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조의 정형성
    짜여져 있으면 연시조라고 한다. 초기 사대부 중심으로 창작되었던 시조는 이후 서민 의식을 반영하면서 엇시조, 사설시조 등으로 변화를 일으킨다. 조선 후기의 서민들은 중장이 길어지는 형태의 사설시조를 즐겨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도 변하지 않는 시조의 형식은 종장 첫 구의 글자가 3글자여야 한다는 점이다...
    도서 다음백과
  • 연시조 연형시조, 聯時調
    개설 현대시조는 장구(章句)의 규모를 벌이는 방식에 따라 크게 평시조(平時調)·엇시조(旕時調) 및 사설시조(辭說時調)로 나뉘고, 장구의 중첩 여부에 따라 단장체(單章體)와 연장체로 나뉜다. 연장체는 대개가 평시조 형식의 단가를 2수 이상의 장구로 하나의 제목에 엮어내는 방식이다. 연장체의 하나인 이른바 양장...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시조가 된 고소설
    내용이 《해동가요》에도 실려 있다. 이렇듯 시조라는 장르를 이용하여 소설평을 한 작품은 저자가 찾은 것만도 110여 편에 이른다. 이와는 반대로 소설 속에 시조가 들어간 경우도 있으니 몇 작품을 소개하자면 〈이진사전〉에 3수, 〈조웅전〉에 2수, 〈금산사기(金山寺記)〉에 국한문혼용체 사설 시조 4편이 보인다...
  • 김천택 백함, 金天澤
    그 서문에서 국문시가인 시조도 한시 못지않게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주장했다. 평시조 외에도 '만횡청류'(蔓橫淸類)라는 이름 아래 사설시조 116수를 수집해놓아 사설시조 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다. 그의 작품은 진본(珍本) 〈청구영언〉에 30수, 주씨본(朱氏本) 〈해동가요〉에 57수가 실려 있다. 이 가운데 14...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시조의 작품과 성격
    했다. 자신들의 신분에 대한 자의식을 담아내는가 하면, 서민세계를 반영하여 애정행각이나 장사행위·세태풍자 등을 담아내기도 했다. 특히 후자는 사설시조의 세계로서 서민들의 생활세계를 반영한 사실주의적 문학으로 높이 평가되어왔다. 시조는 이러한 확산과정을 거쳐 19세기말에 이르면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시조유취 時調類聚
    哀傷類)·기탁류(寄托類)·한정류(閒情類)·취락류(醉樂類)·사관류(寺觀類)·인물류(人物類)·잡류(雜類) 등 총 21항목으로 나누어 그에 해당하는 시조사설시조를 실었다. 이러한 분류방법은 이미 진본(珍本) 『청구영언』에서 무명씨(無名氏)의 작품을 분류할 때와 『고금가곡(古今歌曲)』·『근화악부(槿花樂府...
    시대 :
    근대
    저작자 :
    최남선
    창작/발표시기 :
    1928년
    성격 :
    시조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한성도서주식회사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조운시조 曺雲時調集
    재구, 외유(외喩)와 반복적 율조, 조어(措語)의 대립적 위상에 의한 독특한 형태의 운용과 결합되어 유기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사설시조 「구룡폭포(九龍瀑布)」를 들 수 있는데, 윤곤강(尹崑崗)은 이를 가리켜 “어떠한 작품을 갖다 대어도 조씨의 「구룡폭포」 한 편과 어깨를 겨눌 작품을 나는...
    시대 :
    현대
    저작자 :
    조운
    창작/발표시기 :
    1947년
    성격 :
    시조집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조선사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시조 두 수
    넋이 되어 님을 찾아가 잠을 깨우겠다는 설정을 하고 있다. <진본 청구영언(珍本靑丘永言)>에 실린 작가 미상의 <창(窓) 내고쟈 창(窓)을 내고쟈~>는 사설시조로 성격은 해학적, 의지적이다. 제재는 창이며 주제는 삶의 답답함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마음이다. 특히 답답한 마음을 창을 낸다는 설정을 통해 서민의 애환...
    도서 다음백과
  • 국문문학 國文文學
    계축일기 癸丑日記〉·〈인현왕후전 仁顯王后傳〉·〈병자일기 丙子日記〉·〈의유당관북유람일기 意幽堂關北遊覽日記〉나 편지 등이 국문으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사설시조·잡가·판소리 등 보다 서민의 취향이 담긴 국문문학이 나타났다.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확대되어 근대 이후에는 국문문학만이 국문학에 남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나무꾼노래 초부가
    산에 오르는 신선한 기분을 나타낸 것이며, 뒤에 이어지는 신세타령의 구슬픈 사설은 깊은 산속에서 혼자 나무를 하는 나무꾼의 외로운 심정을 나타내고 있다. 나무꾼노래 중에 사랑을 호소하는 내용이 많은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혼자 부르는 일이 많으므로 율격이 다듬어지지 않아 사설시조와 비슷한 점도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민요
  • 연시조 연형시조, 聯時調
    나타난 최초의 연시조는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江湖四時歌〉이다. 고시조에서는 평시조를 연작하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현대에는 평시조뿐 아니라 엇시조·사설시조를 연작해 쓰기도 한다. 이것은 한시의 연작이나 현대 자유시에서 여러 연이 나타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이이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시조
    조선 시조의 양대 산맥을 이루는 정철과 윤선도에 이르러 전성기를 맞았으면서 황진이와 송순 등에 의해 뛰어난 문학적 경지에 도달하였다. 영·정조 이후 평민들이 참여하여 사설시조 등 새로운 형식이 탄생하였고, 조선 후기에 이르러 창곡으로 발전하였다. 3장을 이루며 종장 첫 구는 3글자라는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