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계층적 분류법 hierarchical classification나누고, 각각의 군을 더욱 세분해 가는 되풀이 조작이 이에 해당한다. 하위로 갈수록 세분류가 이루어져, 그림과 같은 구조를 가진 분류체계가 얻어진다. 결과로서의 구조는 포함하고, 포함된다는 관계를 규정한다. 계층적 분류법은 도서나 문헌의 분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참조어〉 상위개념, 유개념, 하위개념
- 분야 :
- 계산언어학
-
미국의회도서관 분류법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정리 필요 미국의회도서관 분류법(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LCC)은 미국의회도서관에 의해 개발 된 도서분류법이다. 미국 및 기타 여러 국가의 대부분의 연구 및 학술 도서관에서 사용한다.뉴스 인용 LCC는 모든 책 가 의회의 사서직을 맡기 직전에 발명되었다. Charles Ammi Cutter의 조언에 따라, 그의...도서 위키백과
-
왜 '보통 사람들에 의한 분류법'이 주목을 받는가?, 폭소노미 folksonomy새로운 분류법이다. 즉, 사용자들의 관심과 가치부여에 따라 정보의 분류 체계조차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폭소노미는 소수의 전문 편집 인력보다 나은 방법...듀이 십진분류법(Dewey Decimal System)은 도서관에서 볼 수 있는 도서 폭소노미다. ‘폭소노미’와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은 웹 2.0의...
-
-
규장총목 奎章總目내용 『규장총목(奎章總目)』은 4권 3책으로 구성된 규장각의 장서 목록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의 도서 분류법인 사부 분류법(四部分類法)으로 정리되었고, 해제를 붙인 목록으로 그 규모가 가장 크고 최초의 것이다. 규장각은 1776년(정조 즉위)에 정조의 정치 개혁을 위해 설치된 기구 중의 하나이다. 정조는 동궁으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규장각도서 한국본 총목록 奎章閣圖書韓國本總目錄1책. 1965년에 간행했다. 전체 도서 가운데 당시까지 정리된 서적 총 1만 9,708종, 7만 3,421책을 수록했다. 체재는 옛 규장각도서 목록인 〈규장총목〉의 전통에 따라 경·사·자·집의 4부 분류법을 채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