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문기타정기간행물법 新聞其他定期刊行物法
    벌금 또는 체형의 벌칙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전문 11조의 '신문기타정기간행물법'을 통과시켰다. 그 내용은 1946년 5월 29일에 공포되어 시행중이던 군정법령 제88호(신문기타정기간행물에 관한 건)에 "민심을 현혹할 목적으로 선동적 기사를 게재하거나 악영향을 파급할 목적으로 허위보도를 할 때에는 허가취소 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김성일 사순(士純), 金誠一
    널리 확산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처럼 김성일은 조선의 암적 존재인 공납제의 폐해를 알아보고 대동법 시행이야말로 시대적 요구임을 직시하고 있었다. 군정과 군역의 개혁이 우선이다 그 무렵 명나라의 국세가 기울어지면서 북방의 여진족이 세를 불리기 시작했고, 바다 건너 일본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았다. 그때...
  • 천청 사수, 진성
    활동을 적극 지원하였다. 약 반년간의 노력으로 서북과 중원 각지의 혼란한 국면을 안정시키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일본군의 서진을 저지하였다. 12월 1일 군정부장에 취임하여 전국의 군대에 대한 정리책임을 담당하였다. 장기간의 항전으로 물자가 결핍되고 군대생활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각 부대는 보편적으로 병력...
    출생 :
    1898년 1월 4일, 중국 저장성(浙江省) 칭뎬현(靑田縣)
    사망 :
    1965년 3월 5일
    국적 :
    중국
    주요활동 :
    1938년 7월 장제스의 지시로 조선의용대 성립 타당성 검토 적극 지지, 성립 후 의용대지원, 1944년 귀순 및 포로 한국사병 광복군 견송 업무 총괄
    포상훈격 :
    1966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중국국민당
  • 로스앤젤레스의 정치와 사회
    의회 의원들은 4년 임기이며 선거에 의해 뽑힌다. 그밖에 시 법무관, 회계감사관, 7명으로 구성된 교육위원회 위원들도 선거에 의해 뽑힌다. 5명으로 구성된 군정(郡政) 집행위원회가 4년 임기로 군을 관할한다. 군정집행관들은 관할구역상 시와 군에 2중으로 속해 있는 기관들을 관리한다. 교육 군에는 약 20개의 전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보발 步撥
    것으로, 보발은 각력(脚力)으로써 전달하는 송대(宋代)의 급각체(急脚遞)·보체(步遞)와 원나라의 보참(步站)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는바, 발장 1인과 군정(軍丁) 2인을 배치하여 운영하였다. 원래 역참에 있어서 명령의 전달은 한편으로는 급주인(急走人)에 의해서도 이루어진 것 같다. 그것은 조선 초기 함경북도...
    시대 :
    조선
    성격 :
    통신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삼정이정책 三政釐整策
    수습하려는 견해도 여러 가지 제기되었다. 이들이 제시한 삼정문란에 대한 대책은 크게 3가지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삼정개선론으로서 이들은 전정·군정·환곡 등 농민수취를 위한 제도 자체에는 결함이 없기 때문에 삼정 자체를 변혁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다. 삼정은 원래 좋은 제도로 마련된 것인데, 이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사정고 四政考
    편자와 간행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9세기 중반 이후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54장 1책. 필사본. 전정(田政)·군정·환곡·잡역(雜役)의 4가지 부세 운영에 대해 고찰한 것이라 하여 '사정고'라 한다. 그러나 환정고(還政考)·전정고(田政考)·군정고(軍政考)만 있고, 잡역고는 없다. 잡역세는 대동법 제정 이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허정숙 허정자(許貞子), 許貞淑
    민족혁명당을 탈당하고 조선청년전위동맹 결성에 참여했다. 10월 일본군에 우한〔武漢〕이 함락되자 중국공산당 근거지인 연안(延安)으로 들어갔다. 1940년 항일군정대학 정치군사과를 졸업했고, 1941년 팔로군(八路軍) 제120사 정치지도원으로 활동하였다. 이어 1942년 조선혁명군정학교 교육과장 및 독립동맹 집행위원...
    시대 :
    현대
    출생 :
    1902년
    사망 :
    1991년
    경력 :
    근우회 중앙집행위원, 화북조선독립동맹 집행위원, 조선노동당 비서, 북한 최고인민회의 부의장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운동가,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백골징포 白骨徵布
    호포 및 신포가 부과되는 사례가 벌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백골징포란 면작농가에 대해 터무니없이 부과되는 면포의 징수책을 상징하는 말로 쓰였으며, 이것이 군정의 폐단이 심해지면서 군역에까지 확산된 것이다. 군역은 원래 16~60세까지의 남자가 지는 것으로서 중간에 죽거나, 만 60세가 되면 면제하게 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좌우합작위원회 左右合作委員會
    우파는 7월 29일 합작 8개 원칙을 발표하여 반탁 입장을 취했다. 좌파의 원칙은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의 전면적 지지, 토지개혁, 중요 산업의 국유화, 군정고문기관 및 입법기관 창설 반대 등 조선인민공화국파의 입장을 대표했고, 우파는 좌파의 제안이 "조선을 즉시 공산국가화하려는 의도와 동일하다"는 이유로 반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서일교 徐壹敎
    전문위원으로서 주로 형사관계법규의 정비에 힘썼다. 1961년 5·16으로 국회가 해산되자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 국가재건최고회의 법사위원회 자문위원으로서 군정관계법률의 기초작업에 참여하였다. 1961∼1963년의 군정기간 동안 법무부 형정국장 겸 대검찰청검사, 법무부차관 등을 거쳐 1963년말 민정이양과 함께...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행정가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미국·소련의 점령정책
    진주했다. 미국은 일제강점기 이래 민족독립운동의 전통과 해방 직후 표출된 자주민족국가 건설 움직임을 모두 부정하고 미군정만이 남한의 유일한 정부라며 군정을 실시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충칭[重慶] 임시정부까지 정부로 인정하지 않아 임시정부 요인들은 11월말과 12월초 2차례에 걸쳐 개인자격으로 귀국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세계사 , 현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