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네스토리우스 교리논쟁주교 사모사타의 파울루스(260경~270 재위)가 내세운 이단설을 다시 주장하고 있다는 혐의로 고소를 당했다. 이런 상황에서 알렉산드리아 주교 키릴루스(412~444 재위)가 이 문제에 개입하여 마침내 네스토리우스를 몰락시킨 일련의 사건들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네스토리우스의 설교사본들은 외국에까지 널리 퍼지고...
-
모스크바 및 전 루스 총대주교 Patriarch of Moscow and a..대제에 의하여 폐지되었는데 1917년 10월 28일(그레고리우스력으로 11월 10일)에 전 러시아 지방 의회의 결의에 따라 복구되었다. 2022년 2월 현재 재임 중인 키릴 총대주교는 2009년 2월 1일에 이 직위에 올랐다.웹 인용 "모스크바와 전 루스의 총대주교"의 다른 표현으로는, "모스크바와 모든 대러시아, 소러시아, 및...도서 위키백과
-
스코페 스톤 브리지 스코페의 대표적인 다리, Skopje Камен мост이곳 사람들에게 스코페를 대표하는 장소로 여겨지며 오랜 기간 동안 잘 보존되고 있다. 마지막 보수 공사는 1994년에 진행되었고, 이후 2008년에는 다리 중간에 미흐라브가 세워졌다. 구시가지 쪽 다리 끝에는 키릴 문자를 만든 동방정교회 사도인 성 키릴루스와 그의 형 메토디오스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참고
- 위치 :
- 마케도니아 광장에서 도보 1분
- 소재지 :
- Камен мост, 1000 Skopje
-
셰프첸코 타라스 흐리호로비치 셰프첸코, Taras Hryhorovych Shevchenko장시 〈가이다마크들 Gaidamaki〉(1841)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듯이 우크라이나 역사를 더욱 암울하게 묘사하기 시작했다. 1847년 비밀결사인 '성 키릴루스와 성 메토디우스회'가 탄압을 받을 때 그 또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압제를 풍자하고 혁명을 예언한 〈꿈 son〉·〈카프카스 kavkaz〉·〈서한〉 등을 쓴 죄...
- 출생 :
- 1814. 3. 9(구력 2. 25), 러시아 우크라이나 모린치
- 사망 :
- 1861. 3. 10(구력 2. 26), 상트페테르부르크
- 국적 :
- 우크라이나
-
테오필락투스 Theophylactus of Ochrida주교의 일대기인 〈오크리다의 클레멘스의 생애 Life of Clement of Ochrida〉를 썼고, 슬라브인들에게 최초의 전도자이며 슬라브어 알파벳을 만든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에 대해 극구 칭찬을 했다. 〈라틴 사람들이 공격받는 문제에 관한 연설 Allocutio de iis quorum Latini incusantur〉(1090경)에서 테오필락투스는...
- 출생 :
- 1050경, 그리스 에게 섬 에우보이아
- 사망 :
- 1109경
- 국적 :
- 그리스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아르메니아 정교회, Armenian Apostolic Church교회가 아르메니아 교회에서 분리되어 그리스 정교회와 재연합했을 때 아르메니아 교회는 '말씀이 육신이 된 1가지 본성'을 주장한 알렉산드리아의 성 키릴루스의 그리스도론 진술을 고백하는 콥트와 시리아 야코부스파 교회와 교제했다. 계시자 성 그레고리우스와 그를 계승한 처음 몇 사람은 에크미아드진에 관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