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갈리아 정복
    앞에 용맹스럽던 로마군도 당해내지 못하고 각처에서 패전을 거듭했다. 이 소식이 로마에 전해지자 카이사르는 곧바로 갈리아로 돌아와 친히 군대를 이끌고 반란군 진압에 나섰다. 그러나 이번에는 의외로 쉽지 않았다. 반란군과 카이사르는 일진일퇴의 싸움을 계속 해나갔다. 그 사이에 반란군의 세력은 갈리아 전 지역...
    도서 이야기세계사1 | 태그 세계사
  • 라진 스테판 티모페예비치 라진, Stenka Razin
    용기백배한 그는 볼가 강까지 진격하기로 결정하고 도중에 농민과 도시하층민 들을 선동해 귀족과 관료를 타도하기 위한(그러나 차르에는 대항하지 않았음) 반란군에 가담시켰다. 2만 명으로 늘어난 병력을 이끌고 사라토프를 정복했으며 심비르스크까지 진출하여 그의 반란군은 볼가 강 전지역 및 돈 강과 도네츠크 강...
    출생 :
    1630경, 러시아 치모베이스카야나도누
    사망 :
    1671. 6. 16(구력 6. 6), 모스크바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세포이 항쟁의 전개
    일으켜 이 지역의 영국 세력을 몰아내고 델리로 진격했다. 델리에서는 성 안의 세포이와 시민이 성문을 열고 이들을 맞이함으로써 순식간에 반란군은 도시를 점령했다. 반란군은 명목뿐이던 무굴 황제를 다시 옹립하고 그의 통치 부활을 안팎에 선언했으며, 전국 각지에 반란 동참을 호소했다. 델리에서 독립의 횃불이...
  • 조위총의 반란
    호응해 오자 그 세력을 규합하여 정중부의 중앙정부에 반기를 들었다. 이 소식을 들은 정중부는 윤인첨과 두경승을 보내어 반란군을 토벌케 했으나 반란군의 세력이 막강해서 토벌군은 반란군을 쉽게 진압하지는 못했다. 다만 두경승의 활약으로 반란군이 약간 밀리는 형편이었다. 조위총은 이듬해 금나라에 구원병을...
  • 동진 ∙ 오호십육국 시대, 동진의 멸망
    연안 지방의 소작인들을 징집하여 병역에 복무시키겠다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이 조치는 손은을 유리하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와 소작인들이 모두 손은의 반란군에 가담해버렸다. 이 때문에 손은은 군사를 일으킨 지 불과 열흘 안에 수십만 명의 군사를 거느리게 되었다. 손은은 도교를 신봉하는 자로서 그의 반란군은...
  • 위공 衛恭
    일길찬(一吉飡) 장웅(張雄)을 선발대로 하고, 뒤이어 잡찬(迊飡) 위공과 파진찬(波珍飡) 제릉(悌凌)을 파견하였다. 장웅의 군은 도동현(道冬峴)에서 반란군을 격파하고, 또 위공·제릉의 군과 연합하여 삼년산성(三年山城 : 지금의 충청북도 보은)에서 반란군을 격파하고 속리산으로 진격하여 반란군을 섬멸하였다. 이어...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잡찬(迊飡)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김헌창의 난
    직업 :
    장수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백련교도의 난 White Lotus Rebellion
    모든 식량공급을 차단하고 그곳의 농민들을 요새지역으로 이동시켜야만 했다. 요새 안에서 농민들은 지방 방위군으로 편성되었고 방위군 가운데 일부는 반란군을 색출하기 위한 공격부대가 되어 더 많은 훈련을 받았다. 이후 반란군에게 지위와 신분을 보장해주겠다는 회유와 아울러 반란군 지도자를 체포한 경우 포상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홍경래의 난의 성격과 실패원인
    1811년 12월 22일에 선포된 반란군의 격문을 보면, 지방적 차별대우를 반대하는 평안도 몰락양반·토호들의 요구가 강력하게 반영되어 있다. 또한 안동김씨 일문의 세도정치가 민의 생활에 끼친 폐단에 대해서도 신랄한 비판을 가했으며, 조선왕조 멸망의 불가피성과 새로운 정치를 실현하는 것에 대한 전망을 제시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안녹산 安祿山, An Lushan
    양국충을 제거하라는 황제의 밀지(密旨)를 받았다고 주장하면서 전쟁으로 단련된 대규모 군대를 남하시켜 수도로 진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개월 만에 반란군은 동쪽 수도인 뤄양을 함락시켰고, 756년 음력 정월에 안녹산은 스스로 대연 황제임을 선포한 뒤 성무(聖武)로 개원했다. 한편 당의 관군들은 산시[陝西]로...
    출생 :
    703
    사망 :
    757, 중국 뤄양[洛陽]
    국적 :
    중국
  • 당나라 체제를 붕괴시킨 반란, 안사의 난
    태수 안진경과 상산태수 안고경, 곽자의, 이광필 등이 공격하자 안녹산의 군대는 더 이상 진격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 이때 동관을 지키던 가서한(哥舒翰)이 반란군을 저지해 무공을 세울까 두려워한 양국충은 현종으로 하여금 가서한에게 낙양 공격 명령을 내릴 것을 상주했다. 현종은 이에 가서한에게 낙양 공격을...
    시대 :
    755년
  • 영국의 지배와 인도사회
    세포이가 폭동을 일으켜 이 지역의 영국 세력을 몰아내고 델리로 진격했다. 델리에서는 성 안의 세포이와 시민이 성문을 열고 이들을 맞이함으로써 순식간에 반란군은 이 도시를 점령해버렸다. 그들은 명목뿐이던 무굴 황제를 다시 옹립하고 그의 통치 부활을 안팎에 선언했으며, 그의 이름으로 전국 각지에 반란 동참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시아
  • 이인좌 조선 후기의 역신
    상태였다. 충청병사 이봉상은 충무공 이순신의 5대손이었는데 술에 취해 잠을 자다가 기습공격을 받고 군관 홍림과 함께 대나무 숲으로 피신했지만 생포되어 반란군 장수 이배에게 죽음을 당했다. 그의 숙부인 이홍무도 반란군에 사로잡혔다가 순절함으로써 가문의 명예를 지켰다.이때 청주영장 남연년 역시 반란군 장수...
    시대 :
    조선
    사망 :
    1728년 (영조 4)
    관련 사건 :
    이인좌의 난
    본관 :
    전주(全州)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반란군 대니얼 셰이스
원로원 광장에 모여든 반란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