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계층적 분류법 hierarchical classification
    나누고, 각각의 군을 더욱 세분해 가는 되풀이 조작이 이에 해당한다. 하위로 갈수록 세분류가 이루어져, 그림과 같은 구조를 가진 분류체계가 얻어진다. 결과로서의 구조는 포함하고, 포함된다는 관계를 규정한다. 계층적 분류법도서나 문헌의 분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참조어〉 상위개념, 유개념, 하위개념
    분야 :
    계산언어학
  • 미국의회도서관 분류법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
    정리 필요 미국의회도서관 분류법(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LCC)은 미국의회도서관에 의해 개발 된 도서분류법이다. 미국 및 기타 여러 국가의 대부분의 연구 및 학술 도서관에서 사용한다.뉴스 인용 LCC는 모든 책 가 의회의 사서직을 맡기 직전에 발명되었다. Charles Ammi Cutter의 조언에 따라, 그의...
    도서 위키백과
  • 일본십진분류법 Nippon Decimal Classification, 日本十..
    미문학 940 독일문학 950 프랑스문학 960 스페인문학 970 이탈리아문학 980 러시아문학·소비에트문학 990 기타 문학 일본도서관협회, 일본십진분류법 제9판, ISBN 도서분류법 도서관자료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분류표 국제십진분류법 미국 의회도서관 분류표 한국십진분류법 언어링크 일본십진분류법9판분류기준...
    도서 위키백과
  • 콜론 분류법 Colon Classification
    범주들을 명명했다는 점에 있다. 이것들은 모든 분야에 본질적인 것이기 때문에, 분류체계에는 반드시 이러한 내용들이 포함·표시되어야 한다. 콜론 분류법은 각 주제를 일련의 숫자로 표시하는 대신에 콜론으로 연결된 구성숫자로 전체를 나타내는 일련의 짧은 표를 사용한다. 도서번호는 듀이 분류표나 미국 국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왜 '보통 사람들에 의한 분류법'이 주목을 받는가?, 폭소노미 folksonomy
    새로운 분류법이다. 즉, 사용자들의 관심과 가치부여에 따라 정보의 분류 체계조차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폭소노미는 소수의 전문 편집 인력보다 나은 방법...듀이 십진분류법(Dewey Decimal System)은 도서관에서 볼 수 있는 도서 폭소노미다. ‘폭소노미’와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은 웹 2.0의...
  • 미국국회도서관 美國國會圖書館, Library of Congress
    전국종합목록 National Union Catalog〉을 소장하고 있으며, 각 도서관과 기관의 자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목록 카드를 인쇄·발행한다. 이밖에도 도서분류법을 발전시켜 지금도 이곳에서 만든 국회도서관분류법이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국회도서관은 약 1,900만 권의 서적과 3,300만 편의 논문을 소장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국제십진분류법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
    Decimal Classification)은 지식 분야가 관련되고 상호 연결되는 일관된 시스템으로 조직된 인간 지식의 모든 분야를 체계적으로 배열하는 서지학 및 도서 분류법이다. UDC는 대규모 컬렉션에서 강력한 콘텐츠 색인화 및 정보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상세한 어휘 및 구문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합성 및 패싯 분류 시스템...
    도서 위키백과
  • 도서관 봉사
    고안된 듀이 십진분류법을 들 수 있다. 그는 십진법을 표시기호로 사용하고 있으며, 기억하기 쉬운 방법으로 표시되어 있다. 국제십진분류법은 듀이의 십진분류법을 응용한 것으로, 도서의 방대한 카드 색인과 정기간행물기사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밖에도 세계의 주요분류법에는 미국 의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콜론 분류법 Colon classification, コロン分類法
    콜론 분류법(Colon classification, CC)는 시얄리 라맘리타 랑가나단이 개발한 도서 분류법 시스템이다. 콜론 분류법의 초판은 1933년에 출판되었다. 이후에 6번 개정이 이루어졌다. 인도의 도서관에서 사용된다. 콜론분류법은 콜론을 사용하여 패싯을 나누어 주류나 주된 분야를 식별 할 수 있게 한다. 콜론분류법에서...
    도서 위키백과
  • 도서분류 圖書分類, library classification
    주제별 도서분류가 있다. 둘째, 사건별 분류로 연대별 또는 지역별 분류가 여기에 해당된다. 셋째, 인위적 분류로 예를 들면 알파벳, 어의적 토대, 형식, 크기 또는 수치상의 순서별 분류가 있다. 분류의 정도(예를 들어 가장 작은 소항목을 갖고 분류하는 정밀분류, 또는 자세한 소항목은 생략한 광의의 분류)도 분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규장총목 奎章總目
    내용 『규장총목(奎章總目)』은 4권 3책으로 구성된 규장각의 장서 목록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의 도서 분류법인 사부 분류법(四部分類法)으로 정리되었고, 해제를 붙인 목록으로 그 규모가 가장 크고 최초의 것이다. 규장각은 1776년(정조 즉위)에 정조의 정치 개혁을 위해 설치된 기구 중의 하나이다. 정조는 동궁으로...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규장각도서 한국본 총목록 奎章閣圖書韓國本總目錄
    1책. 1965년에 간행했다. 전체 도서 가운데 당시까지 정리된 서적 총 1만 9,708종, 7만 3,421책을 수록했다. 체재는 옛 규장각도서 목록인 〈규장총목〉의 전통에 따라 경·사·자·집의 4부 분류법을 채택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