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설시조 편시조, 辭說時調조선후기 세간에 유행했던 산문적이며 서민적 내용이 담겨있는 시조. 편시조·엮음시조 개설 본래는 편시조(編時調)ㆍ엮음시조(--時調)라고 이르던 것인데, 현대에 들어와서 그와 같은 명칭으로 이미 굳었다. 이른바 ‘사설(辭說)’이라는 용어는 ‘실속은 없이 사설만 늘어놓는다.’라고 할 때와 같이 ‘입말’을 뜻...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사설시조조선 중기 이후 발달해 초장·중장이 제한 없이 길고, 산문적 성질의 서민적 내용 조선 선조 때 정철의 <장진주사>에서 비롯된 사설시조는 일상적인 소재를 해학과 풍자로 표현하고(언어유희와 열거법), 골계미와 해학 미가 두드러진다. 작가 층은 대개 미상(평민)이며, 형식에 있어 종장 첫 구가3글자이며 초장과 중장...
-
엇시조 농시조, ─詩調수 있었을 것이다.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 엇시조가 된 것이다. 이것이 더욱 장형화하면서 엮음의 묘미가 구조화하여 사설시조가 발생한 것이다. 엇시조는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중간적 성격을 띤 것으로, 앞에 예시한 ‘꽃 피어 열음 열어 따들이도록 누리소서’에서 이미 엮음의 징조가 나타나 있음을 본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시조 단가, 時調3장으로 구성되었다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시조의 기본 형식은 초장(初章) · 중장(中章) · 종장(終章)의 3행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엇시조에서나 사설시조에서도 다를 바가 없다. 따라서 이 장을 현대시의 개념인 행으로 보아 시조의 형식은 3행으로써 1연을 이루며, 각 행은 4음보격(四音步格)으로 되어 있다고...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여창상성계평조 여창사설지름, 女唱上聲界平調개설 현재 「저 건너 일편석은」과 「기러기 산이로 잡아」는 여창지름시조로 불리고, 「푸른 산 중」은 사설지름시조로, 「창(窓) 내고자」는 사설지름시조 계열인 수잡가로 불린다. 연원 및 변천 여창상성계면조는 일본축음기상회(日本蓄音器商會, NIPPONOPHONE, 닙보노홍, 일축조선소리반(日蓄朝鮮소리盤)) 음반에...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시조의 음악적 성격경제시조, 충청도는 내포제, 경상도는 영제, 전라도는 완제 등으로 구분한다. 악곡형태에 따라서는 평시조·중거시조(中擧時調)·평조시조·두거시조(頭擧時調)·지름시조·사설시조 등으로 나눈다. 시조에 사용되는 장단은 5박장단과 8박장단이 있으며 이 2가지 장단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경제시조와 향제시조는 기본...
-
-
시조의 범주와 갈래수 없을 정도로 다양해져서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하위 갈래로 나누어볼 수 있다. 우선 형태적인 특성에 따라 단시조(短時調 : 평시조)와 장시조(長時調 : 사설시조), 단시조(單時調)와 연시조(連時調)로 나뉜다. 단시조와 장시조는 3장 구성의 길이나 3장의 각 구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느냐에 따라 나뉘는데, 단시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