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작산 심곡사 내원암(內院庵), 孔雀山 深谷寺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 신흥사(神興寺)의 말사이다. 878년(헌강왕 4)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였다. 959년(광종 10)에 수백 칸의 당우(堂宇)가 소진되자, 이듬해 도민(道敏)·지현(智賢) 등이 중창하였으며, 1717년(숙종 43)에 다시 화재로 불타자 1721년(경종 1)에 체선(體洗)·각심(覺心)·청원(淸元...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이재환 李載煥정부에 보낼 독립운동자금의 모집을 결의하고, 불응하는 자는 사형에 처한다는 내용의 취지문을 작성하여 각지의 부호들에게 우송하였다. 이에 자금을 거두어 소진형으로 하여금 임시정부 집금원(集金員) 김규일(金圭一)에게 전달하였다. 1920년 임시정부의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심영택(沈永澤) · 안종운 · 장응규...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
-
성릉 成陵, Seongreung나성(羅城) 남쪽에 장례 지냈다고 한다. 현재 무덤이 있는 곳은 ‘왕릉골’이라 부르며 낮은 능선 위에 있다. 사면 석물은 대부분 남아 있으나 봉분의 흙은 소진되어 평평해졌고, 위쪽에 큰 구멍이 하나 뚫려 있어 이미 도굴이 되었던 듯하다. 성릉의 능역은 협소한데, 봉분은 높이 1.6m, 직경 8m이다. 병풍석(屛風石)은...
- 시대 :
- 고려전기
- 문화재 지정 :
- (북한) 보존급유적 제568호
- 건립시기 :
- 1083년
- 성격 :
- 무덤, 왕릉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북한 개성시 판문군 진봉리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겸암집 謙菴集기일식(記日食)」은 1596년 윤8월 초하룻날 있었던 일식의 상황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기록한 것으로, 당시 천문에 관한 연구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의병소진중조약(義兵所陣中條約)」은 임진왜란 때 의병의 군율과 편성에 관한 내용이다. 「유금강산록(遊金剛山錄)」은 1557년(명종 12) 9월 금강산을 구경하고 쓴...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유운룡
- 창작/발표시기 :
- 1743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8권 4책
- 간행/발행 :
- 유영민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새의 카탈로그 올리비에 메시앙, Catalogue d'oiseaux고백했다. 또한 그에게 있어서 자연은 신의 현시를 묵상할 수 있는 도구가 되어주었다. 메시앙은 또한 이렇게 말했다. “사운드와 색채, 모양과 리듬의 소진되지 않는 보물, 총체적 진화와 끝도 없는 다양성의 모범, 자연은 최고의 원천이다.” 자연에 대한 그의 사랑은 특히 그가 작곡한 많은 새의 음악들에서 잘...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기악곡
- 제작시기 :
- 1956년~1958년
- 작곡가 :
- 올리비에 메시앙(Olivier Messiaen, 1908~1992)
- 구성 :
- 총 7권 13곡 1권 1곡 알프스의 노랑부리 까마귀, 2곡 노랑머리 꾀꼬리, 3곡 바다지빠귀 2권 4곡 딱새 4권 7곡 개개비 5권 8곡 칼랑드렐 종달새, 9곡 꾀꼬리 6권 10곡 바위 지빠귀 7권 11곡 말똥가리, 12곡 딱새, 13곡 마도요
- 편성 :
- 피아노
-
추상화 抽象畵유럽 신형상회화의 유입, 1990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적 기류의 수용에 따라 ‘집단 개성’이라 불릴 정도로 미술계를 단일화시킨 단색조 추상화의 기세는 소진되었고, 다시 구상의 복권이 이루어지는 한편 네오 제오(neo-geo), 포스트 컨셉츄얼리즘(Post-Conceptualism) 등의 추상형식의 미술이 전개되었다. 21세기 초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자적 自適누대에서 발만 드리우고 잤다고 하였다. 그만큼 봄날의 화창한 날씨와 그윽한 경치가 여인의 춘심을 움직였던 것이다. 이러한 춘심이 밤의 한기에 의하여 소진하려고 할 즈음인 새벽녘에는 또 제비가 찾아와 한기에 의하여 위축되었던 춘흥을 회복시켜주는 것이다. 의의와 평가 촛불을 밝히고 놀아도 그 흥취를 다할 수...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옥봉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중기
- 성격 :
- 한시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