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여와 女媧, Nu Kua
    전설에 따르면, 여와는 반역자 공공이 화가 나서 파괴한 하늘의 기둥과 땅 끝의 갈라진 틈을 거북의 다리와 5색 돌을 함께 녹여 메웠다고 한다. 또한 산신령들이 하룻밤 사이에 준비한 재료로 아름다운 궁전을 지었는데, 이 궁전은 나중에 성벽을 둘러친 중국 도시들의 원형이 되었다. 여와는 소들의 왕의 콧구멍 속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포항시 교육과 문화
    나갔다가 죽은 이를 위한 사령굿인 수망굿(오구굿)도 자주 하고 있다. 굿의 형태가 다양하여 부정굿·문굿·세존굿·성주굿·조상굿·화해굿·토지신굿·산신령굿·용왕굿·천앙굿·뱃노래굿 등 30여 거리가 있어 한번 굿판을 벌이면 보통 3일이 걸린다. 그밖에 민속놀이로는 중요민속자료 제187호로 지정된 모포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타이 산 위황 산, 泰山
    타이산 산의 신령이 인간의 모든 운명을 지배하며 사람이 죽으면 영혼은 심판을 받으러 타이산 산으로 돌아간다고 믿었다. 원래 태산부군으로 불린 이 산신령의 이름은 체계적인 도교가 등장하면서 태악대제로 바뀌었다. 명대(1368~1644)에 민간신앙의 중심은 태악대제에서 그의 딸인 태산낭랑으로 바뀌었다. 태산낭랑은...
    위치 :
    중국 산둥 성 중부 타이산 산맥
    대륙 :
    아시아
    국가 :
    중국
    높이 :
    1,524m
    특징 :
    유네스코 세계유산 (1987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 진해시의 교육과 문화
    당산제가 있다. 설화로는 장천동의 천자봉과 명(明)나라의 태조 주원장(朱元璋)에 얽힌 전설이 전해내려오고 있으며, 그밖에 〈갈바위전설〉·〈부엉산 산신령전설〉·〈마야령전설〉·〈대홍수와 사람의 시조이야기〉 등이 전한다. 민요로는 〈모찌는 노래〉·〈모심는 노래〉·〈논매는 노래〉·〈지신밟기소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도깨비 방망이〉에 나오는 개암은 무슨 열매일까
    방망이〉에는 ‘개암’이라는 열매가 등장합니다. 대강의 줄거리는 이렇습니다. 착한 동생이 개암 하나를 ‘딱’ 하고 깨물자 그 소리를 들은 도깨비들이 산신령이 노했다며 방망이를 버리고 도망치지요. 동생은 도깨비 방망이를 갖고 집으로 가서 ‘금 나와라 뚝딱’, ‘은 나와라 뚝딱’ 큰 부자가 됩니다. 그 말을...
  • 서왕모 西王母, His Wang Mu
    명성 때문에 주목받지 못한 남편 목공은 동화의 남자 정령들을 감시했다. 전설에 의하면, 서왕모는 본래 인간과 비슷하지만 표범 꼬리와 호랑이 이빨을 가진 산신령이 아름다운 여인으로 변했다고 한다. 그녀의 서화 정원에는 희귀한 꽃들, 특이한 새들, 불로장생의 복숭아인 반도 등이 있다고 한다. 도교전설에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띄어쓰기를 꼭 해야 하나요?
    큰따옴표(“ ”)가 있고,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이 들어갈 때나 마음속으로 하는 말을 나타내 주는 작은따옴표(‘ ’)가 있어요. 큰따옴표 [예시] 산신령이 “은도끼가 네 도끼냐? 금도끼가 네 도끼냐?”라고 물어보았어요. 작은따옴표 [예시] 피아노 대회날, 나는 ‘떨리지만 할 수 있어’라고 다짐했어요. 쓰는...
    분야 :
    문법
    교과단원 :
    초등 1학년 1학기 〈알맞게 띄어 읽어요〉, 초등 2학년 1학기 〈생각하며 읽어요〉, 초등 2학년 1학기 〈보고 또 보고〉, 초등 4학년 1학기 〈문장을 알맞게〉
  • 산신당 산제당, 山神堂
    경우도 있다. 당집이 생기면 안에 위패나 산신도가 모셔지는 경우가 많은데, 산신도는 대개 범을 곁들인 노인상이 된다. 한국의 산신은 옛날부터 범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산악숭배와 범의 인격화가 산신령이라고 할 수가 있다. 동제당으로서의 산신당의 제의는 일반 동제당과 그 성격이나 내용이 같다. 참고문헌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테페우안족 Tepehuan
    가톨릭교와 토착종교의 요소가 혼재되어 있다. 남부 테페우안족 사이에서는 공식적인 가톨릭 성사가 거행되지만, 북부 테페우안족은 이러한 행사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이들의 종교에서는 조물주, 예수, 성모 마리아, 가톨릭 성인들과 사슴신, 산신령, 샛별, 아스텍 신화의 케찰코아틀과 같은 영웅이 함께 숭배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종/민족
  • 명월산 흥국사 明月山 興國寺
    에 의하면, 김수로왕이 48년에 명월산 고교(高橋) 밑에서 왕후 허씨(許氏)를 친히 맞아 들여 환궁하였는데, 이때 허씨는 입고 온 비단 바지를 벗어 이 산의 산신령에게 폐백을 올렸다고 한다. 왕은 그 신령스러움에 감동하여 산의 이름을 명월산이라 하고, 세자를 위해 신국사(新國寺)를, 왕후를 위해 진국사(鎭國寺)를...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전설따라 삼천리 傳說─三千里
    자료수집이나 투고방식에 의하여 제작진의 현장취재로 결정되었다. 이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특히 어려운 점이 많아 항상 제작진들을 괴롭혔다. 즉, 산신령이 나타나는 소리, 마귀가 우는 소리, 조롱박이 황소로 변하는 소리 등 기상천외의 효과음을 만들어내야 하였다. 제작진들은 소리의 합성, 전자음향 사용...
    시대 :
    현대
    창작/발표시기 :
    1965년 5월 1일
    성격 :
    라디오 연속극
    유형 :
    작품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관성묘 서울장충동관성묘, 關聖廟
    않다. 이 묘가 있는 부근에는 원래 남영(南營)이 있었으므로 남영 관하의 관성묘이었으리라는 추측도 있다. 당은 16평의 기와건물로 내부에는 관운장부부가 조상의 형태로, 그리고 산신령의 무신도가 모셔져 있다. 한때 굿당으로 무당과 단골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으나 요즈음은 별로 굿을 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황해도 평산 소놀음굿 산신령 청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