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형선고실효 刑宣告實效
    3년이 지난 자에 대해 특별사면과 마찬가지로 법무부장관이 상신해 대통령이 행한다. 형선고실효와 특별복권을 함께 받으면 선거권과 함께 공무담임권과 피선거권 등 시민권을 회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같은 특별사면에 속하는 잔형집행면제를 받으면 선거권 행사나 정당 활동은 가능하지만, 공무담임권과 피선거권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사회제도
  • 참정권 參政權, political rights
    선거권·피선거권·국민투표권·국가조사권 및 공무원과 배심원이 되는 권리를 말하며, 협의로는 이들 중 특히 국민의 자격에 의해 법률상 당연히 향유할 수 있는 권리, 예를 들어 선거권·피선거권만을 말한다. 참정권은 과거의 전제정치하에 있어서는 특수한 신분계층에 대해서만 부여되었다. 그러나 근대민주주의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 선거
  • 5·10선거 五十選擧
    만 21세 이상의 모든 국민에게 선거권을 주는 보통선거, 1인 1표를 행사하는 평등선거, 그리고 비밀·직접 선거라는 민주주의 선거원칙에 입각했으며, 피선거권은 만25세 이상의 국민에게 주어졌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의 일본으로부터 작위를 받거나 일제 때 판관·임관이었던 자들 일부에게는 선거권 또는 피선거권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선거
  • 보궐선거 補闕選擧
    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 임기 중 궐원 또는 궐위가 생긴 때에 실시하는 선거를 보궐선거(補闕選擧)라고 한다. 따라서 임기 개시 전 사퇴 · 사망하거나 피선거권(被選擧權) 상실로 인한 당선 무효된 경우, 선거의 전부 또는 일부 무효 판결 또는 결정이 있는 경우 실시되는 재선거(再選擧)와 구별되며, 그 선거일부터...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정치관계법 정치관계 3법, 政治關係法
    등으로 정치자금을 원활히 조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내용 정치관계법은 선거, 정당, 정치자금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다. 「공직선거법」이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비롯해 선거 과정에 관한 사안들을 포괄한다면 「정당법」은 정당 활동에 관한 전반적 사안을 명시하며 「정치자금법」은 정치활동에 소요되는 비용에 관한...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개념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국회의원선거법 國會議員選擧法
    평등·직접·비밀선거의 기본원리를 채택하고, 투표의 자유와 공정한 선거를 보장하고 있었다. 20세 이상의 국민은 선거권을 가지며, 25세 이상의 국민은 피선거권을 가졌다. 다만 「민법」상 금치산 또는 한정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 「형법」상 일정한 범법자와 선거사범으로 처벌된 자에 한하여는 선거권 및 피선거권...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48년 3월
    폐지일 :
    1994년 3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대통령선거법 大統領選擧法
    채택되어 대통령직선제를 실시하게 됨에 따라 다시 폐지되고, 이해 11월 7일 법률 제3937호로 현행 「대통령선거법」이 제정되었다. 선거권은 20세 이상, 피선거권은 40세 이상의 자가 갖게 하였고, 선거를 실시할 때마다 구·시·읍·면의 장이 선거인 명부를 작성하도록 하되, 장기 여행자·군인·장기 입원자 등은...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63년 2월
    폐지일 :
    1994년 3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지방자치단체장 地方自治團體長
    자격 취득일 후 3년이 경과한 외국인으로서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 등록 대장에 올라 있는 사람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거권이 있다. 피선거권 피선거권은 선거일 현재 계속하여 60일 이상(공무로 외국에 파견되어 선거일 전 60일 후에 귀국한 자는 선거인 명부 작성 기준일부터 계속하여 선거일까지) 해당...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정치·법제/행정
  • 5·10총선거 오십총선거, 五十總選擧
    중 95.5%가 투표에 참가하여 정부 수립이라는 염원이 지대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증명해 주었다. 선거권은 만 21세 이상의 모든 남녀 국민에게 부여되었고, 피선거권은 만 25세 이상에 이른 모든 국민에게 인정되었다. 그러나 일본 정부로부터 작위를 받은 자나 일본제국의회의 의원이었던 자에게는 선거권을 박탈하였고...
    시대 :
    현대
    발생 :
    1948년 5월 10일
    성격 :
    선거, 총선거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관련 인물/단체 :
    이승만, 김구
  • 보궐선거 보결선거, 補闕選擧
    소속한 정당의 후보자명부에 기재된 순위에 따라 그 의석을 승계할 사람을 결정한다. 궐위와 궐원의 통보 대통령, 지방자치단체장 및 교육감이 사퇴·사망·피선거권 상실 등으로 신분을 상실했을 때는 ‘궐위’라고 하고, 국회의원 및 지방의회의원의 경우는 ‘궐원’이라고 한다. 궐위와 궐원이 발생한 경우에 법률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선거
  • 박계동 朴啓東
    합당으로 만들어진 한나라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그는 시국강연회를 여는 등 사전선거운동을 벌였다는 이유로 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되었고 이로 인해 피선거권이 박탈되어 2000년 16대 총선RJ에 출마할 수 없게 되었다. 이후 그는 정치권에서 벗어나 있다가 2004년 17대 총선에서 송파구에서 다시 당선되었다. 2008...
    출생 :
    1952. 6. 26, 경남 산청
  • 여성의 선거권 Women's suffrage, 女性参政権
    선거권(女性 選擧權)은 여성의 선거권을 말한다. 근대민주정치의 발전에 따라, 자신을 대변하는 대표를 뽑을 수 있는 선거권·대표로 입후보할 수 있는 피선거권의 범위가 확대되어 왔으나 여성은 남성에 비해 능력이 떨어지고 또 가정을 지키는 것이 그의 분이며 여성의 이익은 남성에 의해 대변된다는 이유로 오랫동안...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