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축문 祝文축문(祝文)은 신령에게 청원하는 글이다. 대개 독축(讀祝)의 형식을 빌어 의례(儀禮)의 맥락과 연결되며, 의례의 성격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축문은 의례의 상황에 맞게 창작되기도 하지만, 규칙화된 의례의 경우에는 기본 격식을 갖춘 축문을 그대로 모방하기도 한다. 근대 이후 사례 축문집이 인쇄술...
- 유형 :
- 의례·행사/의례·세시풍속
- 분야 :
- 사회/가족
-
-
-
영조가 어머니를 사모하며 향과 축문을 전한다는 글귀를 새긴 현판 憶昔永慕親傳..永慕)'로 당의 이름을 정하고 효도하는 마음을 간직했다고 한다. 1775년(영조 51)에 영조는 인원왕후의 기일 전날에 '영구히 사모하는 마음으로 친히 향과 축문을 전한다'는 뜻의 '憶昔永慕親傳香祝(억석영모친전향축)' 여덟 글자를 쓰고, 도승지 신익빈(申益彬, 1740~?)에게 명하여 호조(戶曹)로 하여금 현판을 만들어...
- 분류 :
- 유물 > 현판
- 크기 :
- 가로: 167.5cmcm, 세로: 42.4cmcm
- 재질 :
- 나무 / 피나무
-
-
-
-
기제사 축문 忌祭祀 祝文, written prayer for bed-clea..축문에는 제위 분께 간소하나마 제수를 차렸으니 흠향하시라는 뜻을 담는다. 특히 기제사에서 지방을 붙이면 축문을 읽는 것이 원칙이다. 기제사 축문은 제사를 받드는 자손이 제사를 받는 조상에게 제사의 연유와 정성스러운 감회, 그리고 간략하나마 마련한 제수를 권하는 내용으로 작성하면 되며 제사를 마친 후에는...
- 분류 :
- 생활/일반서식 > 종교서식
- 원문 :
- https://www.yesform.com/dic/yesform_document/view/50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