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미술전람회의 작품경향등이 이런 경향을 보이며 상위에 입상하면서 주요화가로 떠올랐고 이후 화단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했다. 서양화의 경우 초기에는 고희동·나혜석과 같은 일본의 미술학교 졸업생을 포함한 극소수의 화가들만 참여했으나 그 수효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제3회 이후에는 동양화보다 많은 작품이 출품, 입선했고 1930...
-
불교미술 佛敎美術초기 불화를 대표하는 가작으로 꼽히고 있다. 그리고 전기에 속하는 탱화로서 일본 등 국외에서 전하고 있는 것이 몇 점 알려져 있다. 조선 후기에 이르면 불교...僧兵)들의 본거지였다. 그러므로 극심한 피해를 입어 이 시대 불교 미술, 특히 회화는 완전히 불타 버렸거나, 아니면 왜인(倭人)들이 닥치는 대로 약탈하여...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삼국시대의 한국미술걸쳐 동시에 진행된 이러한 불교미술의 영향은 한국의 미술의 고대적·중세적 전개에 질적·양적인 변화를 초래했으며 범종·반가사유상·석굴암·고려불화·사경 등에서 독특한 양식과 세계적인 걸작품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그리고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불교미술은 일본의 불교미술 형성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
조선미술전람회의 설치배경정비해갔다. 이 과정에서 한국 근대미술의 일본화를 목적으로 문화정책을 주도적으로 제시하고 미술학교 설립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토대로 조선미술을 근본적...조선인 미술가 단체인 서화협회가 전시회를 개최하자 이에 자극을 받아 일본의 관전인 문부성전람회(문전)와 제국미술전람회(제전)를 본떠 조선미술전람회를...
-
평면 미술 平面 美術거쳐 1930년대 본격적인 미술 공부를 위해 일본 유학길에 올랐다. 서진달, 김재선은 동경미술학교로, 양달석(梁澾錫), 김용환, 김종식, 송혜수(宋惠秀)는 일본제국미술학교로, 임호(林湖), 김윤민(金潤玟), 김인태는 오사카미술학교로, 김경(金耕), 한상돈(韓相敦) 등은 일본 미술 학교로 유학하는 등 비록 일본을 통한...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추상화 抽象畵포스트모던적 추상, 후기 추상 등의 이름으로 불리며 모더니즘의 비판적 성찰을 위한 개념작업으로서의 추상을 시도한다. 의의와 평가 1930년대에 일본의 전위적 미술단체에 참여하는 활동으로 시작된 한국의 추상화는 식민 상황 속에서도 추상미술의 국제성과 보편성을 수용하였다. 이후 형상미술의 복권에 의해 부침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서양 미술과 오리엔탈리즘 들라크루아 ‘사르다라팔루스의 죽음’과 사이드 ‘오리..초중등 미술 시간에 동양화를 배우나, 음악시간에 판소리나 민요를 배우나, 체육시간에 전통 태껸을 배우나? 이 모든 과정을 거쳐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일체의 서구적인 것들을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일체의 동양적인 것들은 고리타분하고 비정상적인 것으로 우리 내부에 각인된다. 결정적으로 세계관과...
-
미술 美術컸다. 광복이 되자 일본에서 공부하던 화가들이 부산으로 돌아왔다. 대표적인 인물이 동경미술학교에 서진달·김재선, 일본제국미술학교에 양달석·김용환·김종식, 오사카미술학교에 임호·김윤민·김인태, 일본미술학교에 김경, 태평양미술학교에는 천재동 등이었다. 이들은 일제 강점기 조선 미술 전람회 또는 부산...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