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레나물과 식물15건
현재 페이지
1
/
총 페이지
2
항목
-
야생화시리즈(일곱번째묶음) 물레나물잎이 나옵니다. 잎은 계란형, 넓은 타원형 또는 심원형(心圓形)이며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이고 5월에 자주색 꽃이 피어납니다. 4. 물레나물 (학명: Hypericum ascyron LINNE) 물레나물과에 속하고 산야와 바닷가에서 흔히 자라는 식용ㆍ약용ㆍ관상용 다년초로서 높이 0.5∼1m까지 자라고 피침형(披針形)의 잎이 대칭으로...
- 발행일 :
- 1996.4.22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4
- 액면가격 :
- 150원
- 디자인 :
- 물레나물
- 우표번호 :
- 1860
- 인면 :
- 23×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6도색
- 디자이너 :
- 김임용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야생화시리즈(일곱번째묶음) 개불알꽃잎이 나옵니다. 잎은 계란형, 넓은 타원형 또는 심원형(心圓形)이며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이고 5월에 자주색 꽃이 피어납니다. 4. 물레나물 (학명: Hypericum ascyron LINNE) 물레나물과에 속하고 산야와 바닷가에서 흔히 자라는 식용ㆍ약용ㆍ관상용 다년초로서 높이 0.5∼1m까지 자라고 피침형(披針形)의 잎이 대칭으로...
- 발행일 :
- 1996.4.22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4
- 액면가격 :
- 150원
- 디자인 :
- 개불알꽃
- 우표번호 :
- 1857
- 인면 :
- 23×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6도색
- 디자이너 :
- 김임용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야생화시리즈(일곱번째묶음) 알록제비꽃잎이 나옵니다. 잎은 계란형, 넓은 타원형 또는 심원형(心圓形)이며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이고 5월에 자주색 꽃이 피어납니다. 4. 물레나물 (학명: Hypericum ascyron LINNE) 물레나물과에 속하고 산야와 바닷가에서 흔히 자라는 식용ㆍ약용ㆍ관상용 다년초로서 높이 0.5∼1m까지 자라고 피침형(披針形)의 잎이 대칭으로...
- 발행일 :
- 1996.4.22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4
- 액면가격 :
- 150원
- 디자인 :
- 알록제비꽃
- 우표번호 :
- 1859
- 인면 :
- 23×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6도색
- 디자이너 :
- 김임용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한국 식물의 개화시기와 꽃의 색그 다음에 흰색·푸른색 순이며, 붉은색 계통의 꽃을 피우는 식물이 가장 적다. 노란색 계통의 꽃을 피우는 식물로는 복수초·동의나물·노랑제비꽃·금붓꽃·괭이눈·개느삼·물레나물·개나리 등이 있으며, 흰색 꽃을 피우는 종류로는 쇠물푸레·벚나무·은방울꽃·함박꽃나무·냉이·솜나물 등이, 푸른색 꽃을 피우는...
-
갈퀴망종화털이 없다. 꽃잎은 도란형으로 길이 10-15mm이다.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고 홈이 있으며, 길이 4-7mm이다. 생태 꽃은 7-8월에 핀다. 이용 관상용 해설 물레나물속(Hypericum)에는 50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교목, 관목, 다년초, 일년초 등이 모두 나타난다. 본 종은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물레나물속 식물 중에서...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차나무목 > 물레나물과 > 물레나물속
- 서식지 :
- 들, 정원, 화단
- 크기 :
- 1-2m (높이)
- 학명 :
- Hypericum galioides Lam.
- 국내분포 :
- 전국(식재)
- 해외분포 :
- 북아메리카
-
호 胡만주에서 생산되는 고추. 호금(胡琴) : 비파. 호녀(胡女) : 여진족 여자. 호도(胡桃) : 호두. 호에서 온 복숭아란 뜻이다. 호동(胡桐) : 동인도 원산의 물레나물과 상록 교목. 야라보. 호떡 : 중국식 떡. 호란(胡亂) : 여진족의 나라 청국의 내습을 병자호란, 정묘호란이라고 했다. 호마(胡馬) : 중국 북부와 만주에서...
- 유형 :
- ‘오랑캐 호(胡)’에 관련된 어휘
-
노동요분포된 채취노동요는 「나물 캐는 소리」로, 많은 나물을 캐길 바라는 마음, 친정 부모에 대한 그리움, 임에 대한 연정, 시집살이의 고달픔 등이 노래된다. 길쌈...과정에서 부르는 「씨 앗는 노래」, 솜 · 고치, 기타 재료를 활용하여 실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부르는 「물레노래」, 삼 째기 한 삼을 전지에 걸어놓고...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