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여치다 (바둑용어)
    바둑에서, 미끼가 되는 먹잇돌을 상대방의 호구에 넣어 상대방의 돌을 우형(愚形)이나 자충(自充), 옥집이 되도록 유도하는 행마. 상대방의 궁도에 돌을 넣어 눈의 수를 줄이거나, 먹잇돌로 결점을 만드는 것과 같은 행마를 포함한다.
  • 맥 (바둑용어)
    바둑에서, 형세에 결정적인 변화를 주는 착점. 오래 누적된 연구 결과에 의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착점을 말한다. 급소라고도 하며 젖힘과 끊음, 껴붙임과 배붙임, 여치기와 돌려치기 등의 전술에 작용한다.
  • 귀삼수 (바둑 용어) ─ 三手
    바둑에서, 귀 영역의 수싸움에서 상대방의 수를 3수로 만들어 잡는 전략. 주로 수읽기에 도움을 주는 행마로, 자신의 돌을 두점으로 키운 후 상대방에게 잡히게 하고 다시 여치는 등의 기법이 동원된다.
  • 장생 長生, 长生劫
    바둑 용어중 하나로, 사활에서 같은 형태가 반복되는 특수한 형태를 일컫는다. 실전에서는, 흑백 양쪽이 서로 물러나 주지 않을 경우 규칙에 따라 무승부로 처리된다. 아래의 형태가 장생의 대표적인 경우이다. 장생은 불행의 상징 삼패와 대비되어 행운을 상징하며, 바둑을 두는 모든 사람의 건강을 가져다준다는 속설...
    도서 위키백과
  • 후절수 石の下, 倒脫靴
    바둑 용어로, 상대가 먼저 자신의 돌을 잡게 한 '후'에 다시 상대의 돌을 '끊어' 잡는 것을 뜻한다. 위 그림에서 백이 흑을 잡기 위해서는 a, b 중 한 곳을 두어야 하는데, 언뜻 보면 어느 쪽을 두더라도 자신이 단수가 되어 따먹히면 실패할 것처럼 보인다.그러나 백1로 두고 흑2로 두어 백이 따먹힌 이후에,이렇게...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