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테오도레투스 Theodoretus
    431년초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가 제안한 것이었다. 테오도레투스는 키릴루스가 그리스도에게 인간의 지성이 없다는 주장(아폴리나리우스주의)을 한다는 이유로 파문을 한 바 있는데, 칼케돈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를 저주함으로써 키릴루스에 대한 맞파문을 철회한 셈이었다. 그러나 칼케돈 공의회는 마지막 회기에...
    출생 :
    393경, 시리아 안티오크
    사망 :
    458경
    국적 :
    시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네스토리우스 교리논쟁
    주교 사모사타의 파울루스(260경~270 재위)가 내세운 이단설을 다시 주장하고 있다는 혐의로 고소를 당했다. 이런 상황에서 알렉산드리아 주교 키릴루스(412~444 재위)가 이 문제에 개입하여 마침내 네스토리우스를 몰락시킨 일련의 사건들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네스토리우스의 설교사본들은 외국에까지 널리 퍼지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기독교
  • 에페소스 파문
    지연되었다. 특히 안티오키아 주교 요한네스(428~441)의 도착이 늦었는데, 그는 네스토리우스를 지지하는 사람이었다. 에페소스 주교 멤논의 귀띔을 들은 키릴루스는 요한네스의 영향력을 두려워하여 공의회를 강행하기로 결심했다. 이리하여 6월 22일에 1차 회기가 시작되었다. 네스토리우스는 이 회의 참석을 거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기독교
  • 겐나디우스 1세 Saint Gennadius I of Constantinople
    루루스를 물러나게 했다. 에페소에서 네스토리우스 이단에 반대하여 공포된 교리에 대한 단성론적인 해석에 대항하기 위해서 겐나디우스는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의 파문서에 대한 날카로운 비평을 썼는데, 이 파문서는 경험중심적인 안티오크학파에 대한 반론으로 쓰여진 것이다. 실제로 그는 그리스도의 인간적 행동...
    출생 :
    미상
    사망 :
    471,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모스크바 및 전 루스 총대주교 Patriarch of Moscow and a..
    대제에 의하여 폐지되었는데 1917년 10월 28일(그레고리우스력으로 11월 10일)에 전 러시아 지방 의회의 결의에 따라 복구되었다. 2022년 2월 현재 재임 중인 키릴 총대주교는 2009년 2월 1일에 이 직위에 올랐다.웹 인용 "모스크바와 전 루스의 총대주교"의 다른 표현으로는, "모스크바와 모든 대러시아, 소러시아, 및...
    도서 위키백과
  • 유티미우스 Euthymius of Turnovo
    저술했는데, 이로써 특별한 문화적·신학적 원리에 기초하여 일관되고 체계적인 언어 프로그램을 만들게 되었다. 9세기 그리스 사도들에 의해 슬라브족인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에게 전해진 슬라브 유산은 진부한 것이 되어버렸다. 원래 단일어인 슬라브어는 별개의 언어들과 방언들로 분열되었다. 그러나 교회에서 사용...
    출생 :
    1317경
    사망 :
    1402경
    국적 :
    투르노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스코페 스톤 브리지 스코페의 대표적인 다리, Skopje Камен мост
    이곳 사람들에게 스코페를 대표하는 장소로 여겨지며 오랜 기간 동안 잘 보존되고 있다. 마지막 보수 공사는 1994년에 진행되었고, 이후 2008년에는 다리 중간에 미흐라브가 세워졌다. 구시가지 쪽 다리 끝에는 키릴 문자를 만든 동방정교회 사도인 성 키릴루스와 그의 형 메토디오스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참고
    위치 :
    마케도니아 광장에서 도보 1분
    소재지 :
    Камен мост, 1000 Skopje
    도서 ENJOY 동유럽 | 태그 유럽 , 해외여행
  • 바실리우스 수도회 Order of Basilius
    수도회칙이 서구 수도원 생활에 끼친 영향에 견줄 만했다. 바실리우스 수도회의 수사들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인물로는 슬라브 민족의 사도인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 다마스쿠스 태생인 성 요한네스, 고백자 막시무스를 들 수 있다. 비잔틴 전례를 따르는 성 바실리우스 수도회에는 크게 5개 분파가 있다. ①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셰프첸코 타라스 흐리호로비치 셰프첸코, Taras Hryhorovych Shevchenko
    장시 〈가이다마크들 Gaidamaki〉(1841)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듯이 우크라이나 역사를 더욱 암울하게 묘사하기 시작했다. 1847년 비밀결사인 '성 키릴루스와 성 메토디우스회'가 탄압을 받을 때 그 또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압제를 풍자하고 혁명을 예언한 〈꿈 son〉·〈카프카스 kavkaz〉·〈서한〉 등을 쓴 죄...
    출생 :
    1814. 3. 9(구력 2. 25), 러시아 우크라이나 모린치
    사망 :
    1861. 3. 10(구력 2. 26),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적 :
    우크라이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인물 , 작가
  • 테오필락투스 Theophylactus of Ochrida
    주교의 일대기인 〈오크리다의 클레멘스의 생애 Life of Clement of Ochrida〉를 썼고, 슬라브인들에게 최초의 전도자이며 슬라브어 알파벳을 만든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에 대해 극구 칭찬을 했다. 〈라틴 사람들이 공격받는 문제에 관한 연설 Allocutio de iis quorum Latini incusantur〉(1090경)에서 테오필락투스는...
    출생 :
    1050경, 그리스 에게 섬 에우보이아
    사망 :
    1109경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인물 , 종교인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아르메니아 정교회, Armenian Apostolic Church
    교회가 아르메니아 교회에서 분리되어 그리스 정교회와 재연합했을 때 아르메니아 교회는 '말씀이 육신이 된 1가지 본성'을 주장한 알렉산드리아의 성 키릴루스의 그리스도론 진술을 고백하는 콥트와 시리아 야코부스파 교회와 교제했다. 계시자 성 그레고리우스와 그를 계승한 처음 몇 사람은 에크미아드진에 관구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첼레스티노 1세 Celestinus I
    보내 펠라기우스주의와 맞서 싸우도록 했다. 431년 로마에서 성 팔라디우스를 주교로 축성한 뒤 아일랜드 초대주교로 보냈고, 같은 해 알렉산드리아 대주교 성 키릴루스를 에페소스 공의회에 보내 네스토리우스로 하여금 자신의 학설을 부인하도록 하라는 임무를 부여했다. 그는 이 공의회가 네스토리우스에 대해 내린...
    출생 :
    ?, 로마 캄파니아
    사망 :
    432. 7. 27,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키릴 문자를 들고 있는 키릴루스 형제
스코페 스톤 브리지(Skopje Камен мост)의 성 키릴루스와 메토디오스의 동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