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현산문화제 양양문화제, 峴山文化祭한시 백일장, 시화전, 분재 전시, 공예 특산품 만들기 체험, 양봉 꿀 전시가 있고, 향토 음식점도 운영된다. 2022년 제44회 양양문화제는 코로나19로 인해 제례 행사만 봉행했다. 양양 향교 주관하에 서문리 고치물 샘터와 성황사에서 6월 16일 오후 2시 고치물제와 성황제를 봉행했다. 양양 군수, 양양군의회 의장...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의례·행사/행사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고려 아악의 시작 송나라에서 대성아악이 들어오다송나라 휘종이 문묘 제례 등 국가적 의식에 쓰이는 <대성아악>과 여기에 쓰이는 관현악기, 무용 장비, 무용복 등을 보내 왔다. 의식을 치를 때 대뜰 위에서 연주되는 관현악을 등가악(登架樂)이라 하고 대뜰 아래에서 연주되는 관현악을 헌가악(軒架樂)이라 하며, 음악에 맞추어 추는 문무(文舞), 무무(武舞) 등의 춤을...
- 시대 :
- 1116년
- 국가/대륙 :
- 한국
-
-
율곡제 栗谷祭11월 제1회 율곡제전으로 출발하여 2021년 현재 60회에 이르렀으며, 대현율곡이선생제전위원회의 주관으로 매년 10월 25일을 전후하여 열리고 있다. 주요 행사는 제례행사로 오죽헌(烏竹軒) 문성사(文成祠)에서 행해지는 서제(序祭)와 등불행진이 있고, 행사 당일 이이의 후손과 제관 및 시민들이 함께 문성사에서 제례...
- 시대 :
- 현대
- 성격 :
- 문화축제, 문화행사
- 유형 :
- 의식행사
- 행사시기 :
- 매년 10월 25일 전후
- 장소 :
- 강원도 강릉시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사례찬설 四禮纂說쓴 「사례찬설발」 2편이 붙어 있다. 권1은 「통례(通禮)」, 권2는 「관례(冠禮)」와 「혼례(婚禮)」, 권3부터 권6은 「상례(喪禮)」, 권7과 권8은 「제례(祭禮)」로 구성되어 있다. 흥선대원군은 「서문」에서, “이 책이 『가례』를 기준으로 하되 각종 예경(禮經)과 예서(禮書) 및 선대 유학자들의 예절에 관한...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사회/가족
-
제사 祭祀그 후 국가 형태가 완비된 뒤로는 사직(社稷)과 종묘(宗廟), 그리고 원구(圜丘)·방택(方澤)·농업(先農壇)·잠업(先蠶壇) 등 국가 경영과 관련이 있는 제례가 갖추어졌고 조상 숭배 사상의 보편화와 함께 가정의 제례도 규격을 이루게 되었다. 내용 국가에서는 원구·방택과 사직의 제사가 가장 중요하고, 왕가에서는...
- 성격 :
- 용어, 추모의식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종교·철학/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