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장보살 地藏菩薩
    살고 있다. 원래 중도옥은 해적당의 괴수 노피득이 살던 곳으로, 우물 안에는 해적들의 소굴이 남아 있었는데 복내덕은 우물 밑의 방에서 무기와 금은보화, 그 안에 갇혀 있는 여자를 발견하고 그녀를 구해 주려다가 증조부에게 발각되면서 자신마저 우물 밑에 갇힌다. 복내덕은 10여 년을 갇혀 있어 동물에 가까운 여자...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화관 花冠
    새겨 만든 운관(雲冠)이 있었다. 족두리보다 높이가 높으며, 두꺼운 종이에 무늬를 새기고 검정칠을 한 뒤, 가장자리를 도채부금(塗彩傅金)하고, 위를 금은보화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화관의 양옆에는 비녀(족두리 비녀)를 꽂게 되어 있다. 잠두(簪頭)에는 나비를 장식하였는데, 흔히 죽잠(竹簪)을 사용하였다. 또한...
    성격 :
    여성예복, 관모
    유형 :
    물품
    재질 :
    칠보, 주옥금패, 종이
    용도 :
    의례, 궁중, 장식
    관련 의례 :
    혼례
    분야 :
    생활/의생활
  • 담락가 湛樂歌
    교술적 도덕가류 가사로, 내용은 크게 3단락으로 나누어진다. 제1단은 서사로, 좋은 일에는 친구도 좋지만 궂은 일에는 혈육의 사이인 형제밖에 없으며, 금은보화로 논과 밭은 살 수 있으나 형제는 다시 얻기 어려우니, 모름지기 담락(湛樂 : 화목하게 즐김.)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제2단에서는 중국의 순(舜)임금...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19세기 초엽·중엽(추정)
    성격 :
    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소장/전승 :
    이영숙
  • 십자군의 탈선
    세웠다. 이때 십자군이 차지한 곳은 내륙이며, 베네치아 상인들이 차지한 곳은 상업의 중심인 해안 지대였다. 이들은 귀국하면서 많은 그리스의 유물과 금은보화를 유럽에 가져갔는데 앞서 헝가리의 자라 공격문제로 격노했던 교황은 물론 시민들도 기뻐하며 이들을 맞았다. 이상과 같은 제4차 십자군의 탈선 행위는...
    도서 이야기세계사1 | 태그 세계사
  • 첨책 添冊
    뒤 대길이라고 표기하여 길흉의 개념부터 강하게 나타내고, 그 다음에 한나라 고조 유방(劉邦)이 진나라가 망한 뒤 함곡관(函谷關)에 들어가서 미녀와 금은보화 등의 재물을 돌아보지 않고 국가의 근본이 되는 단서철권(丹書鐵券)을 잡아 천하를 경영할 기본을 닦은 중대한 일을 대길의 조짐이라고 설명한 것이다. 다음...
    성격 :
    도참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종교·철학/도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어둥이놀이
    알고……” 어둥이는 스스로 자신을 가리켜 천하만물이 모두 알아주는 존재라하고, 메고 들어온 오쟁이 안에는 돈이며 비단·약·세간 도구를 비롯, 온갖 금은보화가 다 들어 있다고 자랑한다. 마침내 께낑꾼은 어둥이를 알아본다. ② 수비영산 풀어먹이기 : 길을 떠난 어둥이는 동네 주신을 밟은 죄로 도당할아버지...
    성격 :
    굿놀이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소장/전승 :
    경기도 남부 지역
  • 그리스건축, 아트레우스의 보고와 둥근 천장
    아트레우스의 보고〉는 대표적인 예이다. 미케네문명 전반에 걸쳐 왕의 무덤이 여럿 지어졌는데 대부분 톨로스 형태였다. 순장 전통이 남아 있어서 많은 금은보화도 함께 묻었기 때문에 무덤 대신 '보고'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보통 톨로스는 암벽을 둥글게 파고 들어가는 방식으로 둥근 천장을 만들었는데 〈아트레우스...
  • 관제신앙 關帝信仰
    하여 관제보살(關帝菩薩)·가람보살(伽藍菩薩)이라 부르며, 사원의 수호신·호법신(護法神)으로 모신다. 민간에서는 관제를 사로잡은 위나라 조조(曹操)가 금은보화를 주어 환대했으나, 밤에 그것들을 남기고 유비의 부인만을 보호하며 떠났던 사실에 근거하여 재신(武財神), 재난을 사전에 알리는 신, 무례를 범하지...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도교
  • 권학가 勸學歌
    연대 미상의 것 등이 있다. 이 중 대표적인 <권학가>로는 ≪초당곡전≫본·≪청구문수≫본·≪효우가≫본인데, ≪초당곡전≫본에서는 “아무리 좋은 금은보화라도 없어지게 마련이나 글(학문)은 없어지지 않으며, 온갖 부귀가 모두 글 속에 있으니 천하에 제일 좋다.”고 말한다. 이어서 세월이 순식간에 흐르니 젊을...
    시대 :
    조선
    저작자 :
    최제우, 최명길, 미상
    창작/발표시기 :
    1862년, 미상
    성격 :
    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미륵하생경변상도 미륵하생지도, 彌勒下生經變相圖
    농부가 밭갈이하는 장면, 벼를 베고 도리깨로 타작하여 낟알을 주워 담는 추수 장면, 미륵의 아버지로 추정되는 장자(長者)가 바위굴 속에 앉아 있는 장면, 금은보화를 쓸어 담는 장면 등이 있다. 이러한 장면들은 미륵정토의 내용을 도상화 한 것이다. 1350년에 제작된 일본 신노인 소장품의 좌측 아래 모서리에는 붉은...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오시오의 반란
    오사카 근처에 사는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2월 19일 구민(救民)의 깃발을 높이 든 오시오는 300명의 동지들과 함께 호상(豪商)들을 습격하여 쌀과 금은보화를 빈궁한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관군의 공격을 받고 오합지졸에 불과한 오시오의 군대는 패했지만 포화로 인하여 오사카의 4할 정도가 불타버렸다...
  • 스테이 패스포트 신당 료칸
    둘만의 특별한 시간을 보내기에 이상적인 객실이다. 감투를 쓴 도깨비의 유쾌한 기운이 가득한 '풍류'는 4인이 함께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다. 최상의 휴식을 선사하는 프리미엄 객실 '풍요'는 도깨비 방망이가 선사하는 금은보화처럼 귀중한 휴식을 제공하는 특별한 공간이다. 참고문헌 https://www.stay-passport.com...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난계로11길 33 (황학동)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