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동자 勞動者, worker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받은 임금으로 살아가는 직업인. 근로자·피용자·피고용인 개설 사용자에게 고용되어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임금이나 급료 등의 수입을 얻어 생활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근로자라 말하기도 한다. 고용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피용자(被用者), 피고용인(被雇用人)...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근로자 노무상담 (관련어 노동자) 근로자로서의 법적 신분 알기'근로자'라는 말과 '노동자'라는 말이 있습니다. 노동자와 근로자는 뭐가 다를까요? '노동법' '노동 3권' 같은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법률에서는 노동자라는 말을 찾을 수 없습니다. 사실 '노동법'이란 이름의 법률도 없습니다. 노동법은 노동관계를 규율하는 각종 법을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노동법률 ...
-
외국인노동자 外國人勞動者, migrant worker개설 외국인노동자는 한국이 1988년 서울올림픽을 개최하면서 국제사회의 관심을 받게 되고, 3저 호황으로 3D업종을 비롯한 중소규모 제조업이 인력난을 겪게 되면서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1992년한국과 중국의 공식 수교 이후에는 중국 동포의 이주노동이 시작되었다. 정부는 1993년 산업기술연수생제도, 2004년 고용...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
-
가난한 노동자들의 생활상주자의 유리함을 가장 잘 살린 국가는 1871년에 통일된 민족 국가 독일이었다. 노동계층 중에서 생활수준이 갑자기 악화된 사람들은 전통 수공업자였다. 공장노동자들은 오히려 생활 형편이 전보다 나아졌다. 그러나 전통 수공업자는 정반대로 직물공장이 대량으로 값싼 제품을 출하함에 따라 시장을 잃어버렸다. 기계화...
-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사건 사노맹사건, 南韓社會主義勞動者同盟事件내용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사노맹)은 한국전쟁 이후 남한에서 자생적으로 성장한 최대의 비합법 사회주의 혁명조직이었다. 사노맹의 탄생은 1970년대에서 1980년대에 이르는 정치투쟁의 중심 기축 이동과 관련이 있다. 1970년대까지 정치투쟁의 중심은 학생운동이었으나, 광주항생 이후 학생운동 출신들이 노동현장...
- 시대 :
- 현대
- 발생 :
- 1988년 4월
- 성격 :
- 공안사건
- 유형 :
- 사건
- 종결 :
- 1992년 4월 29일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관련 인물/단체 :
- 박기평, 백태웅
-
니가타현 조선인 노동자 학살사건 新潟縣 朝鮮人 勞動者 虐殺事件역사적 배경 신월전력주식회사는 니가타현 시나노나카에 조선인노동자 600명, 일본인노동자 600명 등 총 1,200명의 노동자를 동원해 8개년 계획으로 동양최대의 발전소를 건설하고 있었다. 1922년 7월 말경, 여러 차례에 걸쳐 강물에 조선인 노동자의 시체가 떠내려오는 것을 보고 관할 나카사카누마군[中魚沼郡...
- 시대 :
- 근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방송국 엑스트라·박수부대도 노동자일까?촬영 직원의 말에 따라 방청을 하면서 박수를 치거나 출연자에게 호응을 하는 일이다. 문제는 녹화방송 방청이 직업이 될 수 있는지, 다시 말해 박수부대가 노동자인지였다. 1심 법원은 "방송국의 방청객 역시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장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가 맞다"며 유죄를 선고했다. 박수부대도 방송국에서 일...
-
이주 노동자의 고국 송금전 세계 이주 노동자가 2005년 한 해 고국으로 보낸 송금액은 2,600억 달러에 이른다. 이 돈은 주로 가족의 생활비에 쓰이고 있다. 이주민의 송금액 가운데 1,900억 달러가 개발도상국으로 보내졌다. 세계은행(World Bank/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자료의 총계에 따르면, 개발도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