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릉 仁陵
    축출되었다. 1097년(숙종 2) 아들 헌종의 사후에도 궁에서 살다가 1107년(예종 2) 승하하여 선종 인릉에 합장되었고, 선종묘(宣宗廟)에 배향되었다. 변천 『고려사』 위숙군(圍宿軍)조에 의하면 인릉은 산직장상(散職將相) 2명이 능을 수호하였던 것이 확인되어, 능침제도를 마련한 고려 왕실에서 제릉서(諸陵署)를 두어...
    시대 :
    고려 전기
    유형 :
    유적/고인돌·고분·능묘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개성 대운사 開城 大雲寺
    내용 대운사(大雲寺)의 관한 기록은 『고려사(高麗史)』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려 전기인 1048년(문종 2) 3월 어사대(御史臺)에서는 문종에게 “일체의 토목 공사는 3년 동안 정지하라고 하셔서, 온 나라가 기뻐하며 모두 덕음(德音)에 감격하였는데 끝내 시행되지 않았습니다. 신의는 나라의 큰 보배로서 버릴 수...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고려시대의 수학
    장애가 되었다. 그러나 말기에는 중국으로부터 〈상명산법 詳明算法〉·〈산학계몽 算學啓蒙〉 등 많은 산서를 도입하여 조선수학 발전의 기반을 닦았다. 〈고려사〉의 기록에 따르면 과거시험에 산학과 관련된 명산과가 실시되었다. 고려의 명산과는 그 내용이 당·송의 것과는 달리 신라의 산학제도를 바탕으로 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수학
  • 동진국 東眞國
    하여 대진국을 세우고 천왕(天王)이라 자처하다가 몽골과 야율유가의 압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간도지방으로 옮겨가 동하(東夏)라는 나라를 세웠다. 이것이 〈고려사〉 등에 동진국으로 나타나는 나라이다. 동진국은 곧 몽골군에 항복하여 그 영향 아래 들어갔다. 1218년(고려 고종 5)에는 2만 명의 군대를 동원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속요 俗謠
    속악가사’라는 명칭이 있으나 이 둘은 구별된다. 속요는 특정한 형식적 구조와 담당층을 가지고 있는 역사적인 장르 명칭이다. 이에 비하여, 속악가사는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실려 있는 모든 가요를 비롯하여 『악학궤범(樂學軌範)』·『악장가사(樂章歌詞)』·『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고전시가
  • 백갑 白甲
    내용 백갑(白甲)은 고려시대 중금(中禁)·도지(都知) 등과 함께 금군을 구성하던 부대의 하나였다.『고려사(高麗史)』「여복지(輿服志)」의위(儀衛)조에 행차시 호종하는 부대에 관한 규례가 나와 있는데, 중금·도지 등과 함께 백갑이 수행하고 있다. 백갑은 고려 전기에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종(靖宗...
    시대 :
    고려전기, 고려후기
    성격 :
    부대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려 전기
    시행처 :
    고려 병부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대포서원(김포)
    대제학 등을 역임한 당애 최고의 문장가이자 사상가로 세종부터 성종까지 여섯 임금을 섬기며 경륜 있는 정치가로 활약하였다. 조선 시대 책 동문선,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등의 편찬에 기여했으며, 지리와 지도 전문가로도 뚜렷한 족적을 남겼고, 홍문관과 규장각의 설치를 주장하기도 했다. 양성지는 1482년에...
    위치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로23번길 30-32
  • 안융진 安戎鎭, Anyungjin
    청천강 이남에 위치하고 있어, 남방 혹은 북방 지역을 빠르게 넘나들 수 있는 유리한 곳이었다. 때문에 고려 제4대 광종 때에 이 지역에 성곽을 쌓았는데,『고려사』병지(兵志)에는 973년(광종 24), 지리지(地理志)에는 974년(광종 25)에 각각 축성기사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축성의 시작과 완성을 알려주는 것으로...
    시대 :
    고려전기, 고려후기
    성격 :
    성곽
    유형 :
    지명
    소재지 :
    평안남도 안주시 입석면 내동리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삼소조성도감 三蘇造成都監, Samsojoseongdogam
    조성관(延基宮闕造成官)을 설치하였다. 이것은 도선(道詵)의 지리도참설 밀기(密記)에 근거하여 나라의 기초를 연장하기 위해 궁궐을 짓기 위한 것이었다. 『고려사(高麗史)』백관지(百官志)에 의하면, 1378년(우왕 4)에 도읍을 옮기고자 의논하여 삼소에 궁궐을 창건하였다는 국사(國史: 高麗王朝實錄)의 글이 있으므로...
    시대 :
    고려후기
    성격 :
    관부, 임시 관부
    유형 :
    제도
    시행일 :
    1378년
    폐지일 :
    1379년
    시행처 :
    고려 정부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소화집 小華集
    狀啓), 제영(題詠:시가) 등의 시문(詩文)을 수록하여 간행한 책이다. 서지적 사항 현전하지 않아 서지사항을 알 수가 없다. 『소화집』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高麗史)』권95 「박인량열전」,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권6 「박인량졸기」(숙종원년),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시대 :
    고려
    저작자 :
    박인량, 김근
    창작/발표시기 :
    고려 문종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송나라 사람
    분야 :
    문학/한문학
  • 조복 朝服
    착용하게 된 것은 고려말 공민왕 때 명나라 태조로부터 면복과 함께 원유관·강사포를 받으면서부터였으나 본격적으로 착용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고려사〉 여복지(輿服志)에 의하면 원유관은 칠량관(七梁冠)에 금부산(金博山)이라 하여 산술(山述)에는 도금했고, 매미 7수(首)를 위에 붙이고, 주취(珠翠)를 덧붙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유문사실 柳文事實
    773~819)의 문장 및 행적을 편찬한 책으로 짐작된다.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자세히 알 수가 없다. 『유문사실』에 대한 기사는 『고려사』 권99 「최유청열전」과 『고려사절요』 권12의 명종 4년 조,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잡저술(諸家雜著述)」 등에 보인다. 유종원의 문집명은 『유하동집(柳河東集)』이다...
    시대 :
    고려전기
    저작자 :
    최유청
    창작/발표시기 :
    고려 전기
    성격 :
    사적기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한문학

출처1건

멀티미디어100건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목판
고려사 목판
일본 고려사적 전경
《고려사》
고려사 / 경배악
취봉래만 / 고려사
행향자만 / 고려사
고려사 / 자하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