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나아트센터 서울이 숨겨둔 예술의 동산센터 곁에는 토탈미술관이 나란히 자리한다. 가나아트센터보다 앞서 평창동에 자리 잡았다. 평창동에서 가장 독특한 모습의 미술관이다. 마치 낡은 폐품의 수집장인 듯하지만 개개의 오브제가 이루는 조화는 토탈미술관만의 키치적 풍경이다. 천연바위를 노출한 지하전시실이나 바깥 정원의 자유분방한 소품의 배치도...
- 소재지 :
- 서울시 종로구 평창동 97
- 휴관일 :
- 월요일 휴관
- 가는 법 :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 지선버스 1020, 1711번 환승. 롯데삼성아파트 하차
- 이용 시간 :
- 오전 10시~오후 7시
-
부암동 자하미술관 가는 길 무계정사 옆 인왕산 미술관였다. 「운수 좋은 날」 「무영탑」 등을 쓴 소설가 현진건의 집도 그 곁에 있었다. 지금은 사람의 출입을 막아선 빈터만 남았다. 종로구청은 그 터에 공영...맛있다는 ‘오월’을 끼고 왼쪽의 내리막으로 접어들거나, 보은마트 옆 골목을 오른다. 두 길은 그 사이의 집들을 에둘러 안평대군 집터에서 만난다. 대부분...
- 소재지 :
- 서울시 종로구 부암동 362-21
- 휴관일 :
- 매주 월요일 휴관
- 가는 법 :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 간선버스 7022, 1020, 0212번 환승. 부암동 주민센터 하차. 주민센터 끼고 좌회전. 무계정사 터 지나 우회전 약 300미터
- 사이트 :
- http://www.zahamuseum.com
- 이용 시간 :
- 오전 10시~오후 6시
-
양화진 외국인선교사묘원 낯선 묘지의 따스한 이름들꽃이 꽃솜처럼 날리려나. 아련한 옛 풍경이다. 지금은 지하철 2호선이 머리 위를 지난다. 당산철교를 따라 한강을 가로지른다. 고가 아래로 걷는다. 여느 주택의 골목은 고가를 천장처럼 갖는다. 양화진 외국인선교사묘원은 길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정문 너머 얕은 둔덕 위에서 한강 쪽으로 조성했다. 홍보관 곁 정문...
- 소재지 :
-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144
- 가는 법 :
- 지하철 2·6호선 합정역 7번 출구. 왼쪽 양화진길. 간선버스 602, 603, 604, 760번, 지선버스 5712, 5714, 6712, 6716, 7011, 7612, 7013A, 7013B번 합정역 하차. 마을버스 마포07번 절두산 순교성지 하차
- 사이트 :
- http://www.yanghwajin.net
- 이용 시간 :
- 오전 9시 30분~오후 5시(안내예약 가능, 일요일 제외)
-
아트스페이스 스푼 커피, 예술 그리고 풍경이 있는 미술관오르막의 골목 귀퉁이를 지나면 거짓말처럼 우뚝 서 있다. 길은 아트스페이스 스푼을 지나 백사실 계곡 가는 능금나무길과 맞닿는다. 아트스페이스 스푼은 근래에 부암동에서 가장 주목 받는 갤러리다. 젊은 작가의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전시가 늘 활발하다. 부암동을 찾는 젊은 층의 기호와 맞아 호응도가 높다. 갤러리...
- 소재지 :
- 서울시 종로구 부암동 43-2
- 휴관일 :
- 매주 월요일 휴관
- 가는 법 :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 간선버스 7022, 1020, 0212번 환승. 부암동 주민센터 하차. 창의문 앞 삼거리에서 능금나무길 따라 환기미술관 방면. 동양방앗간 지나 우회전 후 첫 번째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직진
- 이용 시간 :
- 오전 11시~오후 7시(전시 따라 유동적)
-
항동 기찻길 서울의 낭만 철길을 걷다차들을 막아서겠지. 이제는 ‘멈춤’이라는 주의 표시도 항동 기찻길로 이끄는 안내판처럼 여겨진다. 건널목의 왼쪽으로 기찻길을 따라 들어선다. 그저 낡은 골목이다. 아파트 단지와 나란한 길이다. 절반쯤은 사람의 길이고 그 곁으로 무성하게 자란 잡초다. 그 가운데로 무심한 듯 기찻길이 지난다. 콘크리트 침목과...
