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설시조 편시조, 辭說時調
    조선후기 세간에 유행했던 산문적이며 서민적 내용이 담겨있는 시조. 편시조·엮음시조|개설 본래는 편시조(編時調)ㆍ엮음시조(--時調)라고 이르던 것인데, 현대에 들어와서 그와 같은 명칭으로 이미 굳었다. 이른바 ‘사설(辭說)’이라는 용어는 ‘실속은 없이 사설만 늘어놓는다.’라고 할 때와 같이 ‘입말’을 뜻...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사설시조 장시조, 辭說時調
    장시조', '장형시조'라고도 부른다. 본래는 만횡청이라 하여 창법의 명칭으로 쓰이다가 문학양식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정철의 〈장진주사〉에서 시작되어 조선 후기에 본격적으로 발달했다.|'장시조', '장형시조'라고도 부른다. 본래는 만횡청이라 하여 창법의 명칭으로 쓰이다가 문학양식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정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사설시조
    조선 중기 이후 발달해 초장·중장이 제한 없이 길고, 산문적 성질의 서민적 내용 조선 선조 때 정철의 <장진주사>에서 비롯된 사설시조는 일상적인 소재를 해학과 풍자로 표현하고(언어유희와 열거법), 골계미와 해학 미가 두드러진다. 작가 층은 대개 미상(평민)이며, 형식에 있어 종장 첫 구가3글자이며 초장과 중장...
  • 사설시조
    사설시조는 보통 시조 중에서 중장(가운데 장)이 일반적인 시조에 비해 비정상적으로(기본적으로 두 구 이상이 10글자 이상으로) 길어진 것을 의미한다. 장시조 또는 장형시조라고도 불린다. 보통 조선 후기에 서민과 몰락한 양반 등 사회 하위 계층에 의해 쓰였으며, 사회 비판적 내용, 풍자적 내용, 자신의 신세 한탄,...
    도서 위키백과
  • 사설시조의 유래
    비교적 평시조의 율격과 비슷하나 초·중장은 평시조의 율격에서 크게 벗어나 길어진 형태이다. 작품에 따라서 중장이 가사(歌辭)처럼 길어진 것도 있다. 사설시조의 발생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조선 후기 사회변동과 음악의 발달에 힘입어 평시조가 변형·파격을 이루었다는 견해가 있으나 경우에 따라 조선 중기부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전문학
  • 사설시조의 미의식
    우아하고 균형 잡힌 사대부의 정신세계만을 담은 평시조와 달리 사설시조는 익살·풍자와 분방한 체험을 표현한 평민적인 것이 대부분이다. 도덕이나 사회적 체면에 거리낄 것이 없는 서민들의 감정이 거칠고 투박한 날것의 언어로 시조 속에 담겼다. 사설시조의 등장으로 문학의 관심영역이 이상적이고 추상적인 세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전문학
  • 엇시조 농시조, ─詩調
    수 있었을 것이다.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 엇시조가 된 것이다. 이것이 더욱 장형화하면서 엮음의 묘미가 구조화하여 사설시조가 발생한 것이다. 엇시조는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중간적 성격을 띤 것으로, 앞에 예시한 ‘꽃 피어 열음 열어 따들이도록 누리소서’에서 이미 엮음의 징조가 나타나 있음을 본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시조 단가, 時調
    3장으로 구성되었다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시조의 기본 형식은 초장(初章) · 중장(中章) · 종장(終章)의 3행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엇시조에서나 사설시조에서도 다를 바가 없다. 따라서 이 장을 현대시의 개념인 행으로 보아 시조의 형식은 3행으로써 1연을 이루며, 각 행은 4음보격(四音步格)으로 되어 있다고...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여창상성계평조 여창사설지름, 女唱上聲界平調
    개설 현재 「저 건너 일편석은」과 「기러기 산이로 잡아」는 여창지름시조로 불리고, 「푸른 산 중」은 사설지름시조로, 「창(窓) 내고자」는 사설지름시조 계열인 수잡가로 불린다. 연원 및 변천 여창상성계면조는 일본축음기상회(日本蓄音器商會, NIPPONOPHONE, 닙보노홍, 일축조선소리반(日蓄朝鮮소리盤)) 음반에...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시조의 음악적 성격
    경제시조, 충청도는 내포제, 경상도는 영제, 전라도는 완제 등으로 구분한다. 악곡형태에 따라서는 평시조·중거시조(中擧時調)·평조시조·두거시조(頭擧時調)·지름시조·사설시조 등으로 나눈다. 시조에 사용되는 장단은 5박장단과 8박장단이 있으며 이 2가지 장단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경제시조와 향제시조는 기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사설난봉가
    받는 부분이 메기는 부분보다 훨씬 더 길고 강조되어 있다. 받는 부분의 가사가 촘촘히 주워 섬기는 기법으로 되어 있어서, '사설 난봉가'라고 부른다. 사설 시조사설 방아타령처럼 '사설'이란 말이 붙은 노래는 가사가 모두 촘촘히 엮어지는데 '엮음' 과 '휘몰이'도 '사설' 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가사를 주워 섬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민요
  • 시조의 범주와 갈래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해져서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하위 갈래로 나누어볼 수 있다. 우선 형태적인 특성에 따라 단시조(短時調 : 평시조)와 장시조(長時調 : 사설시조), 단시조(單時調)와 연시조(連時調)로 나뉜다. 단시조와 장시조는 3장 구성의 길이나 3장의 각 구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느냐에 따라 나뉘는데, 단시조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