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포와 어뢰 시대의 군함
    배의 무기로 대포와 어뢰를 쓰는 시대에 군사력을 해상으로 확대하는 데 주요수단으로 사용하는 배.|19세기말부터 제1차 세계대전이 종식될 때까지 군함 개발은 대포와 어뢰의 경쟁적인 발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두 무기의 개량은 수상 군함의 설계와 활용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1900년에 이르러 304㎜ 포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해양
  • 증기와 철재 시대의 군함
    이 최초의 결전이 일으킨 반향은 세계를 뒤흔들었다. 19세기 후반은 군함건조가 크게 붐을 이룬 시대였다. 수중에서 사용하는 무기류의 일대 진전은 자동어뢰의 발명이었다. 1864년 로버트 화이트헤드라는 영국의 기술자가 압축공기로 추진되고, 보호되지 않은 흘수선(吃水線) 아래의 선체를 공격하도록 고안된 발사체를...
    도서 다음백과
  • 어뢰발사관 Torpedo tube, 魚雷発射管
    현대 군함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수중발사관을 장착한 사례는 거의 없다. 잠수함에서 어뢰발사관은 가장 중요한 장치 중 하나이지만, 그 구조는 복잡하다. 수중에서 어뢰를 발사할 때의 문제점은 함내에 물의 침입을 방지해야 하고, 어뢰 발사 후 함의 무게 균형의 변화에 대처해야 한다. 어뢰 발사관에 어뢰를 장전한 후...
    도서 위키백과
  • 드레드노트 Dreadnought, 弩級戦艦
    드레드노트 시대를 통해 계속되었으며, 무장, 장갑, 탄약이 단계적으로 변하였는데, 이는 드레드노트의 취역 이후 10년 후에는 더욱 강력한 배들이 건조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더욱 강력한 배는 수퍼 드레드노트(초노급전함)로 알려졌다. 드레드노트 함대간의 유일한 전투는 유틀란트 해전으로, 영국의 계속...
    도서 위키백과
  • 월간 소국민 月刊 小國民
    む(어뢰를 싣다」)등과 같이 전황을 치밀하게 스케치한 그림들이 실려 있다. 이상의 장면들은 상상이나 미경험, 미확인의 사태들을 눈앞의 현실로 펼쳐내는 시각매체들이 전후방의 전쟁 상황을 권력의 의도에 맞게 그려내는 한편 그와 어울리는 전선(前線)의 애국담과 총후(銃後)의 미담을 널리 전파하는 데 가장 효과적...
    성격 :
    문학잡지
    간행/발행 :
    경성일보사
    창간일-종간일 :
    창 ・ 종간일 미상
  • HMS 선더차일드 HMS 선더차일드, HMS Thunder Child
    가공의 군함이다. 함명은 "뇌진자"라는 뜻이다. 영국 해군의 수뢰충각함(Torpedo ram)이며, 수뢰충각함이란 충각과 어뢰발사관을 융합시킨 "수뢰충각"을 함수에 장비한 소형, 고속의 함정이다. 구체적인 제원이나 무장 등은 극중에 묘사되어 있지 않아 불명이나, 2개의 연돌에 수뢰충각과 대포로 무장하고 있다. 모델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