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예술운동 藝術運動실렸다. '비판과 적발'에는 「청년운동과 문예투쟁」(이우적), 「프롤레타리아 극장 공연을 보고」(김무적), 「신여성 자매들에게」(윤시야), 「일기 발초...본부 지부 보고', '검열제도개정기성동맹', '편집후기' 등이 게재되었다. 『예술운동』은 최초의 문학 기관지로 평가되는데, 간행 전에 이미 일제로부터 발간...
- 성격 :
- 문학잡지
- 간행/발행 :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 창간일-종간일 :
- 1927. 11. 15
- 소장/전승 :
- 아단문고
-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카프,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파고를 배경으로 조선에서도 공산주의운동이 발흥하였다. 이러한 사회운동의 고양 속에서 KAPF는 소련의 RAPP와 일본의 NAPF에 영향을 받아 프롤레타리아계급운동의 일환으로 문학운동을 전개하였다. 1920년대 초 일본에서 신사상의 세례를 받은 유학생 김기진(金基鎭)을 비롯한 박영희(朴英熙) · 이상화(李相和) 등에...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1930년대의 한국문학사적 특징, 동반자 문학 ‘문학’을 죄어오는 일제의 손길문학인을 일컫는 말이다. 1930년 하리코프 대회에서는 바로 이와 같은 소부르주아 성격의 동반자 작가들을 적극 훈련시켜 프롤레타리아 문학 진영으로 이끈다면 훨씬 광범위한 프롤레타리아 망을 구축할 수 있으리라는 논의가 이루어진다. 이 무렵 국내에서는 카프가 ‘볼셰비키화’라는 구호를 내걸고 노동자와 농민...
- 시기 :
- 1931년
-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의 서막과 홍위병의 등장좌담회’의 내용이 〈린뱌오 동지가 쟝칭 동지에게 위탁해 소집한 부대의 문학 · 예술 활동에 관한 좌담회 기요〉라는 제목으로 당내에 보고되었고, 뒤이어...라는 제목의 사설이 실리면서 처음으로 그때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으로 공식 규정했다. 1966년 5월 4일부터 26일까지 베이징에서는...
-
192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대중 속으로 가는 문학 대중 예술론살림이 갈수록 피폐해지는 상황에서는 방향 전환론을 만족시킬 만한 작품이 나오기 힘들며, 설사 전환론을 만족시키는 뛰어난 프로 문학 작품이 나온다 하더라도 과연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주체가 되어야 할 노동자 · 농민 계급이 그 작품을 얼마나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무산 계급의 상당수가...
- 시기 :
- 1928년
-
문학 文學또 서투른 이론으로 창작을 지도하려고 한 데서 부작용을 빚기도 하였지만, 커다란 영향을 끼쳤음은 부인할 수 없다. 그때 좌경문학을 신경향파 · 프롤레타리아문학 · 동반작가문학으로 분류하였다. 목적의식이 불분명하다고 한 신경향파에 속하는 최학송(崔鶴松)은 이론이 아닌 절실한 체험에서 빈궁의 문학을 보여...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문학사조 文學思潮사실주의·자연주의)이 근대적 개인의식과 관련된 문학사조로 본다면, 3·1항일운동을 겪은 민족주의는 1925년을 고비로 계급적 민중의식을 지향하는 프롤레타리아문학과 국민문학파로 양분되는 양상을 보인다. 1920년대 전반기의 시를 일괄하여 낭만주의로 보는 견해(오세영)와, 상징주의(symbolism)로 보는 견해...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조선문학건설본부 朝鮮文學建設本部연원 및 변천 1945년 8월 16일 설립. 1945년 12월 13일 〈조선문학건설본부〉와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이 〈조선문학동맹〉으로 통합. 1946년 2월 8일 〈조선문학가동맹〉으로 명칭 변경. 내용 1945년 8월 16일에 결성된 〈조선문학건설본부〉는 좌·우파 문인들을 망라한 범문단적인 문학단체였다. 〈조선문학...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5년 8월 16일
- 성격 :
- 문학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