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근대 |
---|---|
저작자 | 미상 |
성격 | 기행가사 |
유형 | 작품 |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요약 작자·연대 미상의 기행가사.
구성 및 형식
원제목은 ‘금광유람가’이다. 2음보 1행으로 헤아려 모두 147행이다. “원던 금강
을 처처히 다본후의”라는 가사 내용으로 보아 제목의 ‘금광’은 ‘금강’의 잘못인 듯하다.
내용
내용은 원하던 금강산 구경을 마치고 경성으로 와서 대궐을 두루 구경하고 돌아오는 도정을 그리고 읊은 것인데, 금강산의 아름다움을 매우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주요도정을 보면, 해금강·총석정·백수정·경성·비원·동물원·남산·관왕묘(關王廟)·부산진·동래역 등이다. 이처럼 작자는 유람을 떠나서부터 돌아오기까지의 경과를 세세하게 그리고 있어, 기행가사의 성격을 띠고 있다. 작자는 15, 16일을 작정하고 동행인 44인과 같이 유람을 떠났다.
의의와 평가
‘총독부’·‘전차’·‘동물원’ 등의 말이 있는 것으로 보아, 민족항일기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작품 중 왕조의 무상함을 씁쓸한 심경으로 묘사한 대목이 인상적이다. 그러나 이 작품은 표현 기교가 평범하고, 앞뒤의 연결이 자연스럽지 못한 점이 흠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규방가사(閨房歌辭)』 Ⅰ(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금강유람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