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기 타이어 아버지의 마음이 만들어낸 편리
    엉덩이에 멍이 들었기 때문이다. 미국인 찰스 굿이어가 1839년 발명한 탄화고무로 만든 통고무바퀴는 질겼지만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나무바퀴와 진배없었다. 묘수를 궁리하던 던롭은 무심코 축구공을 보다가 탄성을 질렀다. "이거다!" 던롭은 즉각 고무호스를 바퀴 테두리에 감고 바람을 집어넣었다. 타이어 속의 공기...
  • 황진이 진랑, 黃眞伊
    최고의 명기이다. 어디를 가든 선비들과 어깨를 겨누고 대화하며 뛰어난 한시나 시조를 지었다. 가곡에도 뛰어나 그 음색이 청아했으며, 당대 가야금의 묘수(妙手)라 불리는 이들까지도 그녀를 선녀(仙女)라고 칭찬했다. 황진사의 서녀라고도 하고 맹인의 딸이라고도 하는데, 일찍이 개성의 관기가 되었다. 15세 때 이웃...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역사인물 , 작가
  • 우형 (바둑용어) 愚形
    무리를 지어 포도송이처럼 모여 있으면 돌 하나하나의 가치가 줄어들어 국면 전체에서는 불리한 결과를 낳게 된다. 그러나 단순히 돌의 모양만으로 유불리를 따져서는 안 되며, 원칙에 구애받지 않고 주변 상황과 관련하여 돌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에서 "우형에서 묘수 난다"라는 격언도 있다.
  • 크로마뇽인의 동굴벽화, 상처를 입은 크로마뇽인 고고학 미스터리
    원시적 용맹성과 자연에 대한 감각을 잃어버리는 대신 합리적 사고를 갖게 된다. 자연 속에서 용맹스럽게 동물을 사냥하는 것이 아니라 가축으로 사육하는 묘수를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가축을 사육하면서 인간이 동물보다 우월한 존재라는 사실을 알게 되자, 더는 주술적인 의미의 그림은 그릴 필요가 없게 된다...
  • 유연하고 상징적인 풍수지리
    모인다고 믿었다. 사실 물이 근처에 없다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마을에 우물을 파지 않고 살아갔다는 것은 함께 살아가는 묘수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행주형 지세에서는 돌탑을 세우지 않는다. 돌탑이 무거우므로 배가 가라앉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
  • 정세문 鄭世文
    평가되고 있다. 교직자로서의 경험을 토대로 음악교육의 학습방안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개발에 현저한 실적이 뚜렷하다. 1976년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음악교육학과 교수를 역임한 바 있으며 여러 대학에 출강하여 ‘음악교육학’을 가르쳤다. 200여 편의 동요작품 가운데는 「어린이행진곡」(길묘순 작사), 「무궁화...
    시대 :
    현대
    출생 :
    1923년
    사망 :
    1999년
    경력 :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음악교육학과 교수, 반달동요대상 수상
    유형 :
    인물
    직업 :
    작곡가, 동요작곡가, 음악교육자
    대표작 :
    은구슬, 산길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박문오 대화(大化), 朴文五
    이다. 이항로(李恒老)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경학(經學) 연구에 전심하는 한편, 서당을 세워 제자들을 가르쳤다. 고종 때 판서 남정철(南廷哲)이 기자묘수호소(箕子墓守護所)를 설치하여 도내에서 학문과 덕행이 높은 인사를 뽑을 때, 입직수호생(入直守護生)과 주학교수(州學敎授)로 임명되자 사퇴하였다가...
    시대 :
    조선
    출생 :
    1835년(현종 1)
    사망 :
    1899년(고종 36)
    경력 :
    주학교수, 덕천군수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성암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밀양(密陽)
  • 좌우동형 (바둑용어) 左右同型
    바둑에서, 좌우가 대칭을 이루는 모양. 좌우의 모양이 같으면 중앙이 급소가 된다는 의미에서 "좌우동형 중앙에 수 있다"는 격언이 있다. 한편, 좌우동형은 중앙에 있는 급소 때문에 여러가지 묘수가 가능하여 악형으로 보아 피하는 경향이 있다.
  • 기전고 箕田考
    있고 이것을 7가(家)가 각각 나누어 경작하면 역시 사전(私田) 70묘의 10분의 1이 된다는 설에 동조하였다. 끝으로, 이익의 <기전속설>은 옛날과 다른 점이 묘수(畝數)와 묘의 장단(長短)이며 십일제(什一制)는 같다. 그러므로 평양의 전(田)은 기자가 은(殷)나라 사람이기는 하나, 특별히 구획을 변형한 것으로...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가환, 이의준
    창작/발표시기 :
    1790년(정조 14)
    성격 :
    자료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공배 (바둑 용어)
    바둑에서, 흑과 백 누가 두어도 집이 되지 않는 곳. 흑돌과 백돌의 세력이 교차하거나 대립하는 지점의 경계에 있어, 어느 쪽에서도 집을 지을 수 없는 곳을 말한다. 하지만 공배의 영향으로 묘수가 발생하거나 인접한 돌의 생사가 갈리기도 하여, 공배를 메우기도 한다. 이를 '공배메움'이라고 한다.
  • 옥잠화
    되도록 배수가 잘 되고 부식질이 많은 양토질이 좋다. 절엽 또는 절화의 경우 보통 90㎝ 이랑에 2∼3줄로 심되 주 사이는 30㎝로 한다. 따라서 10a당 소요묘수는 5,000∼7,400주이다. 기비로는 10a당 완숙퇴비 3,000㎏, 완숙닭똥 300㎏, 용성인비 200㎏을 정식 1개월 전에 전면살포해 잘 갈아엎고 심는다. 추비는 9...
    도서 숙근화훼류 | 태그 식물 , 산업
  • 간암문집 艮庵文集
    곳의 섬에 진영(鎭營)을 만들어 능력 있는 장수에게 관리하도록 하면 해적이 침범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하여 국방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고금도관왕묘수호사상서균역청(古今島關王廟修護事上書均役廳)」은 고금도(古今島)에 진린(陳璘)이 창건한 관우(關羽)의 사당을 잘 수호해야 한다고 유림의 대표로서...
    시대 :
    조선
    저작자 :
    위세옥
    창작/발표시기 :
    1968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1책
    간행/발행 :
    위병두(편집), 위정식(편집), 위병철(간행), 위주열(간행)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고려대학교 도서관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