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리아 성가 Syrian chant
    야코부스파 교회나 네스토리우스교 같은 동방정교회, 마론파 교회(대부분 레바논에 있음)나 네스토리우스교에서 이탈한 칼데아 교회처럼 로마 교회와 연합해 있는 동방전례교회가 있다. 그밖에도 이와 비슷한 인도 말라바르 지역의 몇몇 분파들이 시리아 그리스도교 교회에 속한다. 19세기 이전의 시리아 전례음악에...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아르메니아 정교회, Armenian Apostolic C..
    성서, 전례, 기본적인 제도상의 용어를 제공해준 시리아 교회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발전했지만, 카파도키아의 카이사리아에 있는 모교회로부터 독립하기로 결정했다. 아르메니아 교회가 시리아 문자를 빌려 써 온 것을 중단한 것은 성 메스로프가 아르메니아 문자를 만들고 수차례에 걸쳐 성서를 아르메니아어로 번역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로마가톨릭주의 Catholicism, カトリシズム
    교회동방 전례 교회로 나뉘어 있으며 각자 독자적인 전통과 교계제도, 전례 양식을 갖고 있지만, 모두 교황과의 일치 아래 하나의 교회를 이루고 있다고 본다. 개신교회는 루터교를 비롯한 공교회주의 교회들은 스스로를 서방교회에서 교황주의에 의해 변질된 잘못된 신학을 극복한 보편교회라고 본다. 성공회와 감리...
    도서 위키백과
  • 동방 정교회 Eastern Orthodox Church, 正教会
    교리와 전례를 공식으로 제정하고 완성함으로써 하나의 교회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1054년 하나의 교회에서 동방교회와 서방교회가 분열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중심으로 한 네 개의 교회 연합으로 분열되었다. 동방 정교회가 주장하는 초대 사도전승(使徒傳承)에 따르면(실제로는 4세기 이전 로마 제국하의 구분) 4개...
    도서 위키백과
  • 라틴 교회 Latin Church, 拉丁禮教會
    같이 정의를 내리고 있다. 교회: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모임은 교회법에 따른 교계제도에 따라 명확히 또는 암묵적으로 공인된 개별 교회들로 이루어져 있다. 전례 양식: 전례 양식은 전례적, 신학적, 영성적, 단련적 유산이며, 각기 다른 민족의 역사에 의한 고유의 문화와 환경 아래서 각 개별 교회의 신자들이 각자...
    도서 위키백과
  • 동방 가톨릭 교회 東方-敎會, Eastern Catholic C..
    동방 교회들은 여전히 가톨릭 교회와 친교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들을 동방 가톨릭 교회라고 한다. 1950년에 시로 말라바르 교회 전체가 가톨릭 교회와 친교를...전승된 것으로 여겨지는 고유의 전통과 전례를 가지고 있으며 로마 가톨릭 교회는 이들의 전통과 관습을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로마 교황청 내에 이...
  • 동방 가톨릭교회 Eastern Catholic Churches,..
    유사한 전례교회법, 전통을 가진 동방 기독교의 범주에 속하지만, 교리적으로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의 수위권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동방교회와 차이가 존재한다. 동방귀일교회(東方歸一敎會)라고도 부른다. 16세기 초부터 유럽에서 확산되고 있던 종교개혁,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가톨릭 교회의 개혁운동...
    도서 위키백과
  • 러시아 가톨릭 교회 Russian Catholic Church
    20세기초부터 로마 가톨릭 교회와 교류를 갖기 시작한 이 교회는 철학자이자 신학자인 블라드미르 솔로비요프에게서 영향을 받은 소수의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이 1900년경 정교회의 전례를 유지한 채 가톨릭으로 개종하면서 시작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직전에 독자적인 총대주교 레오니드 표도로프를 세웠으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예배의 발전
    그 틀이 확정된 초대교회의 경우로부터 그것이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예배형태로 갈라진 역사를 훑어보아야 한다. 동서교회의 분열은 바로 이 예배의식에 대한...것으로 생각되나 오늘의 시각에서 그당시를 회고해보면 신학이나 전례의 차이보다는 정치적·문화적 요인이 오히려 그 분열의 배경이 되었다고 볼 수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동방 교회 東方敎會, Eastern Churches
    역사적 격변을 거쳤다. 현재까지 각 지역교회마다 고유하게 전승된 비잔틴 전례(슬라브 교회, 러시아 교회 등), 아르메니아 전례, 서시리아 전례(시리아 교회, 시로 말란카르 교회, 마론파 교회), 동시리아 전례(칼데아 교회, 시로 말라바르 교회), 콥트 전례, 에티오피아 전례를 보존하여 사용하고 있다. 현재 동방...
  • 루테니아 가톨릭 교회 Carpatho-Rusin Catholic Church..
    슬로바키아의 프레쇼프는 1950년에 폐지되었음). 루테니아인들 중 상당수는 1880년 이후 미국으로 이민을 갔으며 일부는 헝가리로 이주하여, 거기서 동방 전례를 따르는 루마니아인들과 함께 헝가리어에 동화 되어 자신들의 언어를 잃었다. 헝가리의 가톨릭 교회에는 루테니아 주교구인 호이두도로그(Hajdudorog:1912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콥트 교회 Coptic Church
    콥트어를 전례언어로 사용하는 교파이다. 역사 4, 5세기에 이집트에서 콥트인들과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로마인들인 멜키트파('황제의 사람들') 사이에 단성론을 배격한 칼케돈 공의회(451)를 둘러싸고 신학 논쟁이 있었다. 콥트인들은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한 위격 안에서 나누이지도 섞이지도 않으면서 속성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