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산악숭배 山岳崇拜산악에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여 숭배하는 신앙행위. 산악신앙. 내용 환웅(桓雄)이 하늘에서 태백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 그곳에 신시(神市)를 차렸다는 단군신화의 기록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산악신앙의 자취를 보여주고 있다. 하늘의 신과 동일시된 가락왕국의 시조 김수로(金首露)가 강천(降天)하였다는 구지봉(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산악숭배 사상의 전개죽어서 산신이 된다는 믿음은 단군이 아사달의 산신이 되고, 탈해(脫解)가 동악산신 즉 토함산 산신이 되었었다는 데서도 알 수 있다. 신라시대에는 이미 산악숭배신앙이 널리 퍼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에서는 오악신(五岳山)에 대해 제사를 지냈는데, 이는 중국의 5악사상을 연상하게 한다. 즉 동토함산·남지리산...
-
산악숭배의 한국적 특징한국의 산악신앙은 산 자체의 인격화, 신의 거처지, 사령이 사는 곳, 산신당, 산신제, 선신 등의 관념이 복합되어 있다. 산신에 대한 제사장소인 신단에 대해 살펴보면, 이 신단에는 신단과 신수의 합성어인 신단수가 있다. 이는 본래 대개가 산정 위에 있었고, 그것이 세계의 중심인 우주목의 역할을 하고 있었음을 알...
-
산신신앙 山神信仰바치는 믿음이라고 민속현장에서 해석되고 있다. 산악신앙은 천지 및 천체신앙과 함께 자연신앙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이루게 된다. 산신신앙과 산악숭배가 자연숭배의 일단으로 상고대 북방계열의 사회에서 지켜졌음을 중국측 사료에서 볼 수 있다. “그 풍속은 산천을 존중한다. 산천에는 각기 부계(部界)가 있어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신라오악 新羅五嶽개설 신라오악은 삼국통일 이전에는 경주평야를 중심으로 한 경주 주변의 산악이었으며, 통일 이후에는 신라의 중앙과 사방의 산악으로 확대되었다. 신라 사람들은 이러한 산악에 신적인 존재가 거주하는 것으로 믿는 산악숭배사상을 가지고 산신에 대해서 제사를 지냈다. 내용 삼국통일 이전 신라오악은 신라 중심부인...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대사
-
산신당 산제당, 山神堂내용 한국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서 예로부터 강했던 산악숭배에서 유래해온 것으로 그 종류가 다양하다. 첫째는 큰 산이 있는 곳에서 산악숭배를 구상화(具象化)한 것으로 대관령의 산신당이나 서울의 보현산신각(普賢山神閣: 서울특별시 종로구 平倉洞, 서울특별시민속자료 제3호) 등이 그러한 예가 될 수 있다. 둘째...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삼소 三蘇내용 세 곳의 지덕을 빌어 국기(國基:국가의 기초)를 연장하려는 것으로, 지리도참사상과 산악숭배사상이 결합되어 나타났으며, 삼경제(三京制)와 비슷한 관념을 지니고 있다. 삼소는 좌소(左蘇)·우소(右蘇)·북소(北蘇)를 말하는데, ‘소(蘇)’의 의미에 대하여는 학자들의 의견이 서로 다르다. 이병도(李丙燾)는 산...
- 시대 :
- 고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