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와 화, 도 米와 禾, 稻이라고 했다. 여기서 보리쌀, 좁쌀 등의 말이 나왔다. 화(禾) - 곧은 줄기에 이삭이 숙이고 있는 곡물. 요즘의 벼만 가리키는 것이 아닌 곡물의 총칭이었다. 도정하지 않은 것이다. 도(稻) - 중국의 남방에서 재배되던 쌀을 가리킨다. 도정하지 않은 것이다. 바뀐 뜻 세 가지 모두 쌀을 가리킨다. 보기글 ㆍ쌀이 주식이...
-
이유간 강중(剛仲), 李惟侃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강중(剛仲). 정종의 아들 덕천군 이후생(德泉君 李厚生)의 5세손이며, 완성군(完城君) 이귀정(李貴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함풍도정(咸豊都正) 이계수(李繼壽)이다. 아버지는 증 이조참판 이수광(李秀光)이며, 어머니는 행충좌위부사과(行忠佐衛副司果) 김언정(金彦禎)의 딸이다. 민순(閔純...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50년(명종 5)
- 사망 :
- 1634년(인조 12)
- 경력 :
- 사산현감, 돈녕부도정, 동지중추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
-
김병욱 문거(文擧), 金炳昱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문거(文擧), 호는 뇌서(磊棲). 문경 출생. 아버지는 돈녕부도정 김석근(金襫根)이며, 어머니는 문희전씨(聞喜錢氏)로 전도석(錢道碩)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세 때 서울에 올라와 김희순(金羲淳)과 김수근(金洙根) 두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후일 국권을 흔들었던 김병학(金炳學...
- 시대 :
- 조선
- 출생 :
- 1808년(순조 8)
- 사망 :
- 1885년(고종 22)
- 경력 :
- 돈녕부정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뇌서집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안동(安東)
-
-
금강유람가 금광유람가가사 내용으로 보아 제목의 ‘금광’은 ‘금강’의 잘못인 듯하다. 내용 내용은 원하던 금강산 구경을 마치고 경성으로 와서 대궐을 두루 구경하고 돌아오는 도정을 그리고 읊은 것인데, 금강산의 아름다움을 매우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주요도정을 보면, 해금강·총석정·백수정·경성·비원·동물원·남산·관왕묘...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기행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
부정 副正司譯院) 등에도 종3품으로 소속되었다. 종친부의 부정은 1443년(세종 25) 12월에 정한 종친봉작법 중, 1457년(세조 3) 7월에 다시 정(正)·영(令)·감(監)을 도정(都正)·정·부정·영·부령·감·부감으로 세분할 때 나타난다. 돈녕부의 부정은 1470년(성종 1) 4월의 관제 개혁으로 1414년(태종 14) 정월 돈녕부를 설치...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유홍 자연(子淵), 柳泓통제하였다. 이듬해 경상좌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가 첨지중추부사로 조정에 들어가 오위장을 겸임했고, 1519년 이후 원주와 정주의 목사를 거쳐 훈련원도정, 충청도의 병마사와 수군절도사, 경상우도병마사·전라도수군절도사·회령부사·북병사 등의 변경장수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544년 진산군(晉山君)에 봉해지고...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83년(성종 14)
- 사망 :
- 1551년(명종 6)
- 경력 :
- 우도병마사, 전라도수군절도사, 회령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공신,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진주(晉州)
-
벼농사 벼農事단위에 채종답을 설치하도록 하여 연차적으로 계획적인 종자 갱신(種子更新)을 꾀하게 되었다. 이렇게 생산된 벼는 우리나라에 거주하던 일본인으로 하여금 도정공장(搗精工場)과 미곡상조합(米穀商組合)을 조직, 경영하게 하여 일본으로 쌀을 수출하게 하였다. 이에 수출품의 종류와 품질을 규격화할 필요성이 대두되자...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이몽필 은경(殷卿), 李夢弼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은경(殷卿). 종실 백피도정(白陂都正) 이상(李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옥계도정(玉溪都正) 이현동(李賢童)이다. 아버지는 이맹원(李孟元)이며, 어머니는 윤종손(尹宗孫)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1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형조좌랑·지평·장령·헌납·교리·사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07년(중종 2)
- 사망 :
- 1562년(명종 17)
- 경력 :
- 병조참지, 형조참판, 경주부윤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