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38선을 경계로 미·소 간의 분할점령이 결정됨에 따라 당시 오키나와에 있던 J. R. 하지 중장이 이끄는 미국군 제24군단이 9월 8일 인천을 통해 남한에 진주했다.
미국은 일제강점기 이래 민족독립운동의 전통과 해방 직후 표출된 자주민족국가 건설 움직임을 모두 부정하고 미군정만이 남한의 유일한 정부라며 군정을 실시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충칭[重慶] 임시정부까지 정부로 인정하지 않아 임시정부 요인들은 11월말과 12월초 2차례에 걸쳐 개인자격으로 귀국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미군정은 보수인사들을 군정의 행정고문이나 고위관료로 임명하여 이들을 주축으로 일제강점기의 관료·경찰 기구를 부활했으며, 자본주의 국가 건설을 지향하는 친미 보수세력을 지원·육성하는 데 주력했다. 이에 따라 미국식 민주주의가 사회의 주도이념으로 등장했으며, 이러한 이념에 따라 남한은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사회영역에서 커다란 재편기를 맞게 되었다.
소련은 미국이 제안한 일반명령 제1호를 수락한 후 8월 17~18일 치스차코프 대장 휘하의 제25군 본대를 만주에서 북한지역으로 남하시켰다. 소련군은 24일 평양에 입성하는 한편 8월말까지 북한 전역을 점령했다. 소련의 대 한반도 정책은 미국보다는 소극적인 것이면서도 역시 한반도에 소련에 우호적인 정부 수립을 정책목표로 삼았다. 이때문에 미국과는 달리 군정청을 설치하여 직접 통치하지는 않았지만 소련의 무력적 보장 밑에서 일부 세력을 중심으로 인민위원회가 조직되었고 소련은 북한사회의 정치적·경제적 일련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원·지휘했다. 이로써 북한도 사회주의 이념하에 사회 전영역에서 커다란 변동기를 거치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미국·소련의 점령정책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