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심관 事審官계달(啓達)해 선임하도록 법제화하였다. 그러나 의종 · 명종 이후 중앙의 행정력이 지방까지 미치지 못하자, 사심관의 폐단이 차차 드러났다. 이들은 넓은 공전(公田)을 점유하고 많은 민호(民戶)와 노비들을 가로채 사복을 채우는 등 원래의 목적과는 아주 동떨어진 존재가 되어버렸다. 사심관의 작폐는 제도의 폐지를...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민전 평민전, 民田누대소경전(累代所耕田)·세업전(世業田)·조업전(祖業田)·부조전(父祖田)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민전은 국·공유지로서의 공전(公田)이나 관전(官田)에 대칭되는 개념이다. 내용 및 변천 민전이라는 말이 사료상 처음 나타나는 것은 고려시대이고, 조선시대에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통일...
- 시대 :
- 고려
- 성격 :
- 토지제도, 경제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시대
- 폐지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군전 軍田토지의 분급 대상은 많고 실제 경작지는 부족한 상황이어서 군량 확보와 관리들의 녹봉 해결이 가장 시급한 과제였다. 결국 정부는 국가 재정 수입원인 공전(公田) 확보에 주력하고 양인은 토지 지급 대상에서 제외했던 것이다. 군전 자체도 한량에 대한 국가 정책의 변화와 군역 제도의 정비, 공전의 확대 정책으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반 숙위(肅魏), 趙胖잘 설명하여 의심을 풀게 하였다. 다음해 돌아와 윤이와 이초의 사건을 보고하여 이색(李穡) 등 수십 명이 피해를 당하는 옥사를 일으켰다. 1391년 공전(公田)을 함부로 빼앗아 성헌(省憲)의 탄핵을 받고 관직이 삭탈되어 죽림(竹林)으로 귀양갔으나 곧 풀려나, 1392년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가 되었다. 조선 개국 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목겸선 달부(達夫), 睦兼善있는 관리들은 각사노비(各司奴婢)의 도망자를 명백히 보고할 것, 피죄된 관리들에게도 다시 벼슬 길에 오르는 기회를 빨리 열어줄 것 등이다. 또한, 공전(公田)에 개인 집을 짓는 것이라든가 도성 밖의 도로에 수근전(水芹田)을 만들어 도로를 점령, 단절시키고 있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소를 올려 이를 시행하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09년(광해군 1)
- 사망 :
- 미상
- 경력 :
- 암행어사, 이조좌랑, 동부승지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사천(泗川)
-
윤계종 尹繼宗김규(金㺩)가 양광도안렴(楊廣道按廉)이 되어 이천현(利川縣)의 이속들로부터 윤계종이 이문(理問: 征東行中書省理問所의 우두머리이며 정4품의 벼슬)으로 공전(公田)을 뇌물로 받은 것을 적발하였으나 녹사(錄事) 안길상(安吉祥)이 윤계종의 옛 은혜를 생각하고 위에 보고하지 않았다가 내쫓긴 바 있었다. 이러한 점...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346년(충목왕 2)
- 경력 :
- 이문, 찬성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파평(坡平)
-
인승단 印承旦음보로 만호를 거쳐 1345년(충목왕 1)에 좌정승이 되었고, 1352년(공민왕 1) 연안부원군(延安府院君)에 봉해졌다. 이 무렵 권세 있는 자들이 기현(畿縣)의 공전(公田)을 사취한 것이 많았는데 그 중에서도 인승단이 점유한 것이 더욱 많았다. 이에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을 두고, 권세 있는 자들이 사취한 토지를...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359년(공민왕 8)
- 경력 :
- 좌정승, 연안부원군(延安府院君), 연안백(延安伯)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품은 品銀내용 때로는 금을 징수하기도 하였다. 고려 중기 이후 전시과체제가 붕괴되면서 공전(公田)이 크게 감축되어 국가재정의 기반이 약화되고, 또 무신집권과 몽고침입으로 국가재정이 탕진되자 그 대책으로 제시된 것이 품미(品米)·품포(品布)·품은(品銀)의 조처였다. 1253년(고종 40)에 처음 실시되었으며, 몽고군이...
- 시대 :
- 고려
- 성격 :
- 징수제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253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개성 대운사 開城 大雲寺수 있다. 대운사는 고려 초기에 창건된 사찰이다. 이는 1064년(문종 18)에 문종이 “대운사는 선대 임금이 처음 창건해 나라를 위해 복을 빌었다. 지급한 공전(公田)이 땅이 척박하고 세입이 적어 공양 물자가 부족하니, 양전(良田) 100경(頃)을 더 주어라.”라고 명령 한 점을 통해 알 수 있다. 1078년(문종 32) 4...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기전고 箕田考시대에 따라서 각기 다를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십일지제(什一之制)라고 결론을 맺고 있다. 다음, 허성의 <서기전도설후>는 70묘 64구의 구획 중에 공전(公田)이 49묘가 있고 이것을 7가(家)가 각각 나누어 경작하면 역시 사전(私田) 70묘의 10분의 1이 된다는 설에 동조하였다. 끝으로, 이익의 <기전속설>은 옛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가환, 이의준
- 창작/발표시기 :
- 1790년(정조 14)
- 성격 :
- 자료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