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복궁 영추문 연추문(延秋門), 景福宮 迎秋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에 있는 조선전기 겹처마 우진각지붕 형태의 문(門). 궁궐문루.|개설 ‘연추문(延秋門)’이라고도 부른다. 경북궁의 동쪽 문인 건춘문(建春門)의 반대편에 있다. 동쪽은 봄에 해당하여 ‘춘(春)’이라고 하였는데, 가을에 해당하는 서쪽 문이어서 ‘추(秋)’를 붙였다. 주로 승지 등 관료들이...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영추문 (동의어 경복궁 영추문) 迎秋門
    영추문경복궁의 서문이다. 조선 시대 문무백관이 주로 출입한 문으로, 연추문(延秋門)이라고도 불린다. 송강 정철(鄭澈,1536~1593)이 지은 ‘관동별곡’의 “연추문 드리다라 경회남문 바라보며 하직하고 물러나니”라는 표현에도 등장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됐다가 조선 후기 고종의 집권 시기 경복궁이 중건되면서 ...
  • 경복궁 (관련어 경복궁 영추문) Gyeongbokgung, 景福宮
    정궁)이다. '경복(景福)'은 시경에 나오는 말로 왕과 그 자손, 온 백성들이 태평성대의 큰 복을 누리기를 축원한다는 의미다. 풍수지리적으로도 백악산을 뒤로 하고 좌우에는 낙산과 인왕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길지의 요건을 갖추고 있다. 경복궁의 구조는《주례》 〈고공기〉에 입각하여 건축되었다. 3문 3조로 구성되...
    도서 위키백과
  • 연추문 영추문(迎秋門), 延秋門
    있다. 영추문(迎秋門)이라고도 한다. 제형(梯形 : 사다리꼴)의 축대 위에 단층의 문루를 세우고 축대에는 중앙에 홍예문(虹蜺門)을 내어 출입할 수 있게 하였다.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모든 칸이 개방되어 있다. 공포(拱包)는 2익공으로 우진각지붕이며 처마는 겹처마이다. 각 지붕에는 양성이 되고 취두(鷲頭...
    시대 :
    조선
    건립시기 :
    1975년 복원
    성격 :
    유형 :
    유적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번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경복궁 사적 제117호, 景福宮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경복궁은 뒤에 백악(白岳)과 삼각산(三角山)을 등지고 한성(漢城) 중심 좌우에 6조관아(六曹官衙)가 있는 대로광장에 조영(造營)된 궁궐...전조후침(前朝後寢)의 격식을 갖추고 있다. 직4각형에 가까운 대지 주위를 담장으로 둘러싸고 동문 건춘문(建春門), 서문 영추문(迎秋門), 남문 광화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재 , 사적 , 건축물
  • 동십자각 경복궁동십자각, 東十字閣
    을 배열하였으며, 정상부에는 연화노반형(蓮花露盤形)의 절병통(節甁桶 : 지붕마루의 가운데 세우는 탑모양의 기와로 된 장식)을 올려놓았다. 본래 경복궁 외궁성(外宮城)이 영추문(迎秋門)을 향하여 꺾어지는 부분에 있었던 서십자각(西十字閣)과 같은 규모로 그 위치가 서로 대칭되도록 지어졌던 것이다. 현재...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경복궁 북궐(北闕), 景福宮
    신하들이 모여 잔치를 베풀던 곳이다. 또한 건춘문과 영추문 안에도 수많은 건물들이 들어차 있었다. 현재 궁내에 남아 있는 주요건물은 근정문 · 근정전...중층의 정면 5칸, 측면 5칸의 장대한 건물이며 건물의 양식은 조선 말기에 속하여 세부의 장식적 처리가 두드러진다.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보물, 1985년 지정...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경복궁 광화문 광화문, 景福宮 光化門
    康寧殿) 등을 지어 궁궐의 기본구조를 갖춘 다음, 1398년에 그 둘레에 궁성을 쌓은 뒤 동·서·남쪽에 성문을 세우고, 동문을 건춘문(建春門), 서문을 영추문(迎秋門), 남문을 광화문이라 이름 지었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중건 당시인 1865년(고종 2)에 다시 짓게 하였다. 1927년에는 일제의...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경복궁 수정전 景福宮 修政殿
    間) · 정원(政院) · 빈청(賓廳) · 선전관직방(宣傳官直房) · 검서청(檢書廳) · 옥당(玉堂) · 약방 · 의관방(醫官房) · 내각(內閣) 등의 전각들이 영추문(迎秋門)에 이르기까지 즐비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이들 주변 건물은 1910년 이후 일본인들에 의하여 모두 철거되었다. 건물은 높고 넓은 월대(越臺 : 기단...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경복궁내수
    강 정보 경복궁내수(景福宮內水)는 경복궁 영추문 안쪽의 대은암천에서 갈라져나와 궁궐 밖을 지나 백운동천으로 합류하던 하천이다. 준천사실에는 경복궁내지수(景福宮內之水)로 되어 있고, 한경지략과 동국여지비고에는 누락되어 있다. 이 하천의 이름은 경복궁 안에서 밖으로 흘러나오는 물줄기라는 뜻으로 붙었다...
    도서 위키백과
  • 보안여관 상상이 묻어나는 낡은 골목
    통의동과 창성동을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 콘텐츠가 더해졌다. 보안여관의 ‘포스’ 역사와 문화예술 그리고 삶이 녹아든 대표 공간은 보안여관이다. 경복궁 영추문(迎秋門) 맞은편이다. ‘진화랑’과 ‘브레인 팩토리’ 사이다. 예스런 적벽돌 2층 건물이다. 길가의 풍경에 지긋이 묻혀 있을, 별 다를 것 없는 생김이다...
    위치 :
    통의동&창성동
    소재지 :
    서울시 종로구 통의동 2-1(보안여관)
    가는 법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4번 출구. 뒤쪽 효자로 방면 좌회전. 지선버스 0212, 1020, 1711, 7016, 7018, 7022번 경복궁역 하차
  • 한양의 설계자 정도전의 허망한 최후
    사용되는 말을 기르고 궁중의 가마, 외양간, 목장 등을 맡아 보던 사복시(司僕寺)가 있었다. 사복시는 내사복시와 외사복시가 있는데 내사복시는 경복궁 영추문 안과 창경궁 홍문관 남쪽에 있었고, 외사복시는 수송동 146번지에 두었다. 수송동은 수동(壽洞)과 송현(松峴)의 첫 자를 합성한 데서 유래했는데 개국공신인...
    관련 장소 :
    경복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0건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관동별곡 
 hangidan 
 Flickr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상량문
경복궁 영추문 상량문
경복궁 영추문 소문
경복궁 영추문 내측
경복궁 영추문 외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