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기 柳器
    버들그릇·청동기·토기를 사용했다"라고 하며, 〈삼국사기〉에는 양전이라는 관청을 두어 네모난 상자와 둥근 광주리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고려사〉에는 버들고리를 제작하는 장인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양수척이라는 명칭이 보이는데, 통일신라시대와는 달리 그 신분이 천예화된 상태이다. 〈계림유사 鷄林...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 양호 養戶
    문종 때 군인에게 군인전을 지급하고 군인전에는 양호 2명을 설정했다는 기록이 〈고려사〉 병지에 나오는데, 이것이 양호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다. 또한 〈고려사〉 식화지에 의하면, 예종 때 양호가 군인전을 경작하여 생산한 양식을 군인 근무지에 수송하거나 군인가족에게 조달하는 자로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광덕 光德
    광종이 즉위하면서 쓴 연호로 960년 준풍으로 바꿀 때까지 썼다. 쓰기 시작한 연대에 대해 〈고려사〉에는 950년으로, 〈해동금석원 海東金石苑〉에 적혀 있는 광자대사비명에는 광덕 원년이 949년으로 되어 있는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고려시대는 조선시대와 달리 유년칭원법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고려사〉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정인지의 업적
    사대문서를 관장했다. 특히 사서(史書) 편찬에 깊이 관여했는데, 조선 초기에 정립한 정사(正史)의 편제와 사관제도 정비에 많은 공을 세웠다. 1451년 〈고려사〉의 최종본을 편찬했고, 다음해에는 김종서와 함께 〈고려사절요〉를 편찬했다. 〈태조실록〉부터 〈예종실록〉까지 8대실록의 편찬에 직접 참여하거나 감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오염 오담(吳淡), 吳琰
    내용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오염(吳琰)'으로 표기되어 있고, 『고려사(高麗史)』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는 ‘오담(吳淡)’으로 표기되어 있다. 935년(태조 18) 6월금산불사(金山佛寺 : 지금의 전라북도 김제금산사)에 유폐되었던 후백제의 견훤(甄萱)이 금성(錦城 :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으로 탈출하여...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대사
  • 계백료서 誡百寮書
    내용 8편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나 현재 전하지 않는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의하면 이 책이 『정계(政誡)』 1권과 함께 찬술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 단지 백관들에게 예절을 밝히고 절의를 권장할 목적으로 반포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할 따름이다. 삼한을 평정한 뒤 아직 체제...
    시대 :
    고려
    저작자 :
    태조
    창작/발표시기 :
    936년(태조 19)
    성격 :
    교훈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8편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윤신달 尹莘達
    생애 및 활동사항 『고려사(高麗史)』「윤관열전」에 고조부로서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공신(三韓功臣)이 되었다고 하였다. 파평윤씨(坡平尹氏)의 세계에는 시조로 되어있다. 오늘날의 파주(坡州) 지방을 본관으로 하는 것으로 보아 이 지역 출신이거나, 식읍(食邑)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묘소는 경상북도 영일군...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삼한공신(三韓功臣)
    유형 :
    인물
    직업 :
    공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파평(坡平)
  • 송당집 松堂集
    인물이다. 따라서 상당히 많은 경세론과 시무책 등을 남겼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현존하는 문집에는 특별한 내용이 전하지 않는다. 권1~3은 시이며, 권4는 〈고려사〉 등에서 뽑은 전제개혁 상소와 시무책이다. 〈양촌집 陽村集〉 권20에 권근이 1406년(태종 6)에 쓴 〈송당조정승시고서 松堂趙政丞詩藁序〉가 전하는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편년체 編年體
    뿐만 아니라, 이전 왕조의 역사 정리도 편년체로 기록된 것이 있다. 권근의 『동국사략』, 정도전의 『고려국사』, 권제 · 남수문 등의 『고려사전문』, 김종서 등의 『고려사절요』, 신숙주 등의 『삼국사절요』, 서거정 등의 『동국통감』 등 관찬(官撰) 사서와, 박상의 『동국사략』, 유희령의 『표제음주동국사략...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아박무 동동무, 牙拍舞
    아박은 상아로 만든 박보다는 약간 작은 크기의 것을 말하는데, 아박무는 아박을 들고 치면서 춤춘 데에서 유래되었다. 〈고려사〉 악지 속악조에 무고·무애와 더불어 동동의 이름으로 전한다. 동동은 춤추면서 부르는 동동의 후렴 '아으 동동다리'에서 딴 이름이다. 〈세종실록〉 권126에 보면 1449년(세종 31) 10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민극 민합(閔郃), 閔郤
    내용 『고려사』에는 민합(閔郃)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삼국사기』의 민극을 잘못 기록한 듯하다. 918년 6월 궁예(弓裔)가 몰락하고 왕건(王建)이 고려를 건국하자, 견훤(甄萱)은 그해 8월 일길찬(一吉飡) 민극을 고려에 보내어 왕건의 즉위를 축하하였다. 이때 고려에서는 광평시랑(廣平侍郎) 한신일(韓信一) 등이...
    시대 :
    고대/남북국/후백제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절화령 절화삼대, 折花令
    내용 『고려사』악지(樂志)에 의하면 고려시대에 들어온 당악정재 「포구락(抛毬樂)」에서 연주되던 곡으로 성종 때 악공취재(樂工取才) 곡목에 들어 있고, 1759년(영조 35) 세종 때의 음악을 모은 것으로 전하는 『대악전보(大樂前譜)』에 「절화령」의 곡명이 보인다. 『고려사』의 포구락조에 나온 「절화령」은 사설...
    시대 :
    고려
    성격 :
    당악정재음악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출처1건

멀티미디어100건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목판
고려사 목판
일본 고려사적 전경
《고려사》
고려사 / 경배악
취봉래만 / 고려사
행향자만 / 고려사
고려사 / 자하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