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임시정부 수립과 국민당 군의 포위 토벌
    지도자들을 모두 해임했다. 그러나 이것은 중대한 오판이었다. 당시는 ‘혁명의 고조기’가 아니라 ‘퇴조기’였으며, 폭동을 일으킬 당사자인 도시의 프롤레타리아 역시 그 숫자가 극히 미미했다. 당시 공산당에 충성을 바치는 노동조합원은 전국적으로 3만여 명 정도에 불과했고, 공산당원 가운데 10퍼센트 정도만이...
  • 부르주아지 유산시민, bourgeoisie
    두 계급으로 분화되기 시작했다. 새로운 계급의식의 성장으로 부르주아지의 개념을 고용주에 한정하는 경향이 생겼으며, 이에 따라 부르주아지와 프롤레타리아의 구별을 강조하는 사회적·경제적 분류체계가 성립되었다. 후에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이와 같은 부르주아지와 프롤레타리아의 구분에 기초해 사회·정치 철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제도 , 경제
  • 블라디미르 레닌 붉은 차르
    레닌은 《러시아 자본주의의 발전》을 통해서 이미 자본주의가 전통적인 농민공동체를 와해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농민들이 부르주아와 중산층 농민, 프롤레타리아의 세 계급으로 급속히 분화되고 있으며, 전체 농민의 절반 이상이 실질적인 프롤레타리아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정통적인 사회주의 이론에서는...
    출생 :
    1870년 04월 22일
    사망 :
    1924년 01월 24일
    국적 :
    러시아
  • 대한민국의 문화
    일보〉·〈조선일보〉·〈시대일보〉와 〈개벽〉·〈신생활〉·〈신천지〉·〈동광〉 등이 신문화운동을 지지·격려했으며,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KAPF)의 기관지 〈문예운동〉(1926)이 출현했다. 1931~45년 이른바 내선일체(內鮮一體)를 기치로 내건 동화정책이 추진되면서 민족적 역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러시아의 5개년계획 문학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창작의 자율성을 주장하는 '동반작가'와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공산당에 종속되어야한다는 좌익작가 사이의 논쟁이 매우 첨예하게 대립되어 당중앙위원회는 어떤 그룹의 활동도 지지하기를 거부했다. 그러나 제1차 5개년계획이 시작되자 당은 러시아 프롤레타리아 작가연맹(RAPP) 및 공장건설과 농업집단화라는 주제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통속소설 通俗小說
    교양의 차이에 따라 대중을, ‘상층의 대중’과 ‘하층의 대중’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 구분점은 ‘상층에 있는 대중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소설’인 ‘프롤레타리아 소설’과 ‘하층에 있는 대중이 향유할 수 있는 소설’인 ‘대중소설’을 구획하는 선과 일치한다. ‘프롤레타리아 소설’과 ‘대중소설’을 구분한...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로 요한손 (Karl) Ivar Lo-Johansson
    레'(statare)라고 했던 농장 노동자들의 궁핍한 생활을 사실주의적으로 섬세하게 묘사한 소설 〈날품팔이 농부 1-2 Statarna Ⅰ-Ⅱ〉(1936∼37)와 〈대지의 프롤레타리아 Jordproletärerna〉(1941)를 써서 처음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 작품들은 자신이 자라온 사회적 환경을 회상형식으로 쓴 글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출생 :
    1901. 2. 23, 스웨덴 웨스모∼
    사망 :
    1990. 4. 11, 스톡홀름
    국적 :
    스웨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조선문학 朝鮮文學
    국판 150쪽 안팎으로 조선문학사에서 펴냈으며, 주요집필자는 홍효민·한식·한효·김문집·안함광·조벽암·김남천·임화 등이었다. 당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KAPF)의 기관지 역할을 담당하면서 동시에 순수문학작품도 총망라한 유일한 문학지로서 한국문단에 큰 영향을 주었다(→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조선문학가동맹 朝鮮文學家同盟
    연원 및 변천 1945년 12월 6일: 조선문학건설본부와 조선 프롤레타리아 문학동맹이 통합성명을 발표하고 가칭 조선문학동맹 결성. 1945년 12월 13일: 통합 결성식을 통해 두 단체의 통합을 공식화. 1946년 2월 8일∼9일: 「전국 문학자 대회」를 개최하고 명칭을 조선문학가동맹으로 변경해 정식 출범을 선언. 1946...
    시대 :
    현대
    설립 :
    1946년 2월 8일∼9일
    성격 :
    문학운동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파스큘라 PASKYULA
    인생을 위한 예술, 무산계급의 예술 등을 주장했으며, 이후 이들의 노력에 의해 신경향파 문학이 자리잡게 되었고 문학과 정치 또는 현실과의 관련 양상이 구체적으로 논의되기에 이르렀다. 1925년 7월 염군사와 더불어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KAPF)으로 통합되었다.→ 염군사,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발터 베냐민 불운이 가져다준 영광
    한 진영에 몸을 담고, 발터 베냐민이라는 이름을 그 진영에 연관해서만 의미를 부여하는 일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그는 사회경제적으로 프롤레타리아에 가까웠고 프롤레타리아의 역사적 역할을 강조했지만, 자신의 본질은 부르주아일 수밖에 없다고 여겼다. 그의 몸에는 유대인의 피가 흐르지만, 그가 평생 먹고 요리할...
    출생 :
    1892년 07월 15일
    사망 :
    1940년 09월 27일
  • 예술운동 藝術運動
    개설 1927년 11월 김두용(金斗鎔)·조중곤(趙重滾)·이북만(李北滿) 등의 일본 유학생이 중심이 되어 발간하였다. 김두용이 주재하였고,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동경지부에서 발간하였다. 내용 1호가 인쇄되어 나오자마자 동경에서 압수되었고, 1928년 2호가 나올 때 동경과 서울 간의 의견차이로 종간되었다. 논문과...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두용
    창작/발표시기 :
    1927년 11월(창간), 1928년(종간)
    성격 :
    회보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동경지부
    분야 :
    문학/현대문학

멀티미디어2건

카를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조선프롤레타리아 문학동맹의 선언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