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굿의 과정에 따른 분류
굿의 과정에 따라 크게 청배무가(請陪巫歌)·공수무가·축원무가·오신무가(娛神巫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청배무가는 무당이 굿의 첫머리에 신을 청하며 부르는데 청하는 신들이 강림하기를 기원하는 내용이다. 신의 내력을 이야기하는 서사무가(敍事巫歌)나 신의 강림 과정을 서술하는 노정기(路程記) 역시 청배무가의 기능을 한다.
청배무가의 내용은 인간이 신에게 말하는 것이다. 공수무가는 신이 인간에게 자신의 뜻을 전하는 것으로, 인간의 잘못을 꾸짖거나 재수와 복을 약속하는 내용이다. '공수'라는 말은 신이 인간에게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설이 청배무가·축원무가와 달리 비칭으로 되어 있다. 축원무가는 인간의 소원을 신에게 비는 것으로 굿의 성격이나 대상으로 하는 신에 따라 다양하다. 보통 치병(治病)·재수·생남(生男) 등이 주내용이다. 오신무가는 신과 인간이 함께 어울려 하나가 되는 것으로, 여러 타령과 노랫가락이 여기에 속한다. 또 무가는 제의의 성격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지는데 기복제무가(祈福祭巫歌)·사령제무가(死靈祭巫歌)·치병제무가(治病祭巫歌)·무신제무가(巫神祭巫歌)로 나누기도 한다.
문학 장르별 분류
무가를 문학 장르별로 나누면 서사무가(敍事巫歌)·희곡무가(戱曲巫歌)·서정무가(抒情巫歌)·교술무가(敎述巫歌) 등이다. 서사무가는 무속신화로서 신의 내력을 풀며 무신을 청배하는 기능이 있는데, 청배무가가 모두 서사무가는 아니나 서사무가는 모두 청배무가이다. 따라서 서사무가는 대개 굿거리의 맨 처음에 구연된다.
서사무가는 제향을 받는 대상신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대상신에 따라 다양한 서사무가가 전한다. 〈제석본풀이〉·〈바리공주〉·〈군웅본풀이〉·〈성주풀이〉 등이 있다. 희곡무가는 무극(巫劇)에서 구연되는 무가를 말하는 것으로 행동과 대화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2명 이상이 등장하여 분장하고 연극과 같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거리굿·도리강관원놀이·범굿 등이 있다. 교술무가는 서사무가와 희곡무가를 제외한 대부분의 무가를 말하는데, 신에 대한 기원이나 신이 인간에게 주는 말 등이 교술무가에 해당된다. 손굿·성주굿·망자풀이 등이 있다. 서정무가는 신과 인간이 함께 흥을 돋우는 굿거리에서 불려지는 무가로 교술무가·서사무가 속에 삽입되는 노래이다. 〈노랫가락〉·〈대감타령〉·〈창부타령〉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