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포항시 교육과 문화

다른 표기 언어

요약 경상북도 동남부의 동해안에 있는 포항시의 교육기관과 의료기관 및 지역 문화.

전통 교육기관으로는 조선시대에 영일향교와 덕림사, 장기면의 장기향교, 흥해읍의 흥해향교, 오천읍의 오천서원, 송라면의 학산서원, 장기면의 죽림서원, 구룡포읍의 광남서원 등이 있었다. 덕림사는 송시열이 숙종 즉위 후 상복 문제로 장기에 유배될 때 이곳을 지나갔다 하여 유림제현들이 그를 배향하기 위해 1794년(정조 18)에 건립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 1902년에 개교한 호상학교가 있었으나 1909년 폐교했고, 1910년 영흥소학교가 세워졌다.

2016년 기준 교육기관으로는 유치원 115개원, 초등학교 65개교, 중학교 34개교, 고등학교 27개교 등이 있으며, 고등교육 기관으로는 포스텍, 포항대학교, 선린대학교, 한동대학교가 있다. 이외에 명도학교, 한동글로벌학교, 포항고부설 방송통신고 등이 있다.

포스텍(POSTECH)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암로에 있는 이공계열 연구 중심 사립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홍보팀/wikipedia | CC-BY-SA-2.0

한편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5개원, 의원 244개원, 특수병원 1개원, 요양병원 24개원, 치과병원 136개원, 한의원 120개원, 보건소 관련 기관 38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594개소, 노인주거복지시설 1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30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22개소, 여성복지시설 4개소, 아동복지시설 1개소, 장애인복지생활시설 8개소, 노숙인시설 2개소, 보육시설 567개소 등이 있다.

포항시는 바다를 끼고 있어 풍어제 성격을 띈 향사가 많이 열리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두호동의 제동당제와 동해의 별신제이다. 두호동 두무치마을에서 행해지던 천제당제의 특징은 마을 동제의 성격에만 머무르지 않고 제당 명칭과 신의 명칭에 보이듯 범지방적인 데 있다. 동해별신굿은 '벨손'이라 불려지기도 하는데 마을의 풍어를 비는 가장 큰 축제이다.

또한 고기잡이를 나갔다가 죽은 이를 위한 사령굿인 수망굿(오구굿)도 자주 하고 있다. 굿의 형태가 다양하여 부정굿·문굿·세존굿·성주굿·조상굿·화해굿·토지신굿·산신령굿·용왕굿·천앙굿·뱃노래굿 등 30여 거리가 있어 한번 굿판을 벌이면 보통 3일이 걸린다.

그밖에 민속놀이로는 중요민속자료 제187호로 지정된 모포큰줄다리기가 대표적이다. 구전되는 설화로는 <일월지설화>·<천곡사전설>·<시장터전설> 등이 있고, 민요로는 <질로질로가다가>·<고무도덕>·<의나리청청>·<또딱새>·<추모(追慕)>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북도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포항시 교육과 문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