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니산 묘통사 摩尼山 妙通寺의종·명종·신종·희종·고종·원종·충숙왕·충혜왕·충목왕 등이 수시로 이 절에 행차하여 분향하거나 불사(佛事)를 일으켰고, 기우제를 지내거나 기복도량(祈福道場)을 개설하였으며, 마리지천도량(摩利支天道場)을 개설하여 국가와 왕실의 안녕을 도모하기도 하였다. 마리지천은 신통(神通)이 있는 승리의 천신...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터다지기노래 지경다짐노래흔히 ‘지점소리’ 등으로 불리고 있다. 동네사람들이 무리를 지어 흔히 밤에 주로 집터를 다지며 흥겹고 억세게 부른다. 이 민요는 남성노동요이면서도 기복적(祈福的) 기능이 짙게 드러나며, 작업과 밀착되어 불리는 특징을 지닌다. 가사는 대체로 명산대천의 정기가 뻗어내린 터에 집터를 다져 훌륭한 재목으로 집을...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민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몽여 청진국사(淸眞國師), 夢如활약한 시기는 스승 혜심(慧諶)이 입적한 1234년(고종 21)부터 그가 입적하기까지의 18년간으로 추정된다. 이때의 고려 불교는 거란과 몽고의 침략으로 기복불교(祈福佛敎)가 크게 성행하였던 시기로서, 궁중에서는 거의 매월 복을 비는 여러가지 도량(道場)이 열렸고, 황룡사구층탑이 몽고에 의하여 불타는 등 침체일로...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252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천기대요 天機大要法) 등 혼인에 필요한 길흉선택의 법을 설명하였고, 그 뒤는 특별한 제목 없이 입택귀화(入宅歸火) · 이거(移居) · 입학(入學) · 제사일(祭祀日) · 기복일(祈福日) · 재의일(裁衣日) · 구의료병일(求醫療病日) · 출행일(出行日) · 벌목일(伐木日) · 세간흉신(歲干凶神) · 세지흉신(歲支凶神) · 월가흉신(月家...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불공 佛供지장단(地藏壇) · 관음단(觀音壇) 등에 올리는 불공이 있다. 기원의 내용에 따른 불공의 구분은 소재불공(消災佛供) · 수명장수불공(壽命長壽佛供) · 기복불공(祈福佛供) · 국태민안불공(國泰民安佛供) 등으로 나누어진다. 불공과 재(齋)는 구분된다. 재는 삼업(三業)을 정재(整齋)하여 악업(惡業)을 짓지 아니함을...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통화 通化명칭 유래 통화는 성경장군(盛京將軍)이 관할하는 봉천부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 1877년(광서 3)에 치소가 설치되면서 통화라고 하였다. 통화에는 ‘길상기복(吉祥祈福)’과 ‘문치무공(文治武功)’의 뜻이 담겨 있다. ‘통지(通之)’은 ‘관통하다’라는 뜻이고, ‘화의(化意)’는 ‘교화하다’라는 뜻이 있으므로 인덕...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경조사상 敬祖思想공자는 “제사를 지내면 복을 받는다.”, “제사에는 기원(祈願)이 있고 보답(報答)이 있다.”고 하였다. 이렇게 볼 때 경조사상에는 ‘추원경모’와 ‘기복적 신앙(祈福的信仰)’이 한데 어우러져 있다. 중국에서는 상고시대 순(舜)이 종묘(宗廟)를 두어 조상을 숭배하자 대효(大孝)로 일컬어졌고, 무왕·주공은 조상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주머니 차기[개설] 주머니 차기는 음력 새해의 첫 쥐날에 주머니를 매달면 일 년 내내 좋지 않은 기운을 쫓아낼 뿐만 아니라 부자가 된다고 하여 행하는 기복(祈福) 풍속이다. 이렇게 주머니 차기를 하면 쥐가 곡식을 물어와 주머니를 채워 그해 재물이 모인다고 한다. [연원 및 변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와 『경도잡지...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