- 소재지 :
- 서울시 구로구 항동 33번지 일대(푸른수목원 예정지)
- 가는 법 :
- 지하철 7호선 천왕역 2번 출구. 철길 차단기 나올 때까지 직진 후 철길 따라 좌회전. 마을버스 구로07, 구로14번 오남중학교 하차
-
낙산 서울성곽길 서울성곽 여행의 첫걸음바깥 골목에도 해당한다. 옥개석 아래 여장과 성벽이 정상을 향해 내달리는 모습이 시원스럽다. 이화동은 낡은 마을 풍경도 눈길을 끈다. 70~80년대 서울의 모습이 길 따라 다정하다. 전망 좋은 역사 탐방로 중간쉼터를 지나서는 곧장 낙산의 정상 놀이광장이다. 정상에서 길은 몇 갈래로 나뉜다. 동쪽은 비우당(庇雨堂...
- 소재지 :
- 서울시 종로구 종로6가 69
- 가는 법 :
- 지하철 1·4호선 동대문역 1번 출구. 뒤쪽 이화여대부속병원 앞 우회전. 간선버스 100, 103, 201, 260, 262, 270, 271, 370, 720, 721번, 지선버스 2112번 동대문역 하차
-
창신동 문구 · 완구거리 동대문 장난감 왕국단위로 상품을 실어나른다. 그 곁으로 일반 소비자들이 지나간다. 시중 소매상보다 30~40퍼센트 저렴한 가격이다. 이월 상품이 많을 때는 할인율이 50퍼센트를...40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2001년에는 문구·완구 특화거리로 지정됐다. 문구길을 따라 약 100개의 상점들이 들고난다. 골목 입구부터 층층이 쌓아놓은...
- 소재지 :
- 서울시 동대문구 창신동390-3 일대
- 가는 법 :
- 지하철 1·4호선 동대문역 4번 출구, 6호선 동묘앞역 6번 출구. 오른쪽 문구길 진입. 간선버스 101, 105, 144, 152, 201, 260, 261, 262, 270, 271, 370, 420, 720, 721번, 지선버스 2012A, 2112, 2233번 동대문역 하차. 동대문역 방면 독일약국 옆 골목
- 이용 시간 :
- 오전 9시~오후 7시
-
팔판동까뻬 삼청동의 후미 또는 구석이라 좋은다른 골목을 이룬다. 이쯤도 모자랐나. 팔판동까뻬는 여기서 좀더 구석으로 숨어들었다. 팔판동까뻬는 팔판길에서 좀더 서쪽이다. 공근혜 갤러리 지나 ‘ggoo龜+nabi蝶’ 스튜디오 못 미쳐서다. 조금 더 가면 다시 양반길과 판서길로 나뉜다. 팔판동은 조선시대 판서가 여덟 명이나 살아 팔판동이라지. 청와대 가는 길의...
- 소재지 :
- 서울시 종로구 팔판동 128
- 가는 법 :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5번 출구. 광화문 방면. 동십자각 지나 좌회전 후 진선갤러리 앞에서 왼쪽 청와대 방면 검문소 지나 곧장 오른쪽 아래 공근혜 갤러리 방면. 간선버스 109, 171, 272, 601, 606, 708번, 지선버스 7025번 경복궁역 하차. 마을버스 종로11번 민속박물관 하차
- 이용 시간 :
- 정오~자정
-
산과 물과 인심이 맑은 삼청동되었다. 곁은 평탄하고 넓어서 사람 수십 명이 앉을 만하다. 높은 소나무들이 그 위에 엉켜 덮여 있고 바위 사이에는 모두가 진달래와 단풍잎으로 봄과 가을에는 붉은 그림자가 비쳐 빛이 난다. 지위가 높고 점잖은 사람으로 와서 노는 이가 많다. 그 위로 두어 걸음 올라가면 연굴(演窟)이다. - 《연려실기술》 <지리...
- 관련 장소 :
- 북촌
-
장성향 長盛香20년 이상 운영되고 있는 만두 전문 중화 요리 음식점으로, 「내사랑 내곁에」[2009] 등의 영화 촬영지로 유명해진 곳이다. 특히 영화 「올드 보이」[2003]의...시작하였다. [구성] 초량동 중앙대로 변에 있는 태영 노블리안 빌딩 서쪽 두 번째 골목의 식당가[중화 요리 골목]에 있는 1층 건물에 위치하고 있으며, 132㎡...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친구」 親舊다양한 골목 등을 통하여 바다와 항구와 어우러진 서민적 근대화의 공간적 표현을 제대로 담아내었다. 단순하게 부산을 영화의 촬영지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부산의 문화적 기호를 충분히 드러내는 이러한 노력은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 잃어버린 부산의 공간들, 즉 장소성을 다시 찾고 회상하고 알아 가는 기회가...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중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온천 마을[온천동] 溫泉 마을[溫泉洞]온정 곁에 온정원(溫井院)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온정원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동래 부산 고지도」에 금산 마을 동쪽에 온천 마을이 표시되어 있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금산동, 미남동, 화촌동, 북면의 소정동 일부를...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