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자공예의 역사와 발달중국보다 앞서 시도된 진사(辰砂)기법과 함께 세계도자역사에서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고려 말기에는 원나라의 산화염 번조기법이 들어와 유색이 변질되고...紋) 시문기법이 대두되는 등 변화를 겪으면서 조선시대의 분청사기로 그 전통이 이어졌다. 조선시대에는 분청사기와 백자가 주류를 이룬다. 분청사기는 제작...
-
-
-
교육 敎育원시시대의 교육에서 벗어나 국가에 의한 학교 교육이 시작되었고, 그 배경으로써 유교와 불교가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 시기에는 고조선 후기부터 전래되었으리라 추측되는 문자가 보급되어 미진하나마 의도적 · 계획적인 형식교육이 시작되었다. 국가체제가 정비되어 감에 따라 교육제도의 발전을 꾀하여 당나라...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미술 美術현대로 구분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왕조별 구분이 아니고 선사 · 고대(삼국시대 · 신라통일기) · 중세(고려) · 근세(조선) 등으로 서양사에서 시작된 시대 구분을 따르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에서와는 달리 이러한 시대 구분은 엄격한 개념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미술이라는 특정한 분야에 국한된 만큼 미술사...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
철학 哲學, philosophy분별이 고려 말 각운(覺雲)에 계승된 일이 있었지만, 일대의 선학 논쟁으로 전개된 것은 조선 말기에 이르러서였다. 백파는 『선문수경(禪門手鏡)』을 저술하면서, 『임제어록(臨濟語錄)』의 3귀절을 각각 근기(根器)의 깊고 옅음에 따라 조사선·여래선·의리선의 3종선으로 해석하여 3종선의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서예 書藝전모를 비평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나라의 서예를 역사적으로 정리함에 있어서 자료의 빈곤이라는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없다. 고려...기까지만 하여도 상당한 수의 비갈(碑碣)과 금문(金文)이 남아 있고, 고려시대는 비문 외에도 많은 묘지(墓誌)가 남아 있어 풍부한 자료를 전하여 준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범종 梵鐘연구의 역사적 의의 또한 크다고 하겠다. 범종의 제조법과 소리 한국종을 창출한 신라사람들이 현대기술로도 재현할 수 없는 상원사종·성덕대왕신종 등과 같은...것은 흥미있는 일이다. 그러나 주종(鑄鐘)에 대한 기록이 없고 신라시대의 전통적인 주조비술(鑄造秘術)도 도중에 단절되어 고대의 주종 기술을 찾을 길...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