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항로 李恒老
    1) 조두순(趙斗淳) 등의 천거로 장원서별제(掌苑署別提)에 제수되고, 전라도도사(全羅道都事)·지평·장령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거절했다. 1866년 프랑스 군함이 침입하여 강화도를 약탈한 병인양요가 일어나 이에 대한 대책을 놓고 조정에 의견이 분분할 때 노성한 사람의 의견을 듣자는 김병학(金炳學)의 제청에...
    출생 :
    1792(정조 16)
    사망 :
    1868(고종 5)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존 아버스노트 피셔 피셔, John Arbuthnot Fisher, 1st Baron F..
    1894년 기사작위를 받고 1902년 제2군사위원, 1904년 제1군사위원이 되었다. 제1군사위원으로 재직할 동안 피셔는 함대 편제의 혁신, 해군공창의 운영, 군함의 건조, 잠수함의 개발, 해군 함정의 동력을 석탄에서 석유로 개조하는 작업, 포술 개발 등을 주관했다. 독일 해군의 급속한 확장에 대처하기 위해 국내 수역의...
    출생 :
    1841년 1월 25일, 실론(지금의 스리랑카)
    사망 :
    1920년 7월 10일, 런던
    국적 :
    영국
  • 거문도사건 巨文島事件
    해상통로는 물론 러시아의 태평양 진출지의 요충지로도 손색이 없는 곳이었다. 1885년 3월 1일 영국 동양함대사령관 W.M. 도웰 제독은 영국 동양함대 소속 군함 3척을 거느리고 일본 나가사키[長奇] 항을 출발, 다음날 거문도를 불법 점령했다. 영국군은 영국기를 게양하고 섬 안에 포대를 구축하고, 병영을 건설했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세계사
  • 존 존스 존스, John Paul Jones
    미국 독립전쟁 당시 영국 동부해안에서 벌어진 해전(1779. 9. 23)에서 영국 군함을 크게 무찌른 것으로 유명하다(→ 봄옴리처드호와 세라피스호의 해전) 스코틀랜드 상선 선주인 존 영거 밑에서 12세 때 견습선원으로 일을 시작한 존스는 선상급사로 버지니아로 가는 배에 승선하여 버지니아 프레더릭스버그에서 형...
    출생 :
    1747. 7. 6, 스코틀랜드 커쿠브리 커크빈
    사망 :
    1792. 7. 18, 프랑스 파리
    국적 :
    미국
  • 양헌수 병인양요에서 적의 공격을 물리치다
    제주목사로 있던 양헌수는 이때 서울로 올라와 어영청(御營廳)의 천총이 되었다. 1866년(고종 3) 8월 10일, 프랑스 정부의 승인을 받은 로즈 사령관이 세 척의 군함을 이끌고 서해에 나타났다. 이들의 1차 원정은 탐사가 목적이었으며, 군함 1척은 작약도에 정박하고, 나머지 2척은 한강을 거슬러 양화진과 서강 일대...
    시대 :
    조선
    출생 :
    1816년(순조 16)
    사망 :
    1888년(고종 25)
    본관 :
    남원(南原)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서태후 시대의 개막, 신유정변
    1860년, 청나라는 태평천국의 반란을 완전히 진압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의 공격을 받았다. 영국은 군함 73척과 병력 1만 8천 명을, 프랑스는 군함 33척과 병력 6,300명의 원정군을 보냈다. 1859년 대고에서 당한 참패를 설욕하기 위해서였다. 연합군은 톈진을 가볍게 함락하고 베이징으로 진격했다...
    시대 :
    1861년
  • 사모아의 역사
    분쟁과 아피아에 대한 영향력을 쟁취하기 위한 영국·독일·미국 간의 경쟁은 1889년 3월 16일에 일어난 사건으로 절정에 달했다. 이 사건은 독일 군함 3척과 미국 군함 3척이 태풍을 피하여 아피아 항에 정박해 있던 중 해변으로 밀려나오거나 침몰함으로써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영국·독일·미국 3국은 1889...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오세아니아
  • 크리스티안 4세 Christian IV
    도움을 받아 덴마크를 공격했으며 이듬해 1월말 유틀란트가 스웨덴의 수중으로 들어갔다. 크리스티안은 개인적으로 수비대를 이끌고 잠시나마 스웨덴 군함을 저지했으나 콜베르거하이데 해전에서 한쪽 눈을 잃었다. 이 해전에서 승부가 명확하게 나지는 않았지만 덴마크 함대는 나중에 스웨덴과 홀란트의 연합해군에...
    출생 :
    1577. 4. 12, 덴마크 힐레뢰드 프레데릭스보르 성
    사망 :
    1648. 2. 28, 코펜하겐
    국적 :
    덴마크·노르웨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트롬프 Maarten (Harpertszoon) Tromp
    휘하에서 해군의 최고지휘관(1636)으로 활약했다. 1639년 다운스 해전에서 그가 스페인에 거둔 승리는 해상강국인 스페인의 쇠퇴를 알리는 신호였다. 소형 군함 함장이던 아버지 하르페르트 마르텐스존을 따라 9세의 나이에 항해를 시작했다. 아버지가 상선으로 옮겨가자 그 역시 아버지를 따라갔다. 1609년 그들 부자가...
    출생 :
    1598. 4. 23, 홀란트 브레일레
    사망 :
    1653. 8. 9, 스헤베닝겐 근처 테르헤이데 인근 해상
    국적 :
    네덜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무적함대 無敵艦隊, Spanish Armada
    동안 머물 수 있는 안전한 항구를 확보하지 못했으며 연안의 얕은 여울을 지나오기로 한 파르마 공작을 호위할 만한 수단도 없었는데 당시 네덜란드와 영국의 군함들은 연안지역을 순항하면서 스페인측 선박에 대한 기습을 노리고 있었다. 전략적인 측면에서 스페인군의 이러한 결점은 비참한 결과를 초래했다. 8월 7...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병인양요 丙寅洋擾
    응징 원정을 단행하기로 결정하였다. 경과 로즈의 제1차 원정은 강화해협을 중심으로 서울까지의 수로를 탐사하기 위한 예비적 탐사 원정이었다. 로즈는 군함 3척을 이끌고 9월 18일부터 10월 1일까지 서울 양화진(楊花津) · 서강(西江)까지 올라와서 세밀한 지세 정찰과 수로 탐사 끝에 지도 3장을 만들어 돌아갔다...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정한론 征韓論
    조선 국왕이 5년에 1번씩 에도[江戶]에 가서 대군(大君)을 알현하고, 공물을 바치는 것이 고례(古例)이나 조선 국왕이 이런 예를 폐한 지 오래되므로 일본이 군함 80척을 구입하고 발병(發兵)하여 조선국을 정토할 뜻을 가지고 있다"는 정한설을 주장하는 기사를 내자, 중국은 조선에 조심하라는 경고를 보냈다. 한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멀티미디어20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