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임시정부 수립과 국민당 군의 포위 토벌지도자들을 모두 해임했다. 그러나 이것은 중대한 오판이었다. 당시는 ‘혁명의 고조기’가 아니라 ‘퇴조기’였으며, 폭동을 일으킬 당사자인 도시의 프롤레타리아 역시 그 숫자가 극히 미미했다. 당시 공산당에 충성을 바치는 노동조합원은 전국적으로 3만여 명 정도에 불과했고, 공산당원 가운데 10퍼센트 정도만이...
-
-
-
-
러시아의 5개년계획 문학과 사회주의 리얼리즘창작의 자율성을 주장하는 '동반작가'와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공산당에 종속되어야한다는 좌익작가 사이의 논쟁이 매우 첨예하게 대립되어 당중앙위원회는 어떤 그룹의 활동도 지지하기를 거부했다. 그러나 제1차 5개년계획이 시작되자 당은 러시아 프롤레타리아 작가연맹(RAPP) 및 공장건설과 농업집단화라는 주제에...
-
통속소설 通俗小說교양의 차이에 따라 대중을, ‘상층의 대중’과 ‘하층의 대중’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 구분점은 ‘상층에 있는 대중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소설’인 ‘프롤레타리아 소설’과 ‘하층에 있는 대중이 향유할 수 있는 소설’인 ‘대중소설’을 구획하는 선과 일치한다. ‘프롤레타리아 소설’과 ‘대중소설’을 구분한...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조선문학가동맹 朝鮮文學家同盟연원 및 변천 1945년 12월 6일: 조선문학건설본부와 조선 프롤레타리아 문학동맹이 통합성명을 발표하고 가칭 조선문학동맹 결성. 1945년 12월 13일: 통합 결성식을 통해 두 단체의 통합을 공식화. 1946년 2월 8일∼9일: 「전국 문학자 대회」를 개최하고 명칭을 조선문학가동맹으로 변경해 정식 출범을 선언. 1946...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6년 2월 8일∼9일
- 성격 :
- 문학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예술운동 藝術運動개설 1927년 11월 김두용(金斗鎔)·조중곤(趙重滾)·이북만(李北滿) 등의 일본 유학생이 중심이 되어 발간하였다. 김두용이 주재하였고,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동경지부에서 발간하였다. 내용 1호가 인쇄되어 나오자마자 동경에서 압수되었고, 1928년 2호가 나올 때 동경과 서울 간의 의견차이로 종간되었다. 논문과...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김두용
- 창작/발표시기 :
- 1927년 11월(창간), 1928년(종간)
- 성격 :
- 회보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동경지부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