1년 초과 ~ 2년 이하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외
    육체활동 :
    청각
    직무기능(자료) :
    조정
    직무기능(사람) :
    협의
    직무기능(사물) :
    관련없음
    고용직업분류 :
    [0243]상품 기획자
    표준직업분류 :
    [2731]상품 기획 전문가
    표준산업분류 :
    [J639]기타 정보 서비스업
    조사연도 :
    2013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음반 唱片, phonogram
    음(음성, 음향)이 유형물에 고정된 것(저작권법 제2조 5호). 실연과 마찬가지로 저작인접권의 대상이며 실연상의 소리나 기타의 소리를 오로지 청각적으로 고정한 것을 말함. 따라서 디스크나 테이프에 소리가 녹음되어 있다면 그것이 바로 음반이 됨. 그러나 소리와 함께 영상이 수록되어 있다면 이는 음반이 아니라...
  • 해적행위 Piracy, Piraterie
    통상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 분야에서 공개 배포하기 위하여 허락을 받지 않고 발행 저작물이나 음반을 복제하거나 다른 사업자의 방송물을 허락 없이 재방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분류 :
    저작권기술 일반 용어
  • 한국음반산업협회 韓国レコード産業協会
    한국음반산업협회는 음반제작자의 권익 보호, 음반제작자의 음반에 관한 저작인접권의 신탁 관리를 목적으로 2001년 11월 17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1592 The PAN 7층에 있다. 음반제작자의 저작인접권의 신탁 관리 음반제작자의 판매용음반 방송...
    도서 위키백과
  • 윤종수 (법조인)
    법센터 인터넷과 법률 II, 2005) 법과 증거, 그 의미와 한계 (서울대학교 자연대 자연과학, 2006 여름호) 정보법 판례백선 (공저, 2006) 저작인접권에 관한 고찰 - 저작인접권의 본질론적 검토와 미디어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응을 중심으로(법원도서관 사법논집 제45집, 2007) 저작권법상 방송 및 웹캐스팅의 지위에...
    도서 위키백과
  • 한국음악산업협회
    추진사업 음반제작자와 음반배급자의 권익 보호 및 상호 발전책 연구 음반산업 발전을 위한 조사•연구 국내 음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 저작인접권 신장 및 저작인접권 집중관리 업무 음반산업 시설•장비의 현대화 및 제작기술 향상 업무 음반 유통구조 개선사업 및 정보화 사업 음반산업 보호를 위한 불법음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