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붕게 Nikolay Khristyanovich Bunge재무장관을 지내면서(1881~87) 경제 근대화를 위한 많은 개혁정책을 실시했는데 특히 세법의 개혁은 농민들의 세금부담을 1/4로 줄인 주목할 만한 조치로 평가된다. 법률가 겸 학자로서 여러 가지 학계의 직책을 거쳐 1859년 키예프대학교 총장이 되었다. 농노제와 재정에 관한 그의 글들이 정부의 관심을 끌어 1859...
- 출생 :
- 1823. 11. 23(구력 11. 11), 러시아령 우크라이나 키예프
- 사망 :
- 1895. 6. 15(구력 6. 3),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 차르스코에셀로
- 국적 :
- 러시아
-
첨단 제조 생산 크레딧 AMPC, 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미국 내에서 생산, 판매한 배터리 ・ 태양광 업체에 제공하는 인센티브 제도다. 미 인플레이션감축법안(IRA)의 섹션 13502에 정의된 AMPC에 대한 연방세법상 세금 규정(45X)에 따라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의 주요 부품들, 인버터, 배터리 부품, 핵심 광물에 대한 미국 내 제조 시설에 대해 생산 세제 혜택을 제공한다. LG...
-
과암집 果菴集연설에서는 농정의 부실함으로 인하여 농민에게 미치는 영향을 열거하여 양곡제도의 효과적인 운용으로 백성들이 흉년에 굶주리는 일이 없도록 할 것, 세법을 개정하여 조세부과에 공정을 기할 것, 진휼청(賑恤廳)의 업무와 기능을 혁신할 것, 평등한 부역법을 시행하여 민원을 없앨 것, 탐관오리의 부정을 척결할 것 등...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송덕상(宋德相)
- 창작/발표시기 :
- 1929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8권 4책
- 간행/발행 :
- 송규헌, 송병엽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용명 龍溟寺) 총섭(摠攝)이며 순교승(殉敎僧)이다. 가계는 미상이며, 20세에 출가하였고, 34세에 구암사(龜巖寺)에서 완허(琓虛)의 법인(法印)을 받아 백파(白坡)의 4세법손이 되었다. 불경을 많이 공부하지는 않았지만, 평소에 천수대비주(千手大悲呪)를 수십만 번 외웠으며, 수행도 매우 깊었다. 그러나 금산사가 있는 금구지방...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46년(헌종 12)
- 사망 :
- 1902년
- 경력 :
- 금산사 총섭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조세법률주의 租稅法律主義소득세법>·<법인세법> 등에 의하여 국회가 제정한 법률이 인정하는 범위 안에서 행정부가 경제여건의 변화 등에 맞추어 세율을 조정하여왔으며, <지방세법>의 경우에는 조례에 의한 조세의 감면을 인정하여왔다. 이는 우리 <헌법> 제59조의 규정과 배치되는 현상으로 볼 수도 있으나 급격히 변화하는 경제현실에...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젠거 재판과 언론 자유의 날반관영 매체였다. 젠거가 무죄로 풀려나자 언론과 출판의 논조도 크게 바뀌기 시작했다. 자유로운 비판과 권리 의식이 싹튼 것이다. 언론은 차조례, 인지 세법 등 주로 본국 정부의 식민지 경제 착취를 보도해 대중의 불만을 고조시켰다. 미국 독립의 열망을 확산시켰다는 토머스 페인의 소책자 《상식》이 출간된 것도...
-
연말정산 年末精算勤勞所得稅)를 정산하는 절차로서, 원천 징수 의무자(회사)가 다음 연도 2월분의 급여를 지급하는 때에 매월 급여 지급 시 이미 원천 징수한 세액(稅額)이 세법(稅法)에 따라 정확하게 계산한 연간 근로 소득 세액보다 많은 경우 많이 낸 세금은 돌려주고, 적게 냈을 때는 추가 납부하는 제도이다. 내용 연말정산 대상자...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정치·법제/행정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연촌유고 烟村遺稿조사하여 조세를 알맞게 정하는 손실답험법(損實踏驗法)의 편리여부를 가지고 고심하는 세종에게 답험법을 시행하도록 권하는 내용이 담겨 있어, 조선 초기의 세법관계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또, 최덕지의 글은 아닐지라도 박팽년의 「공원창화시서(貢院唱和詩序)」는 당시 과장(科場) 설시의 편모를...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최덕지
- 창작/발표시기 :
- 1805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최세영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
석문집 石門集시풍은 맑고 힘이 있어 낙천적인 풍모를 보이고 있다. 소(疏)의 「신정균역법후의소(新定均役法後擬疏)」는 국난의 여파가 아직도 가시지 않은 때에 새로운 세법을 시행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대하는 내용으로, 당시의 경제적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 「권당소회(捲堂所懷)」는 추정지죄(醜正之罪)라는 죄목으로 탄핵...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윤봉오(尹鳳五)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8권 4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