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시어의 종류 type of infinitive maker
    가리킬 때는 '이렇다', '그렇다', '저렇다' 등이 있고, 동작을 가리킬 때는 '이렇게 하다', '그렇게 하다', '저렇게 하다' 등이 있다. 지시어는 부사어, 관형어, 서술어, 명사 등 이루어진 형식에 따라 그 종류를 나누기도 한다. 부사어로는 '이같이', '이처럼', '그처럼', '저만큼', '이렇게', '그렇게', '저렇게' 등이...
    도서 다음백과
  • 관형절 冠形節
    문장이라고 한다. 안긴문장이 된 절 하나는 하나의 문장 성분으로 쓰이며,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로 나뉜다. 이중 관형절은 안은문장의 관형어 역할을 하며 부속 성분이 된다. 관형절은 관형형 어미 ‘-으(ㄴ)’, ‘-는’, ‘-(으)ㄹ’, ‘-던’이 붙어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그가 아직도 살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단문 單文
    등을 덧붙일 수 있다. '해가 뜬다', '우리나라는 대한민국이다',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다', '형은 낚시를 취미로 삼는다' 등의 문장은 단문이다. 여기에 관형어·부사어가 덧붙어도 변함이 없다. 국어에는 2중주어문이라는 특이한 구조의 문장이 있어서 단문인지 복문인지 결정짓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저 고양이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부사어 副詞語
    그것이 용언이면 다 부사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다. '밥을 아주 많이 먹었다, 노랗게 익은 배가 열렸다' 등에서 '아주'는 부사어 '많이'를, '노랗게'는 관형어 '익은'을 꾸며주고 있다. 부사어가 되는 과정은 용언이 부사형 어미로 활용되는 것과(느리게), 체언이 처격·여격·조격 형태 등으로 곡용되는 경우가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수식 관계 修飾關係
    수식 관계는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로 형성된 한자어의 짜임을 지칭한다. 수식 관계에서 피수식어를 수식하는 수식어에는 명사와 같은 체언을 수식하는 관형어와 서술어를 수식하는 부사어가 있다. [예문] ‘명월(明月)’은 명사 ‘달(월)’을 수식하는 관형어로 ‘밝은(明)’이 쓰이고 있다. ‘수식어’로 ‘부사어...
    도서 다음백과
  • 수사 셈씨, 數詞
    가지므로 명사의 한 하위류로 분류되기도 하며, 수사로서 독립된 품사로 분류될 때에는 대개 수를 나타낸다는 의미에 의존한다. 수사는 명사와는 달리 관형어의 꾸밈을 자유롭게 받지 못하는 특징을 가진다. ‘여러 아홉’이나 ‘많은 삼천’ 등의 결합이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명사와는 달리 수사는 복수접미사 ‘-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단문 單文
    공원이다.”도 단문이요, “아이들은 눈을 좋아한다.”나 “대구는 항구가 아니다.”, “아우는 등산을 낙으로 삼는다.”도 단문이다. 그리고 이들에 다시 관형어나 부사어가 덧붙어도 단문임에는 변함이 없다. “하얀 눈이 곱게 내린다.”나 “저 아이들이 눈을 훨씬 더 좋아한다.” 등도 모두 단문인 것이다. 감탄어가...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문형 文型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어의 문형은 역시 그 기본을 ‘주어+서술어’에 두는 것이 국어의 구조를 더 쉽고 간명하게 파악하는 길일 것이다. 기본문형에 관형어·부사어·독립어 등의 부속성분이 첨가되면 이른바 확대문형이 된다. 부속성분은 근간성분과 달라 반드시 필요한 성분이 아니므로 기본문형에 어떤 부속...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구의 개념과 특징
    주어가 없이 목적어와 서술어만 있는 것과(책을 읽는 철수) 두개의 명사가 나란히 통합된 것(서울 친구), 두개의 동사가 나란히 통합된 것(울고 가다), 또 관형어와 체언이 이룬 체언구(그 산), 부사어와 용언, 목적어·보어와 용언이 이룬 서술어구(집으로 가다, 밥을 먹다) 등을 지칭한다. 그런데, 이들 단어가 긴밀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고유명사 固有名詞, proper noun
    절대적인 기준은 정하기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언어습관에 따라 구분한다. 고유명사는 문법적으로 복수접미사 '-들'을 가질 수 없고 부정의 의미를 가지는 관형어 뒤에는 올 수 없다. 영어 등 인도유럽어에서는 고유명사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시작하며 관사를 붙이지 않는 등 문법적 특징을 가지나, 국어에서는 일반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의존명사 불완전명사, 依存名詞
    예쁜·뛰는), 체언의 관형사형(나의·학교의) 등이다. 예를 들어 "그런 것을 파는 데가 어디입니까"와 같은 문장에서 '것', '데'가 의존명사인데 그 앞에 관형어 '그런', '파는'이 오지 않으면 쓰이지 못한다. 의존명사의 예로는 '이(사람), 것(물건), 데(곳), 바(일), 터(작정·처지), 체(모양·태도), 줄(수단·방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수사 數詞
    나뉜다. 양수사 또는 기수사는 '하나·둘·열·스물(고유어), 일·이·삼·사(한자어)' 등이고 서수사는 '첫째·둘째' 등이다. 수사는 명사와는 달리 관형어의 꾸밈을 자유롭게 받지 못하며 복수접미사에 의해 복수가 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진다. 수사도 대명사와 같이 가리킴의 의미를 띤다고 할 수 있으나, 대명사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