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30년대의 한국문학사적 특징, 〈시인부락〉과 생명파 (관련어 시인부락)
    시인부락』 1936년 11월, 아직 문단에 별로 알려지지도 않고 눈길을 끌 만한 경력도 없는 젊은 시인 서정주가 소규모의 시 동인지 『시인부락』을 창간한다. 서정주 스스로 발행인과 편집인을 겸한 국판 30여 쪽의 이 동인지에는 그와 마찬가지로 무명에 가깝던 김진수 · 김달진 · 김상원 · 이성범 · 여상현 · 오...
    시기 :
    1936년
  • 시인부락 詩人部落
    1936년 시인부락에서 서정주가 시가를 중심으로 창간한 잡지. 문예잡지·시동인지.|개설 A5판, 30∼40면 정도. 1936년 11월 김달진(金達鎭)·김동리(金東里)·여상현(呂尙玄)·서정주(徐廷柱)·오장환(吳章煥)·함형수(咸亨洙) 등이 창간한 시가중심의 문예동인지로, 1936년 12월 제2호로 종간되었다. 내용 편집인 겸 ...
    시대 :
    근대
    저작자 :
    서정주, 오장환
    창작/발표시기 :
    1936년 11월(창간), 1936년 12월(종간)
    성격 :
    잡지, 문예잡지, 시동인지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시인부락사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시인부락 詩人部落
    문예동인지.|1936년 11월 14일 창간, 1937년 12월 1일 통권 5호를 끝으로 폐간되었다. 초대 편집 겸 발행인은 서정주(徐廷柱)였고, 제2호는 오장환이 맡았다. 국판 30~50쪽으로 시인부락사에서 펴냈다. 동인으로 제1호 때는 서정주·김달진·김동리·여상현·오장환·함형수·김광균 등, 제2호 때는 오화룡·이시복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시인부락
    1936년에 발간된 시 동인지로서 생명파 시인들이 참여해 인간 생명의 아름다움에 대해 노래하였으며 통권 2호로종간되었다.
  • 시인부락 詩人部落
    시인부락』은 1936년 11월 창간되어 같은 해 12월 통권 2호로 폐간된 동인지다. 창간호 동인은 서정주, 김동리, 오장환, 함형수, 김달진, 여상현 등 12명이었고, 2집을 내며 4명이 더 가입했다. 서정주는 "우리 부락에서 되도록이면 여러 가지의 과실과 꽃과 이를 즐기는 여러 가지의 식구들이 모여서 살기를 희망한다...
    성격 :
    문학잡지
    간행/발행 :
    시인부락사
    창간일-종간일 :
    1936. 11. 14 ~ 1936. 12. 31
  • 김동리 金東里
    낙향하여 박목월 등과 사귀며 동서양의 고전에 심취, 인간과 자연과 신에 대해 관심을 기울였다. 1933년에 다시 서울로 올라와 김달진·서정주 등의 〈시인부락〉 동인들과 사귀면서 시를 쓰기 시작했다. 같은 해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 〈백로〉가 입선된 후 〈망월 望月〉·〈고목〉 등을 발표했으나, 곧 시창작...
    출생 :
    1913. 11. 24, 경북 경주
    사망 :
    1995. 6. 17,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서정주 미당(未堂), 徐廷柱
    중앙불교전문학교(동국대학교 전신)에서 수업했다.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벽」(壁)이 당선되었고, 같은 해에 김광균 · 오장환과 함께 동인지 『시인부락(詩人部落)』을 창간하고 주간을 지냈다. 1940년부터 1941년 2월까지 만주 간도에서 양곡주식회사 경리사원으로 있었고 용정에서도 체류했다. 1941년 첫...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예술부락 藝術部落
    등으로 대부분 우파 진영의 문인들이다. 이 잡지를 통해 등단한 문인 중에 가장 유명한 이는 김수영이다. 김수영은 제2집에 「묘정의 노래」를 발표함으로써 시인의 길을 걷게 된다. 잡지의 규모 상 단형의 서정시가 주로 실렸으며, 수필이나 소설도 분량이 매우 짧은 것들이 두세 편 정도 실렸다. 평론은 주로 조연현의...
    시대 :
    현대
    저작자 :
    조연현
    창작/발표시기 :
    1946년 1월 1일(창간)
    성격 :
    잡지, 문예잡지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예술부락출판사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오장환 吳章煥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중동학교 속성과를 거쳐 1931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學] 문예과에서 공부했고, 1936년 〈낭만〉·〈시인부락〉 동인과 1937년 〈자오선〉 동인으로 활동했다. 이 기간 동안 도쿄[東京]에서 체류하며 최하층 노동생활을 하면서 마르크스주의 이념에 동조하는 습작시...
    출생 :
    1918. 5. 5, 충북 보은
    사망 :
    1951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김동리 시종(始鐘), 金東里
    부각된다. 특히, 유진오(兪鎭午)로 대별되는 구세대의 문학과 이른바 세대 논쟁을 벌이면서 1930년대 후반 신세대 문학의 기수가 된 그는 서정주와 함께 『시인부락』(1937)을 결성하면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구축하게 된다. 이후 그는 해방공간에서 좌우익의 대립과 혼란 속에 좌익계 문학단체인 ‘문학가동맹’에 대항...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현대문학
  • 김광균 金光均
    중외일보〉에 〈가는 누님〉을 발표하여 문단에 나온 뒤 〈병〉(동아일보, 1929. 10. 19)·〈야경차〉(동아일보, 1930. 1. 12) 등을 발표했다. 1936년 〈시인부락〉 동인, 1937년 〈자오선〉 동인으로 활동했다. 초기에 쓴 시 27편을 모아 제1시집 〈와사등 瓦斯燈〉(1939)을 펴냈다. 8·15해방 후 조선문학가동맹에...
    출생 :
    1914. 1. 19, 경기 개성∼
    사망 :
    1993. 11. 23,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오화룡 吳化龍
    1940년 혜화전문학교를 마치고 교사생활을 시작하여 광주제일고등학교 교사로 있다가 죽었다. 1936년 〈시인부락〉에 〈달밤〉을 발표하여 문단에 나왔으며 〈초산 峭山〉(조선일보, 1938. 6. 6)·〈바우〉(조선일보, 1938. 8. 8)·〈왕뇌〉(백지, 1939. 7) 등의 상징적인 시를 썼다. 많은 글을 남기지 않았으나 8·15...
    출생 :
    1915. 3. 30., 함북 경성
    사망 :
    1972. 9. 10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6건

시인부락
시인부락
시인부락 창간호 판권지
시인부락 창간호 표지
서정주가 창간한 시 동인지 〈시인부락〉
1936년 서정주 · 함형수 등 ‘시인부락’ 동인들과 사귈 무렵의 작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