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1944年鸭绿江口地震지진 정보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또는 1944년 압록강 하구 지진은 1944년 12월 19일 한국-중국 국경지대인 중국 랴오닝성 단둥 시 둥강 시에서 일어난 모멘트 규모 Mw6.6-6.8의 지진이다. 지진 발생 당시엔 일제강점기 조선과 만주국의 국경 지대였다. 이 지진은 한반도 전역에서 감지되었다. 일본에서도...도서 위키백과
-
Amrokkang Sports Club 압록강체육단, 鴨緑江体育団Amrokkang Sports Club or Amrokkang Sports Team is a North Korean multi-sports club.It has a football club that has been known to play in the DPR Korea League. This club belongs to the Ministry of People's Security (North Korean Police). Not much is known about this team other than they won...출처 영어 위키백과
-
서희의 담판 서희가 거란의 침입을 말로써 종식시키다의 동경(東京)도 모두 우리 땅인데, 어찌 침식이라고 하는가.” 이어서 서희는 “우리나라가 고구려를 계승하여, 국호를 고려라 하고 평양을 수도로 삼았다. 또 압록강 내외도 우리의 경내인데 지금 여진이 길을 막고 있어 바다를 건너는 것보다 더 어렵다. 거란에 사신이 오가지 않는 것은 여진 때문이다.” 하고 말...
- 시대 :
- 993년
-
단동 丹東내용 백두산에서 발원한 압록강이 단동과 북한의 경계를 이루는데,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와 대륙의 경계로 군사요충지 역할을 했다. 하류인 동강만(東江灣)에서 발해만(渤海灣)으로 연결되는 지리적 특성을 가진 탓에 일찍부터 한반도와 대륙을 연결하는 해상 수운이 발달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압록강...
- 시대 :
- 조선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