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만주지방의 만주족이 17세기에 청을 세우자 백련교도들은 청을 무너뜨리고 이전의 명을 재건하려는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18세기에 중국 둥베이 지구에 있던 백련교 지도자들은 굶주림, 인구 증가, 정부 관리들의 가혹한 정치에 대응해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은 9년간 계속되었고, 정부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많은 자금을 거두었으나 화신과 그 일당이 착복했다. 1799년 건륭제가 죽고 화신이 제거된 후 전쟁이 본격화되었는데, 당시 정부군은 너무 부패해 있었다. 정부는 교외의 모든 식량공급을 차단하고 그곳의 농민들을 요새지역으로 이동시켰다. 농민들은 지방 방위군으로 편성되었고, 일부는 반란군을 색출하기 위한 공격부대가 되어 더 많은 훈련을 받았다. 결국 1804년 이 지역은 지방 방위군에 의해 완전히 탈환되었다.
청나라의 쇠퇴를 촉진시켰다. 백련교는 13세기부터 존재했던 종교단체였다. 만주지방(둥베이[東北] 지구)의 만주족이 17세기에 중국을 정복하고 청나라를 세우자 백련교도들은 청을 무너뜨리고 이전의 명을 재건하려는 운동에 헌신적으로 참여했다.
18세기에 중국 둥베이 지구에 있던 백련교 지도자들은 굶주림, 인구 증가, 정부 관리들의 가혹한 정치에 대응해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추종자들에게 부처가 환생해 고통을 종식시킬 것이라고 약속했다.
반란은 9년간 계속되었지만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려는 조직적인 시도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했다. 단지 공격한 후 곧 도망치는 유격전술 이상을 벗어나지 못한 채 고립적·분산적으로 싸웠다. 정부는 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많은 자금을 거두었으나 화신과 그 일당이 착복했다.
1799년 건륭제(乾隆帝)가 죽고 화신이 제거된 후 비로소 전쟁이 본격화되었는데 당시 정부군은 제 기능을 발휘하기에는 너무 부패해 있었다. 결국 청정부는 교외의 모든 식량공급을 차단하고 그곳의 농민들을 요새지역으로 이동시켜야만 했다. 요새 안에서 농민들은 지방 방위군으로 편성되었고 방위군 가운데 일부는 반란군을 색출하기 위한 공격부대가 되어 더 많은 훈련을 받았다. 이후 반란군에게 지위와 신분을 보장해주겠다는 회유와 아울러 반란군 지도자를 체포한 경우 포상금을 주겠다는 정부의 약속으로 인해 반란군은 그 힘이 많이 약화되었다. 결국 1804년에 이 지역은 지방 방위군에 의해 완전히 탈환되었다. 후에 이 지방 군대는 독립적인 군대로 되어 해체시키기가 매우 힘들게 되었으며, 20세기에는 여러 차례 청나라에 대항하여 싸우기도 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