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흥화진 興化鎭
    성종 12) 거란과의 1차 전쟁 때 고려는 서희(徐熙)를 보내 소손녕(蕭遜寧)과 강화 협상을 벌였다. 그 결과 고려는 송과의 관계를 끊고 거란에 사대하는 대신, 압록강 동쪽의 영유권을 인정받았다. 이에 고려는 연안 경로를 따라 곽주(郭州), 통주(通州), 철주(鐵州), 용주(龍州)를, 내륙 경로를 따라 귀주(龜州)와...
    시대 :
    고려
    유형 :
    지명/고지명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초산군의 자연환경
    이 군의 남부에는 강남산맥이 뻗어내려 1,000m 내외의 비교적 높은 지대를 이루며, 북부로 가면서 점차 낮아져 압록강 연안은 높이 150m 내외로 낮아진다. 강남산맥에는 남해태산(1,079m)·박달산(1,052m)·삼각봉(1,052m)·신곡산(787m)·대바위봉(881m)·두응봉(767m) 등이 솟아 있으며, 북부에는 백골산(540m)·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용천군 龍川郡
    개관 동남쪽은 철산군, 동북쪽은 신의주시·의주군, 서북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의 요령성 안동현(安東縣)과 마주보며, 서남쪽은 황해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4°11′∼124°41′, 북위 39°49′∼40°04′에 위치하며, 면적 570㎢, 인구 12만 4486명(1945년 현재)이다. 1개 읍 11개 면 153개 동으로 되어...
    성격 :
    행정구역명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570㎢(광복 전)
    소재지 :
    평안북도 북서부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보천군 普天郡
    개설 동쪽은 백암군(白岩郡), 남쪽은 운흥군(雲興郡)과 혜산시(惠山市), 북쪽은 삼지연시(三池淵市), 서쪽은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하여 있다. 동경 128°14′∼128°36′, 북위 41°25′∼41°48′에 위치하며, 면적은 768.0㎢, 인구는 3만 6700여 명(1996년 추정)이다. 명칭 유래 1952년에 혜산군...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낚시 fishing
    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낚시는 응용박물학의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문인과 무인이 낚시를 즐겼다고 문헌에 나타나 있지만 고구려 소수림왕 때 '압록강에 싱그러운 봄이 찾아들매 고기잡이 배가 한가로이 강 위에 떠 있구나'라는 시구절은 선인들의 낚시에 대한 멋진 풍치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낚시와 관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바다 , 취미
  • 설오유 薛烏儒
    몰아내려 하였다. 670년(문무왕 10) 3월 당시 사찬이었던 그는 고구려의 태대형(太大兄) 벼슬을 역임한 고연무(高延武)와 더불어 각각 날쌘 병사 1만을 이끌고 압록강을 건너서 옥골(屋骨, 3자 결자)에 이르렀다. 이때 이근행(李謹行)이 이끄는 말갈 병사가 먼저 개돈양(皆敦壤)에 와서 신라군과 대적할 준비를 하고...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장수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초산군 楚山郡
    개관 동쪽은 위원군·강계군, 서쪽은 창성군·벽동군, 남쪽은 희천군·운산군, 북쪽은 압록강을 경계로 만주지방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5°36′∼126°10′, 북위 40°12′∼40°54′에 위치하며, 면적 2,327.63㎢, 인구 7만 8383명(1943년 당시)이다. 9면 62동리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초산면 성동동이다...
    성격 :
    행정구역, 군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2,327.63㎢
    소재지 :
    평안북도 중북부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삭주군 朔州郡
    개관 동북쪽은 창성군, 서쪽은 의주군, 남쪽은 태천군 · 구성군과 접하고, 북쪽은 압록강을 사이로 만주와 마주보고 있다. 동경 124°51′∼125°25′, 북위 40°1′∼40°29′에 위치하며, 면적 1,151.8㎢, 인구 6만 2536명(1943년 현재)이다. 1개 읍 7개 면 56개 동으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삭주면 동부동...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봉황성 오골성, 鳳凰城
    개설 고구려 산성 가운데 가장 큰 산성의 하나로, 오골성(烏骨城)이라고 불렸다. 압록강 하류에 위치한 중국 요녕성 단동시의 동북쪽 20여 km쯤에 자리하고 있다. 이 산성은 요동반도 동남부의 요충지에 위치하여, 서쪽으로는 낭낭산성(娘娘山城)을 비롯하여 수암(岫巖)의 여러 성을 거쳐 안시성(安市城)에 이르고...
    시대 :
    고대/삼국/고구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용천군의 자연환경
    갖춘 지역으로 용천평야가 있다. 범흥산(160m)이 솟은 동부는 100m 이하의 완경사를 이루며, 서부로 갈수록 낮아져 넓은 평야가 펼쳐진다. 주요하천은 압록강·삼교천·임평천으로, 삼교천은 신의주시와의 경계를 이루며 압록강에 흘러든다. 하천유역에 발달한 용천평야는 주요 쌀 생산지이다. 기반암은 시생대에 속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적유령산맥 狄踰嶺山脈
    요동방향의 산계이다. 기반암은 중한지괴(中韓地塊)의 일원인 요동지괴(遼東地塊)와 일체인 평북육괴이다. 이는 선캄브리아누대의 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된다. 압록강과 청천강에 의하여 심하게 침식된 결과 남북으로 심하게 굴곡되어 있다. 산맥 가운데에는 백산(白山, 1,875m)·숭적산(崇積山, 1,970m)·비삼봉(非三峰...
    성격 :
    산맥
    유형 :
    지명
    소재지 :
    평안북도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신도군 薪島郡
    내용 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동쪽은 황해를 사이에 두고 용천군과 마주하고 있고, 북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의 동북부 지방과 인접해 있다. 용천군은 1952년 12월 행정구역개편 때 군의 용암포면ㆍ북중면ㆍ양하면ㆍ양서면ㆍ동하면ㆍ신도면의 전체 리와 부라면의 7개 리, 양광면의 3개 리, 그리고 신의주시의...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소재지 :
    평안북도
    분야 :
    지리/인문지리

멀티미디어39건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유람선 부두
압록강 철교 전경
압록강(鸭绿江)
압록강 철교
압록강 철교
압록강 철교
압록강 뗏목
압록강 뗏목
압록강 뗏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