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후자경편 後自警編
    책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권2에서는 검신(檢身)·성실·조수(操守)·역정(力定)·청렴·검약·충의 등에 탁월하였던 인물의 행적을 싣고, 권3에서는 공정·덕망·득체(得體)·강독·간쟁·효우·교자손(敎子孫) 등에 해당하는 인물을 수록, 설명해 놓았다. 권4에서는 진친족(賑親族)·거처·교육 등에 관계되는 인물을...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창집(金昌集)
    창작/발표시기 :
    1700년
    성격 :
    유학서, 자경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6권 6책
    분야 :
    교육/교육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동래읍성역사축제 東萊邑城歷史祝祭
    팔선녀의 행렬을 하고, 대군복(大軍服)으로 차리라고 하면, 군관은 갑옷을 입고 창검을 들고 말 위에 오르며, 군졸은 창검을 들고 열병식을 한다.동래부사는 덕망 있는 인물을 선정하는데, 동헌에서 출발하여 구청 앞에서 길놀이 행렬과 합류한 후, 명륜오거리를 지나 온천입구와 동래문화회관까지 2.5km의 거리를 행진...
    시대 :
    현대
    성격 :
    마을축제, 지역축제, 역사축제
    유형 :
    의식행사
    행사시기 :
    매년 10월
    장소 :
    동래읍성 주변
    주관처 :
    동래구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충렬사 제향 忠烈祠 祭享
    仲丁日) 2회이고, 부산시장 헌관제는 양력 5월 25일이다. 개정된 의식에 의해 진행된다. 제관은 안락서원 도유사(都有司)와 장의(掌議) 및 고을의 학식과 덕망이 높은 분들과의 회의에서 선출했는데, 근래에는 역대 원장회의에서 선출한다. 제관은 초헌관 · 아헌관 · 종헌관, 분헌관(3인중 의열각 여자 1인), 집례...
    시대 :
    조선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종교·철학/유교
  • 귀락와집 歸樂窩集
    밝히고 있다. 그 내용은 성학을 힘써 덕성을 기를 것, 경술(經術)을 높여 인재를 기를 것, 선거를 공정하게 하여 오래도록 책임을 맡길 것, 검소하고 덕망을 높여 사치하는 풍조를 혁신할 것, 구호정책을 펴서 은혜를 베풀 것, 경계를 확정하여 세금을 균등하게 받을 것, 군정을 잘 다스려 군비를 감축할 것, 청렴함을...
    시대 :
    조선
    저작자 :
    유광천
    창작/발표시기 :
    1935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6권 8책
    간행/발행 :
    유병구, 유병희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전남대학교 도서관
  • 가사심판 家事審判
    해결하게 하기 위한 절차이다. 조정은 조정위원회에서 행하며, 담당심판관이 조정장(調停長)이 되고, 정신과의사 · 사회사업가 · 심리학자 또는 학식과 덕망이 있는 자 중에서 위촉되거나, 당사자가 합의에 의하여 선정한 조정위원 2인 이상으로 조직된다. 조정에서 당사자간에 합의가 성립되면 재판상 화해와 동일한...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물계서원 소장 책판 勿溪書院 所藏 冊板
    公)성사재(成思齊)의 행적과 그의 사당에 관한 것들을 적은 책판이다. 3.『창녕성씨문행열전』책판 창녕성씨 가문에서 도학과 문장에 뛰어나고 충과 효 · 덕망이 높은 창녕성씨의 명현 147명의 행적을 담은 책판이다. 시조 성송국을 비롯하여 성여완(成汝完), 성석린(成石璘), 성현(成俔), 성수침(成守琛), 성혼 등이...
    유형 :
    유물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참요 讖謠
    사철이요, 장다리는 한철이요, 메꽃 같은 우리 딸이 시집 삼년 살더니 미나리꽃이 다 피었네. 장다리는 한철이나 미나리는 사철이다." 성품이 온화하고 덕망이 높은 인현왕후(仁顯王后)가 사저로 내쫓김을 당하고, 간사한 희빈 장씨(禧嬪張氏)가 권세를 잡았으나 마침내 민비가 복위할 것이라고 예언한 참요이다. 이...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구비문학
  • 표충사 영정 및 탱화 表忠寺 影幀 및 幀▽畵
    크게 확산되어 해당 사찰과 직접 관련이 있는 고승이나 주지 등의 진영이 많이 조성되었다. 이들 25점의 진영에는 화제(畫題)뿐만 아니라 주인공의 인격이나 덕망에 대하여 그것을 기리고 추모하는 글인 찬문(讚文)을 써넣기도 하였다. 그리고 고승의 모습 대신 그 이름만을 쓴 위패의 그림(3점)도 있다. 25점의 영정의...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편복 便服
    대창의는 4폭, 소창의는 3폭으로 갈라져 있다. 일반적으로 대창의는 간단한 출입시에 입었고, 소창의는 대창의의 받침옷도 되면서 집안에서 입었다. 이 밖에 덕망이 높은 도사나 학자들은 연거복으로 학창의(鶴氅衣)를 입었는데, 이것은 예로부터 신선이 입는 옷이라 하였다. 흰 창의에 가장자리를 돌아가며 검은 헝겊...
    시대 :
    조선
    성격 :
    의복
    유형 :
    물품
    용도 :
    평복
    분야 :
    생활/의생활
  • 취사문집 炊沙文集
    있다. 소의 「양선생변무소(兩先生辨誣疏)」는 이언적(李彦迪)과 이황의 문묘 종사를 반대한 이이첨(李爾瞻)을 공박하고, 두 사람이 학계에 끼친 공로와 덕망으로 보아 문묘 종사를 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진언한 것이다. 잡저의 「용사록(龍蛇錄)」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서 1598년에 끝날 때까지의 사실들을 보고...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여빈(李汝馪)
    창작/발표시기 :
    1831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6권 3책
    간행/발행 :
    이기정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단국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이적보 혜숙(惠叔), 李迪輔
    주서·전적, 병조정랑, 정언·지평을 거쳐 1759년 다시 지평에 임명되었다. 1760년 지평으로서 상소하여 왕세자의 권면을 진달하고 산림의 유일(遺逸: 학식과 덕망이 높아 과거를 거치지 않고 높은 관직에 오를 수 있는 인물)을 징소하여 학문을 보필토록 할 것을 청하였다. 이듬해에는 사서(司書)를 거쳐 1762년 정언이...
    시대 :
    조선
    출생 :
    1723년(경종 3)
    사망 :
    1785년(정조 9)
    경력 :
    주서, 정언, 지평, 이조좌랑, 집의, 흥양현감, 사복시정, 낭천현감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대동휘찬 大東彙纂
    치도(治道)·근정(勤政)·숭유(崇儒)·양사기(養士氣)·궁방(宮房)·정난(靖難) 등의 항목을 설정하였다. 주로 왕가의 여러 가지 법도와 왕이 갖추어야 할 덕망 및 국난을 당하였을 때 왕이 행해야 할 도리 등을 역사적인 실례를 들어서 기술하였다. 신도에는 훈신(勳臣)·권세(權勢)·사화(士禍)·신분(臣分)·충의...
    시대 :
    조선
    저작자 :
    남태량
    창작/발표시기 :
    1774년
    성격 :
    종합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5권 25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