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압록강 단교 Yalu River Broken Bridge, 鴨緑江断橋
    교량 정보 압록강 단교(鴨綠江斷橋, 구 압록강 철교(鴨綠江鐵橋)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 압록강 국경에 일본 제국이 건설한 철교로,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의 폭격으로 단교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09년 일본 제국이 서울과 신의주를 연결하는 경의선에서 압록강을 건너 중국 단둥으로...
    도서 위키백과
  • 압록강대교 New Yalu River Bridge, 新鴨緑江大橋
    전체 길이는 6,026 m, 연결 도로까지 포함하면 20 km의 길이에 이른다. 신압록강대교의 건설은 2009년 10월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의 방북 때 채결한 '경제협력협정'에 의해 건설을 시작하였다. 사업비는 1억5000만 달러로 중국 측은 교량 건설을, 북조선 측은 세관과 도로 건설을 맡기로 하였다. 신압록강대교는 원래...
    도서 위키백과
  • 압록강체육단 Amnokgang Sports Club, 鴨緑江体育団
    압록강체육단(鴨綠江體育團, Amnokgang Sports Club)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를 연고지로 하는 종합스포츠클럽으로 소속 축구단이 특히 유명하다. 경찰 조직에 해당하는 인민보안성에 소속해 있다. 1947년에 설립되었다. 7명의 '공화국 영웅', '로력 영웅', 80명의 '인민체육인'과...
    도서 위키백과
  • 압록강 Amrokkang station, 鴨緑江駅
    철도역 정보 압록강역(鴨綠江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삭주군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과거에는 수풍호안역(水豊湖岸驛)이라고 불렸으며, 1940년 9월 30일에 개업되었다.Kokubu, Hayato, 将軍様の鉄道 (Shōgun-sama no Tetsudō), ISBN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압록강아 말하라
    영화 정보 "압록강아 말하라"는 1965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신영균 김혜정 전계현 트위스트 김 박노식 압록강아 말하라 -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도서 위키백과
  •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1944年鸭绿江口地震
    지진 정보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또는 1944년 압록강 하구 지진은 1944년 12월 19일 한국-중국 국경지대인 중국 랴오닝성 단둥 시 둥강 시에서 일어난 모멘트 규모 Mw6.6-6.8의 지진이다. 지진 발생 당시엔 일제강점기 조선과 만주국의 국경 지대였다. 이 지진은 한반도 전역에서 감지되었다. 일본에서도...
    도서 위키백과
  • 조중우의교 Sino-Korean Friendship Bridge, 中朝友誼橋
    공화국 신의주시와 중화인민공화국 단둥(단동)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압록강변에 위치해 있으며 차량과 보행자도 통행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구 명칭인 압록강철교(鴨綠江鐵橋)로도 불린다. 1911년 안둥 방향 4번째 경간에 대형선박 통과를 위한 회전식 개폐 장치가 갖추어진 단선 철교로 개통되었고 1943년 압록강...
    도서 위키백과
  • Amrokkang Sports Club 압록강체육단, 鴨緑江体育団
    Amrokkang Sports Club or Amrokkang Sports Team is a North Korean multi-sports club.It has a football club that has been known to play in the DPR Korea League. This club belongs to the Ministry of People's Security (North Korean Police). Not much is known about this team other than they won...
  • 서희의 담판 서희가 거란의 침입을 말로써 종식시키다
    의 동경(東京)도 모두 우리 땅인데, 어찌 침식이라고 하는가.” 이어서 서희는 “우리나라가 고구려를 계승하여, 국호를 고려라 하고 평양을 수도로 삼았다. 또 압록강 내외도 우리의 경내인데 지금 여진이 길을 막고 있어 바다를 건너는 것보다 더 어렵다. 거란에 사신이 오가지 않는 것은 여진 때문이다.” 하고 말...
    시대 :
    993년
  • 단동 丹東
    내용 백두산에서 발원한 압록강이 단동과 북한의 경계를 이루는데,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와 대륙의 경계로 군사요충지 역할을 했다. 하류인 동강만(東江灣)에서 발해만(渤海灣)으로 연결되는 지리적 특성을 가진 탓에 일찍부터 한반도와 대륙을 연결하는 해상 수운이 발달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압록강...
    시대 :
    조선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자강도의 자연환경
    1,433m) 등의 고개들이 나 있다. 동쪽의 낭림고원에는 희색봉(2,185 m)·연화산(2,355m) 등의 장년기 산지들이 중첩되어 있고 북쪽에는 학성산(1,276m) 줄기가 압록강 유역으로 뻗어 있다. 강남산맥은 장강군 사랑봉(1,787m)에서 갈라져 압록강 남쪽 사면을 따라 뻗어 내려 황수령(1,475 m)·향래봉(1,727m)·비삼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9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