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크나 Ikhnaton
    고왕국 시대에는 태양신 레를 모시는 사제들이 막강한 세력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이들 세력은 파라오의 신성에 대한 믿음 또한 매우 강하였기 때문에 왕권과 균형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테베의 왕조가 중왕국 시대에 이집트를 다시 통일하면서 아몬을 모시는 사제들의 세력이 점차 강해져 왕권과의 균형을 무너뜨리...
    도서 이야기세계사1 | 태그 세계사
  • 아크나톤 아멘호테프 4세, Akhnaton
    BC 14세기 이집트에서 활동한 제18왕조의 왕(BC 1353~1336 재위). (그). Amenophis. Akhenaton, Ikhnaton이라고도 쓰며, Amenhotep Ⅳ Neferkheperure Amenhotep라고도 함.|개요 아톤(Aton)을 새로이 유일신으로 숭배하는 의식을 확립했으며, 자신의 이름도 '아톤에게 이익되는 사람'이라는 뜻의 아크나톤으로 지었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아크나톤 (관련어 이크나톤) Akhenaten, アクエンアテン
    출생명 아멘호테프는 '아멘이 만족한다'라는 뜻이다. 재위 5년에 아케나텐(아텐의 영광)으로 개명하였는데 개명 이전의 이름(출생명)은 아멘호테프였으므로 아멘호테프 4세라고도 부른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1352년 ~ 기원전 1335년이다. 아멘호테프 3세(Amenhotep III)와 그의 제1왕비 티예(Tiye)의 둘째 아들로 태어...
    도서 위키백과
  • 투탕카멘 왕 Tutankhamun
    크나 왕이 죽은 후 다시 세력을 잡은 아몬-레 신의 사제들은 나이 어린 투탄카톤을 파라오로 세운 뒤 새로운 수도인 아케타톤을 버리고 테베로 환도하였다. 그리고 왕의 이름도 '살아 있는 아몬 신의 상'이라는 뜻인 투탕카멘(Tutankhamen)으로 고치게 했다. 당시의 국제 정세는 혼란에 빠져 있었다. 죽은 크나...
    도서 이야기세계사1 | 태그 세계사
  • 아시리아
    텔 엘 아르마나 유적에서 발견된 편지 때문이다. 카시트의 부르나부리아시 왕은 당시 고대 세계의 혼합어였던 아카드어로 이집트의 크나 파라오에게 편지 한 통을 보냈다. 편지에서 부르나부리아시는 아시리아의 지배자인 아슈르발리트가 파라오에게 사신을 보낸 것은 건방진 태도라고 분개하며, 카시트가 점령한...
  • 기도 祈禱, prayer
    발전했다. 찬송은 의례식의 경직성과 형식에 치우치던 데서 점차 벗어나, 자연에 나타난 하느님의 행위를 순수히 명상하는 데로 발전했고 이집트 왕 크나의 태양을 노래하는 찬송이 그 절정이다. 종교가 영혼과 도덕을 추구함에 따라 사람의 기도생활도 그런 방향으로 발전했다. 현세적인 소유를 구하는 일은 훨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히타이트 히타이트 제국, Hittite
    막아내지 못하고 정복되었으며, 히타이트는 그 여세를 몰아 남부 시리아에까지 세력을 확장하였다. 당시 이집트 제국은 미탄니 왕국과 동맹을 맺고 있었으나, 크나 왕의 치세 때에 시리아의 제후국들을 잃은 뒤로 몹시 약화되어 있던 터라 큰 도움을 줄 수 없었다. 그 후 무와탈리시 왕이 기원전 1286년에 카데시...
    도서 이야기세계사1 | 태그 세계사
  • 레프시우스 Karl Richard Lepsius
    발견해 고왕국(古王國:BC 2686경~2160) 특유의 장방형 매장 구조물인 마스타바[石室墳] 130개를 연구했다. 또한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던 종교개혁가 크나 왕(아멘호테프 4세)의 특징을 그림으로 나타낸 증거물을 텔엘아마르나(고대 아크케톤)에서 처음으로 찾아냈다. 최초로 왕들의 무덤 계곡을 조사한 그는...
    출생 :
    1810. 12. 23, 작센 나움부르크안데르잘레
    사망 :
    1884. 7. 10, 베를린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고대 카시트족, 후르리족, 아람족
    이후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뒤 두 나라의 우호관계는 여러 명의 미탄니 왕녀가 이집트 왕들과 결혼한 데서 입증된다. 이른바 텔엘아마르나 문서에 따르면 크나의 왕비 네페르티티도 미탄니 왕가 출신이라는 사실을 추측할 수 있다. 그뒤 히타이트 왕 수필룰리우마스는 후르리 왕 아르타타마와 동맹하고 카불 지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이집트의 미술 Art of ancient Egypt, 古代エジプト美術
    왕조 흥망의 역사와 일치한다. 미술 제작에 종사하는 자는 곧 국왕을 섬기는 관리였다. 제18왕조 아크나톤 치하의 독특한 풍조와 미술인데 새로 도읍한 크나의 현 지명인 아마르나(Amarna)를 따라 부르고 있다. 아톤 신(神) 신앙의 종교개혁을 단행한 정신과 병행하여 예술계에도 종래의 고정화한 양식에서 탈출을...
    도서 위키백과
  • 아마르나 예술 Amarna art, 阿马纳风格
    아마르나 예술(Amarna art)은 아마르나 시대에 채택된 스타일이다. 크나의 종교개혁에 의하여, 예술 방면에도 새로운 경향이 나타났다. 그 때까지의 유형적(類型的)·정신적인 묘사에서 벗어나, 원근법에 기초한 선화법(線畵法)을 취한 사실적·동적인 묘사를 개척했다. 아마르나 왕국의 벽이나 묘지(墓地)에 조각...
    도서 위키백과
  • 태양찬가 Great Hymn to the Aten
    《태양찬가》(太陽讚歌, 종래의 아멘 숭배를 금지하고 스스로 이름을 크나으로 고치고 수도를 아케트아텐(현재의 테르에르아마르나)으로 옮겼다. 시는 왕의 자작이라 한다. 헤르메스주의 문헌 위키문헌 Transcriptions Geoffrey Graham, copied from 서적 인용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아몬-레의 신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