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학본부 東學本部내용 김주희는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할아버지인 남접도주(南接道主) 김시종(金時宗)의 밑에서 동학을 공부하였다. 김시종은 천도교 제2세교주인 최시형(崔時亨) 등의 북접이 광제창생의 이념에 지나치게 철저한 것을 보고 수운사상(水雲思想)에 어긋난다고 생각, 최시형의 북접에 대하여 스스로 남접이라 하고...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신종교
-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東學農民革命記念日제정 이유 1894년 부패한 봉건 사회와 외세의 침략에 대항하여 궐기했던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하고 애국애족정신을 고양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 유래 및 역사 동학농민혁명은 동학에 기반을 둔 반제·반봉건 근대화운동으로, 1894년 봉건적 수취체제의 모순에 대항한 고부 농민 봉기에서 시작...
- 분류 :
- 법정기념일, 비공휴일
- 시행일 :
- 2019년 2월 19일
- 주관처 :
- 문화체육관광부
- 날짜 :
- 5월 11일
-
최제우 동학 창시비판하고 서학(가톨릭)도 비판하는 새로운 종교를 창시했다. 서학과 같은 하늘의 도(道)를 추구하지만 동쪽에서 태어난 종교라는 의미에서 '동학'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동학은 동방 전래의 풍수 사상과 유 ・ 불 ・ 선의 교리를 토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내세워 동양의...
- 시대 :
- 1860년
- 국가/대륙 :
- 한국
-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동학 농민 운동은 고부 민란에서 비롯되었다. 1892년 고부 군수로 부임한 조병갑은 부당한 세금을 거두어 농민들을 착취했다. 1894년 1월 11일 농민군은 고부 관아를 습격해 아전을 처벌하고 무기고를 부수어, 불법 수탈한 곡식을 농민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고부에서 일어난 농민들이 해산한 후, 전봉준은 무장으로...
-
김구 연상, 金九郭樂園)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연상(蓮上), 초호는 연하(蓮下), 활동기 이후의 호는 백범(白凡)이다. 아명은 창암(昌巖)이었다가 동학 입도 후에 창수(昌洙), 그 후 구(龜, 九)로 개명하였다. 불교 입교 시기 법명은 원종(圓宗)이었다가, 환속 후 유랑기에는 잠시 김두래(金斗來)라는 이름을...
- 출생 :
- 1876년 8월 29일, 황해 해주(海州)
- 사망 :
- 1949년 6월 26일
- 본관 :
- 안동(安東)
- 주요활동 :
- 동학농민운동에 황해도 팔봉 접주로 참가, 해외 김이언 의병부대 참가, 치하포에서 일제 밀정 처단, 신민회 황해도 총감, 애국계몽운동 황해도 지도자, 망명 후 임시정부 경무국장 ・ 내무총장 ・ 국무령에 취임,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이봉창 의사의 동경 일왕에게 투탄,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 홍구공원 의거 지도, 중경임시정부 주석, 한국광복군 창군, 임시정부의 좌 ・ 우연합정부로의 개편, 연합국 수뇌의 카이로회담에서 한국독립 약속받는 외교활동, 광복후 신탁통치 반대운동, 비상국민회의 조직, 민주의원 조직 총리 취임, 남북협상을 통한 통일대한민국 추구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신민회, 임시정부, 한국노병회, 한인애국단, 한국국민당, 한국독립당, 비상국민회의, 민주의원
-
동학 농민 운동의 결과1894년 6월 21일 조선을 침략한 일본군은 무력으로 왕궁을 점령하고 청·일 전쟁을 도발하는 한편, 민씨 정권을 무너뜨리고 대원군과 개화파의 연립 정권을 수립했다. 이어 갑오개혁을 통해 봉건 체제에 대한 전반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조선의 내정에 적극 간섭하고 농민군을 토벌...
-
상주 동학교당 유물 尙州 東學敎堂 遺物總目錄)』·『동경대전(東經大全)』·『궁을경(弓乙經)』·『통운역대(通運歷代)』 등 경서, 『용담유사』·『임하유서(林下遺書)』·『허황가(虛荒歌)』 등 동학가사(東學歌辭), 『림하유셔』·『챵덕가』·『챵도가』·『챵화가』·『인션슈덕가』 등 한글본·국한문 혼용본, 『경호당(敬浩堂)』·『동학교적(東學敎籍...
- 시대 :
- 근대
- 유형 :
- 유물
- 분야 :
- 종교·철학/천도교
-
동학의 탄압과 확산1861년 동학은 사회적 불안과 질병이 크게 유행하던 삼남 지방에서 빠르게 전파되었다. 신도가 늘어나자 1862년 12월 각지에 접(接)을 두고 접주로 하여금 관내 신도를 조직적으로 관리하게 했다. 접은 경상도·전라도뿐만 아니라 충청도와 경기도에까지 설치되었으며 교세가 계속 신장되어 1863년에는 신도 3,000여 명...
-
김개남 봉건사회의 심장을 꿰뚫은 불꽃같은 삶불평불만을 가진 사람, 기개가 있고 호걸스러운 사람 그리고 양반이나 벼슬아치보다 고통에 신음하는 서민들이었다 한다.(방손 김동기의 증언) 이런 그였으니 동학에 입도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그는 적어도 전봉준보다 먼저 동학에 들었고 도강 김씨의 자제들을 여기에 끌어들였다. 1890년 초기 최시형은 전라도...
- 출생 :
- 1853년
- 사망 :
- 1895년
-
동학 농민 운동의 배경등의 포구·개항장은 대일 미곡 수출이 활발한 지역이었다. 미곡 무역에 편승한 지주층의 지주제 강화로 인해 소농·빈농층이 몰락했으며, 농촌 사회 내부의 분화 및 계급 대립이 전면에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학의 교세가 급속히 확대되었으며, 봉건 사회를 변혁하려는 일군의 혁명적 지식인들과 결합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