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연시조 연형시조, 聯時調개설 현대시조는 장구(章句)의 규모를 벌이는 방식에 따라 크게 평시조(平時調)·엇시조(旕時調) 및 사설시조(辭說時調)로 나뉘고, 장구의 중첩 여부에 따라 단장체(單章體)와 연장체로 나뉜다. 연장체는 대개가 평시조 형식의 단가를 2수 이상의 장구로 하나의 제목에 엮어내는 방식이다. 연장체의 하나인 이른바 양장...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시조가 된 고소설내용이 《해동가요》에도 실려 있다. 이렇듯 시조라는 장르를 이용하여 소설평을 한 작품은 저자가 찾은 것만도 110여 편에 이른다. 이와는 반대로 소설 속에 시조가 들어간 경우도 있으니 몇 작품을 소개하자면 〈이진사전〉에 3수, 〈조웅전〉에 2수, 〈금산사기(金山寺記)〉에 국한문혼용체 사설 시조 4편이 보인다...
-
-
시조의 작품과 성격했다. 자신들의 신분에 대한 자의식을 담아내는가 하면, 서민세계를 반영하여 애정행각이나 장사행위·세태풍자 등을 담아내기도 했다. 특히 후자는 사설시조의 세계로서 서민들의 생활세계를 반영한 사실주의적 문학으로 높이 평가되어왔다. 시조는 이러한 확산과정을 거쳐 19세기말에 이르면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
시조유취 時調類聚哀傷類)·기탁류(寄托類)·한정류(閒情類)·취락류(醉樂類)·사관류(寺觀類)·인물류(人物類)·잡류(雜類) 등 총 21항목으로 나누어 그에 해당하는 시조와 사설시조를 실었다. 이러한 분류방법은 이미 진본(珍本) 『청구영언』에서 무명씨(無名氏)의 작품을 분류할 때와 『고금가곡(古今歌曲)』·『근화악부(槿花樂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최남선
- 창작/발표시기 :
- 1928년
- 성격 :
- 시조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한성도서주식회사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조운시조집 曺雲時調集재구, 외유(외喩)와 반복적 율조, 조어(措語)의 대립적 위상에 의한 독특한 형태의 운용과 결합되어 유기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사설시조 「구룡폭포(九龍瀑布)」를 들 수 있는데, 윤곤강(尹崑崗)은 이를 가리켜 “어떠한 작품을 갖다 대어도 조씨의 「구룡폭포」 한 편과 어깨를 겨눌 작품을 나는...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조운
- 창작/발표시기 :
- 1947년
- 성격 :
- 시조집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조선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시조조선 시조의 양대 산맥을 이루는 정철과 윤선도에 이르러 전성기를 맞았으면서 황진이와 송순 등에 의해 뛰어난 문학적 경지에 도달하였다. 영·정조 이후 평민들이 참여하여 사설시조 등 새로운 형식이 탄생하였고, 조선 후기에 이르러 창곡으로 발전하였다. 3장을 이루며 종장 첫 구는 3글자라는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