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약기 藥器
    짜기 때문에 힘도 훨씬 덜 들고 양도 많이 나올 수 있었다. 약반죽기는 약재들을 빻은 가루에 물을 조금 타서 섞고 이겨서 환약을 만들 때 쓰던 큰 그릇이다. 나무나 오지로 야트막한 함지박처럼 만들었다. 약을 조제하는 과정은 요리하는 것과 비슷하다. 약을 살짝 볶을 때에는 은이나 조개로 만든 프라이팬 같은 것이...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의약학
  • 콩고 민주공화국의 문화
    콩고 민주공화국의 민속 전통은 오지 그릇과 라피아 직물, 예복과 전통의상, 무용, 노래 등에 강하게 남아 있다. 국민들은 지금도 탈, 작은 상, 돌과 못을 박은 조상과 같은 전통적인 물건들을 만든다. 전통적인 리듬에다 다른 문명·문화·대륙에서 차용한 악기들을 결합한 대중음악은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귀족적
    뤄양의 궁정관리이기도 했던 왕유가 가장 뛰어났다. 자유분방한 붓놀림이 새롭게 개발되어 질감과 색조에 더욱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게 되었다. 도자기 부분은 침체기였던 육조시대(六朝時代)를 지나 큰 발전을 이루었다. 백자의 광택, 검은 유약을 충분히 써서 만든 오지그릇 및 청자 등이 모두 이 시대에 개발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국
  • 콩나물시루 같다
    ‘시루’는 떡 따위를 찔 때 쓰는 둥근 오지그릇으로서, 밑에 6~7개의 구멍이 뚫렸다. 시루는 콩나물을 기를 때도 이용된다. 콩을 담은 시루를 그늘에 두고 물을 주어 기르면 콩이 싹을 틔워서 시루가 빽빽할 정도로 자란다. 이것을 콩나물이라고 한다. 또는 그것으로 만든 나물이 콩나물이다. ‘(비유적인 표현으로...
  • 서양 양배추김치
    소금과 켜켜로 담아 깨끗한 천으로 덮고 무거운 것으로 눌러 뚜껑을 덮은 채 3~4주 정도 발효시켜 만든다. 향신료와 약초를 넣어 맛을 낼 수 있고, 오지그릇이나 유리병에 담아 저장한다. 소금 농도가 3%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소금 농도를 3%로 계량할 경우 물을 넣어 전체 농도가 2.2~2.5%가 되도록 한다. 재료...
    도서 전통저장음식 | 태그 음식 , 레시피
  • 회령시의 산업과 교통
    공업은 회령탄광기계공장을 중심으로 회령갱목사업소·회령곡산공장과 전등·직물·제지·제약·제당·도자기 공장들이 있다. 또한 이곳에서 생산되는 회령오지그릇도 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철도는 함북선(나진-청진)이 지나며, 이곳에서 분기한 회령탄광선(회령-유선), 금생-궁심, 신학포-세천을 잇는 지선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독 안에 들다
    ‘독’은 입구가 바닥보다 넓고 배가 볼록하며 양옆에 손잡이가 달린 오지그릇이나 질그릇을 말한다. 주로 장을 담그는 데 쓰인다. ‘독 안에 든 쥐’라는 말이 있다. 쥐가 실수로 독 안에 빠지면 그곳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떤 포위망이나 함정 따위에서 아무리 벗어나려 해도 벗어날 수 없는...
  • 채독
    내용 오지그릇이 귀한 산간지방에서 많이 쓰인다. 아가리는 둥글며 바닥은 네모꼴 또는 둥근모양이다. 안쪽에는 틈을 메우기 위하여 쇠똥을 바른 다음(쇠똥에는 섬유질이 많기 때문) 진흙을 덧바르거나 아예 보릿겨와 진흙의 반죽을 바르며 안팎으로 종이를 바르기도 한다. 채독에는 콩·감자·고구마와 같은 마른 곡식...
    성격 :
    생활용품, 그릇
    유형 :
    물품
    재질 :
    싸리, 쇠똥, 진흙, 보릿겨, 종이
    용도 :
    저장
    분야 :
    경제·산업/산업
  • 게막 기막, 게幕
    통대나무(굵기 1.5m)를 촘촘하게 세워 물흐름에 비스듬히 쳐서 물이 막쪽으로 쏠리게 한다. 한편, 도랑 건너편 한가운데에 작은 구멍을 파고 등잔불을 켜되 오지그릇 따위를 덮어서 불빛이 바닥만 비치도록 한다. 게는 불빛에 민감해서 작은 불빛에도 달아나 버리기 때문이다. 게막에서 혼자 밤을 지키기는 매우 어려운...
    시대 :
    현대
    유형 :
    물품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오매차 여지장
    식재료 오매육 40g, 생강가루 4g, 계핏가루 2g, 정향가루 2g, 설탕 2컵, 물 1L(5컵) 조리방법 1. 오매육은 깨끗이 씻어 오지그릇에 물(3컵)을 부어 은근하게 달인 후 오매육이 풀어질 정도로 물러지면 으깨어 국물을 체에 거른다. 2. 냄비에 설탕과 동량의 물(2컵)을 넣고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끓인다. 3. 설탕물에...
    분류 :
    다과류 > 음청류 > 차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조상단지 부루단지, 祖上─
    신주를 모실 수는 없으니, 그 사당의 약식인 셈이다. 마찬가지로 호남지방에서는 장손집에서 제석오가리와 신주단지(또는 몸오가리)를 모신다. 오가리란 오지그릇의 단지나 항아리를 가리키는 사투리이다. 이 때, 제석오가리는 영남지방의 세존단지나 시조단지와 같은 먼 조상신의 상징물이어서 역시 한 개이고, 신주...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동산도기박물관 東山陶器博物館, DONGSAN POTTERY MUSEUM
    국시대로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의 각종 토기가 전시되어 있는데, 가야의 오리형 토기(鴨形土器)와 통일신라의 뼈단지(骨壺)가 대표적이다. 옹기 전시실은 오지그릇과 질그릇이 분리 전시되어 우리나라의 옹기문화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데, 옹기 연가(煙家)와 질 벌통 그리고 다양한 항아리 등이 시선을 끈다. 중리동...
    시대 :
    현대
    위치 :
    대전광역시 서구 도마동 107-1(제1관)대전광역시 대덕구 중리동 400-4(제2관)
    설립 :
    1997년 3월 1일
    성격 :
    박물관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정복(李正馥)
    분야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오지그릇
오지그릇
오지그릇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